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 장관은 이날 오후 서울 은평구 대조동의 매입임대 주택을 방문해 현장을 점검하고 나서 기자들과 만나 이같이 말했다. 매입임대 주택은 LH가 사들여서 임대할 목적으로 민간 건설사가 짓는 주택을 말한다. 김 장관이 방문한 주택은 지상 6층짜리 건물로, 전용 55~57㎡ 10가구로 구성됐다. 보증금 1000만원에 월세 75만원 또는 보증금 1억원에 월세 31만원으로 임대한다.
김 장관은 "수요자가 아파트를 원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아파트는 공급하는 데 필수적인 공기가 정해져 있어서 단기 공급에는 한계가 있다"며 "단기간에 공급할 수 있는 (다세대) 공공임대 물량을 통해서 수요를 분산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이번 전세 대책으로 매입임대 가격을 서울에선 평균 6억원으로 대폭 올렸기 때문에 7억~8억원도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다세대 임대 주택의 품질 제고 방안으로 아이 돌봄시설이나 각종 커뮤니티 시설, 보안을 위한 CCTV 확충 등도 제시했다.
민간 건설사 참여가 저조할 것이란 지적에 대해선 ▶연 1%의 저리 사업자금 지원▶공공택지 공급 시 우선권 혜택 등을 인센티브로 제시했다. 김 장관은 "지난해 매입임대를 전국에서 522건 접수했고 101건이 약정됐다"며 "매입임대 가격을 올리고 조건을 완화하면 평균 30% 더 늘어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과거 정권의 '뉴스테이' 사업과 매입임대가 비슷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뉴스테이는 민간이 건설하고 운영도 민간이 했다면 매입임대 사업은 민간이 건설하되 공공이 운영한다"고 설명했다. 그만큼 싸게 임대할 수 있다는 주장인데, 시장에선 민간을 배제하는 공공 중심의 임대 주택 공급이 결국 공급 부족을 낳을 것이라는 지적이 있는 상황이다.
김 장관은 "이번 대책에서 추가로 제시한 공공전세는 저소득층을 대상으로 한 임대주택이 아닌 중산층 등을 포용하는 주택으로서 일반 전세 수요를 흡수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 19일 11만4000가구의 주택을 2022년까지 추가 공급하는 전세 대책을 발표했다. 신축 매입약정 주택 4만4000가구, 공공전세 주택 1만8000가구, 호텔·상가 등 리모델링을 통한 주택 1만3000가구, 빈집을 활용한 임대주택 3만9100가구 등이 포함됐다.
최현주 기자 chj80@joongang.co.kr
이재용 징역 2년6월 법정구속…삼성 또 '총수 부재' 악재
트럼프 막판 '사면 로비' 장 섰다…"측근들 수십억 받고 청탁"
미국 가려는 캐러밴 vs 막으려는 군경…과테말라서 격렬 충돌
'100년 미국' 산산조각 냈다, 트럼프 탄핵 위기는 자업자득
'USA' 유니폼에 딱 걸렸다, 의회 난동 '금메달리스트'의 눈물
“이젠 상류사회서 외면” 초라해진 이방카·쿠슈너
기밀 문서 찢고, 외부에 흘리고…"트럼프 퇴임 뒤 기밀 접근 막아야"
정인이 해법으로 "입양 취소나 아이 바꾸자"는 文대통령
'패망' 월남국기가 왜 미 의회난입 현장에?…'반공 상징이라서'
FBI, 펠로시 노트북 훔친 여성 추적…'러 정보기관에 팔려고 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