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4일 추미애 장관이 윤석열 총장을 직무정지 시켰습니다. 추 장관은 항상 '검찰개혁'을 외쳤습니다. 하지만 정작 한 일은 윤 총장을 압박해 온 것이었습니다.
추 장관은 법무부 장관으로 임명되자 인사권부터 휘둘렀습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과 울산시장 등 정권을 수사하던 검찰 간부들 모두 차례로 좌천시킨 겁니다. 그렇게 윤 총장을 식물 총장으로 만든 것도 모자라 주변까지 탈탈 털었습니다. 윤 총장의 장모와 부인 그리고 측근 검사장의 친형까지 말이죠.
추 장관은 윤 총장을 겨냥해 채널 A 사건과 라임 사건 등에 수사지휘권을 두 차례 발동하고 감찰과 조사 지시는 지난 한 달 간 네 차례 했습니다. 사실 수사지휘권이 이렇게 발동된 건 굉장히 이례적인 일입니다. 추 장관이 취임하기 전 2005년이 처음이자 마지막 수사지휘권 발동이었습니다. 2005년에는 강정구 동국대학교 교수가 국가보안법을 위반했기에 명분이 분명하기라도 했죠. 법무부와 검찰의 상호 관계를 위해 잘 쓰이지 않았던 수사지휘권을 추 장관이 한 사람을 향해 두 번이나 발동한 겁니다.
윤 총장의 의혹이 그만큼 확실했다고요? 그렇지 않습니다. 지난 10일 윤 총장 부인 사건의 압수수색 영장이 통째로 기각됐다고 밝혀졌습니다. 혐의가 확실했다면 법원이 통째로 기각하진 않았을 겁니다. 게다가 이는 윤 총장이 검찰총장에 임명될 당시에 여권 의원들이 나서서 문제가 없다고 한 사안이기도 합니다.
지난달 국정감사에서는 윤 총장의 특수활동비에 집중적으로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쌈짓돈'이 '50억'에 이른다고 단정짓기까지 했는데요. 이것도 사실이 아니었습니다. 여야 법사위원들이 특활비 집행 내역을 열람했는데 별다른 문제가 없었습니다. 오히려 이는 자충수가 돼 법무부와 청와대, 다른 여당 인사들의 특활비를 검증해야 한다는 여론을 형성했습니다.
지난 17일에는 대검찰청으로 평검사 2명을 불쑥 보내 윤 총장을 감찰 및 대면조사 한다고 했습니다. 이는 평검사 감찰 때도 하지 않는 방식입니다. 검찰 내부에서도 "믿을 수 없는 일"이라는 반응이 나왔죠.
검찰과 법원 등을 담당하는 법조 출입 기자들도 이날 공개된 설문조사에서 추 장관의 수사지휘권 발동이 부적절하다고 평가했습니다. 검찰 인사 등 다른 사안도 부정적인 평가가 80%를 넘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추 장관의 무리수는 도대체 무엇때문일까요? 모든 게 애초부터 이미 ‘계획된 것’일까요?
뉴스 뻥이 지금부터 파헤칩니다!
[이슈 포커스] 규정 어긴 식당 야외영업…생존 vs 불법 속타는 갈등
펜스, 후임 해리스와 뒤늦은 축하 전화…'결별' 트럼프와 차별화
바이든 취임 첫날 이민개혁 발표할 듯
공화당의 뒤늦은 후회…미국 대통령제의 민낯?
바이든 '연방 최저임금 2배로 인상하자'…정치권 논쟁 촉발
20대 친모, 낳자마자 창밖 던졌다···얼어죽은 신생아의 비극
맨해튼 검찰, 퇴임 앞둔 트럼프 정조준…부동산으로 수사 확대
'주 의사당도 테러 표적 우려'…바이든 취임앞 미 전역 초비상
김종인 "안철수 뭐 그리 대단해…국민의힘 후보가 이긴다"
시카고 10위 서울 33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