광고닫기

美닷컴버블 후 '최악 해고' 터진 날…머스크는 '조만장자' 예약했다

중앙일보

2025.11.07 13:00 2025.11.08 06:08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AI 시대 자본주의 두 모습

그래픽=남미가 기자
‘1조 달러(약 1450조원) vs 15만3074명’

지난 6일(현지시간) 미국에서 나온 두 개의 숫자에 세계 금융시장이 깜짝 놀랐다. 1조 달러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경영 목표를 달성할 경우 받을 수 있는 최대 보상액이고, 15만3074명은 10월에만 단행된 미국 기업의 감원 규모다. 머스크 CEO는 이로써 세계 최초의 ‘트릴리어네어(조(兆)만장자, 자산 1조 달러 보유자)’로 향하는 발판을 마련했다. 반면 10월 기준 감원 규모는 2003년 ‘닷컴버블’ 위기 이후 22년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성과에는 보상이 따르고, 부진에는 해고가 따른다”는 자본주의의 빛과 그림자를 상징적으로 보여준다.

테슬라는 이날 텍사스 오스틴 테슬라 본사에서 열린 주주총회(AGM)에서 머스크 CEO의 보상안을 승인했다. 찬성표가 무려 75%에 달했다.

이 보상안에는 머스크가 시가총액 목표치 도달 등 12단계로 이뤄진 목표를 모두 충족할 경우 총 4억2300만 주 규모의 스톡옵션을 지급한다는 내용이 담겨있다. 현재 약 1조5000억 달러 수준인 기업가치를 최대 8조5000억 달러까지 불리고, 연 조정이익 4000억 달러·차량 판매 2000만 대·완전 자율주행(FSD) 활성 구독자 1000만 명·로보택시 상업운행 100만 대 운행 등 경영 성과를 내면 주식으로 보상하겠다는 것이다.

머스크는 각 목표를 달성할 때마다 테슬라 지분의 약 1%에 해당하는 주식을 받게 되며, 모든 단계를 달성해 12% 지분을 받게 되면 총 보상액은 약 1조 달러로 추산된다. 머스크는 테슬라의 지분을 현재 약 13%에서 25% 이상으로 늘릴 수 있게 된다.

머스크는 보상안 통과 후 주주총회 무대에 올라 “우리가 시작하려는 것은 테슬라의 미래에 관한 단순히 새로운 장이 아닌 완전히 새로운 책”이라고 말했다.

로이터는 “주주는 머스크 CEO가 테슬라를 전기차 제조업체에서 인공지능(AI)과 로봇공학 중심의 기업으로 변모시키겠다는 구상에 손을 들어준 것”이라고 진단했다. 머스크가 회사 운영에서 손을 뗄 경우 실적 유지가 어려워진다는 이사회 주장이 공감대를 얻은 것으로 보인다.

이날 뉴욕증시에서 전날보다 3.50% 내린 445.91달러에 마감한 테슬라 주가는 CEO 보상안에 대한 주총 결과가 나온 뒤 시간외 거래에서 2% 오르기도 했다.

같은 날 미국 고용정보업체 챌린저그레이앤드크리스마스(CG&C)는 충격적인 보고서를 내놨다. 지난달 미국 기업이 총 15만3074명을 감원했다고 밝혔다. 이는 한 달 전인 9월 감원 규모(5만4064건)와 비교해 약 183%, 지난해 10월(5만5597명)보다는 약 175% 급증했다.

올해 전체 누적으로도 미국에서 해고된 사람의 수는 역대 최고 수준이다. CG&C는 보고서에 따르면 1~10월 미국의 고용주가 줄인 일자리 수는 109만9500명인데, 지난해 같은 기간(66만4839명)과 비교해 65% 급증했다. 이는 코로나19가 확산한 2020년 1~10월(230만4755명) 이후 가장 많다.



닷컴버블 이후 역대급 해고 머스크는 ‘조만장자’ 성큼

미국 테슬라 주주들이 5일(현지시간) 텍사스 주 의사당 앞에서 일론 머스크에 대한 주식 보상안 반대 시위를 벌이고 있다. [AFP=연합뉴스]
대규모 감원은 2003년 닷컴버블 때와 유사하게 기술 기업 중심으로 일어났다. CG&C에 따르면 지난달 미국의 기술 분야 감원 규모는 3만3281명으로 9월(5638명)과 비교해 약 490% 급증했다. 올해 1~10월 누적으로 미국의 기술 분야 일자리 감축 규모는 14만1159명인데, 지난해 같은 기간 기술 분야 감원 규모(12만470명)보다 17% 늘어났다.

최근 미국 주요 기술 기업은 AI 관련 투자를 늘리면서, AI 기술로 대체 가능한 인력을 줄여 비용을 감축하고 있다. 실제 아마존은 지난달 말 1만4000명, 마이크로소프트는 지난 7월 9000명의 대규모 감원 계획을 각각 발표했다. CG&C는 “2003년과 마찬가지로, 파괴적 기술이 산업 지형을 바꾸고 있다”며 “지난 10년 동안 기업은 (연말 연휴 전인) 4분기에 해고 발표를 꺼려왔기 때문에 10월에 이렇게 많은 해고가 발표되는 것은 놀라운 일이고, 특히 잔인해 보인다”고 짚었다. 미국 정부는 ‘셧다운’(일시적 업무 정지)으로 공식 고용통계를 발표하지 못하고 있다. 다만 미국의 고용시장이 위축하고 있다는 신호는 계속 나오고 있다. 같은 날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은 지난달 미국 실업률을 4.36%로 추정했다.

AI 기술이 경기에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진단이 나오면서 뉴욕증시에서는 AI 기업 거품론이 다시 불거졌다. 6일 스탠다드앤드푸어스지수는 전날보다 1.12% 급락했고,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도 1.9% 내려갔다.

◆사천피 붕괴원화값 9.2원 하락=코스피와 원화 값도 동반 급락했다. 7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1.81% 하락한 3953.76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가 4000선이 깨진 것은 종가를 기준으로 10거래일 만이다. 같은 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달러 대비 원화 값도 주간 거래 기준 전날보다 9.2원 떨어진 1456.9원으로 마감했다. 종가 기준으로 원화가치는 지난 4월 9일(1484.1원) 이후 7개월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환율은 상승).





황정일.김남준([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