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생활 속에서] "수고의 땀은 아름답습니다"

방동섭 목사/미주성산교회

수 년 전 한국 MBC TV에서 방영하였던 코미디 프로그램 가운데 장수무대라는 시간이 있었다. 방송국에서 시골의 노인들을 직접 찾아가서 자녀들에게 전할 안부를 녹화하여 방송하는 프로인데 나이 많은 시골 어르신들이 농사를 짓다가 들판에서 있는 그대로 출연하여 "예들아 나 KBS(사실은 MBC)에 나왔다! 건강하게 잘 있었는가?"하면서 소박하게 안부를 전하는 가족 프로그램이었다. 이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면서 간단한 게임도 추가하게 되었는데 그 중에 낱말 맞추는 게임이 있었다.

그런데 어느 날 그 낱말 맞추는 게임에 '평생 연분'이라는 문제가 나왔다. 필자는 그 때 출연하신 할아버지가 그것을 어떻게 설명할까 궁금했다. 할아버지는 자신 있다는 듯이 "당신하고 나 사이는 어떤 사이?"라고 물었다. 할아버지는 그 할머니가 당연히 자신의 말을 잘 알아듣고 '천생연분!'이라고 답할 줄 알았다. 그런데 그만 '웬수!'라고 대답하는 것이 아닌가! 당황한 할아버지는 얼른 "답이 두 글자가 아니고 네 글자야!" 하니까 이번에는 할머니가 '평생 웬수!'라고 대답하였다. 그 방송을 본 전 국민이 그 날 밤 모두 한바탕 웃었다. 할머니에게는 늘 고생만 시키고 자신을 부려먹은 할아버지가 마치 '평생 웬수' 같이 느껴진 모양이다.

우리는 때로 가까이에서 친절하게 대해주는 가족이나 이웃에 대해 전혀 고마움을 느끼지 못할 때가 있다. 이민 사회에서 대부분 부부가 함께 일하는데 하루 종일 일하고 들어온 아내가 집안일 하고 식사까지 준비할 때 남편들은 그 고마움을 잘 몰라줄 때가 있다. 피곤에 지친 아내들이 정성껏 식사를 준비해서 대접하여도 식구들은 언제나 반찬 타령만 한다. 또한 자녀들은 부모들이 아무리 희생하여도 그것은 당연한 것이고 자녀들은 그에 대해 전혀 고마움을 느끼지 못할 때가 있다.

교회 안에도 늘 수고하며 봉사하는 분들이 있다. 누군가를 대접하기 위해 식사를 준비하는 봉사위원도 있고 아이들을 교육하기 위해 자원하여 봉사하는 사람도 있고 주차위원으로 뜨거운 햇볕과 싸우며 차량을 안내하는 분들도 있다. 그런데 우리는 그런 봉사자들의 수고를 당연하게 생각할 때가 많다. 비록 그들이 칭찬을 기대하지 않았지만 우리는 그런 모습을 볼 때 따뜻한 말로 격려해야 한다. 그저 일주일에 한 번 나오는 사람들은 일주일 동안 누군가 교회를 위해 수고의 땀을 흘린다는 것을 잘 모를 때가 있다. 어떤 사람들은 화장실을 청소하며 어떤 사람들은 교인들이 어지럽게 해놓고 가버린 모든 것을 정돈한다.

따라서 우리가 매주 편안하게 예배드릴 수 있는 것도 당연한 것은 아니다. "나는 아무것도 못했는데 누군가 이 예배를 위해 수고했구나!" 하면서 감사하는 마음으로 예배를 드린다면 그 예배는 더욱 귀하고 아름다울 것이다. 모든 아름다운 일에는 수고의 땀을 흘린 분들이 반드시 있다. 가정의 달 5월에는 가족 구성원들이 서로의 고마움을 깊이 느끼는 축복의 계절이 되기를 바란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