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적으로도 주간 아파트값 상승률이 같은 기간 0.27%에서 0.25%로, 수도권은 0.33%에서 0.3%로 낮아졌다. 홍남기 경제부총리는 17일 열린 부동산시장 점검 관계 장관회의에서 “아직 2·4대책의 시장 영향을 판단하기에는 이르지만, 서울과 지방의 매매가격 상승 폭이 소폭 둔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국부동산원도 이날 “2·4 대책 발표 이후 관망세가 나타나고 있고, 명절 연휴 등의 영향으로 매수세가 위축되면서 상승 폭이 줄었다”고 분석했다.
하지만 아파트 매수심리는 여전히 높다. 수도권 아파트 매매수급 지수는 2·4 대책 발표 직후인 지난주 118.8을 기록해, 이 조사를 시작한 2012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번 주는 118.2를 기록했다. 매매수급 지수는 100을 넘어서면 ‘수요 우위’로 본다.
전셋값도 지난주 대비 상승 폭이 둔화했다. 전국(0.22→0.19%), 수도권(0.22→0.18%), 서울(0.10→0.08%) 등이 계절적 비수기와 급등 피로감으로 상승세가 소폭 꺾였다는 분석이 나온다.
한은화 기자 onhwa@joongang.co.kr
타운서 한인 인종혐오 ‘묻지마 폭행’ 당해
나성영락교회 장학기금 유용 논란
함소원 "김치는 파오차이"에 뿔난 국민들···'방송 하차' 靑청원
'트럼프를 어찌할꼬'…당내 역할·진로 놓고 공화 지도부 이견
우즈 다신 골프 못치나…NYT "다리뼈 산산조각, 못걸을 수도"
식당·미용실 등 라이선스 수수료 면제
1년반 만에 트럼프 납세 자료 입수...일반 공개 여부도 주목
백신 맞으면 해외여행, 무료 피자 제공까지…백신 특혜 명과암
제네시스 GV80 안전성 집중조명
감염 후 항체, 백신만큼 효과…3개월 뒤 감염률 90% 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