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생활 속에서] 도둑질을 보상한 예수

박병기/Jesusinculture.com 운영자

수 년 동안 작업을 한 음악인데 단 한 번의 클릭으로 모든 사람에게 공짜로 배포되었다면 이는 단순히 돈문제가 아니라 그 작업을 한 사람에게는 정신적인 충격까지 안겨줘 외상을 입힌 것이나 다름 없게 된다. 미국에서는 그래서 저작권법을 굉장히 비중있게 다룬다. 하지만 법의 테두리 안에서 수많은 사람의 재산을 알게 모르게 가져가는 합법적인 도둑질이 미국에 만연해 있다.

의사가 보험에 대해 치료비를 과다 청구한다든가 변호사가 돈을 벌기 위해 거짓으로 서류를 꾸며 클라이언트의 승소를 이끈다는가 하는 행위는 합법적인 도둑질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정부의 혜택을 받기 위해 일부러 일을 하지 않는다든가 거짓말을 해서 정부의 혜택을 받는다든가 세금을 속여서 내지 않는 것도 도둑질이다. 교수가 사례비를 받고도 학생을 잘 가르치려는 노력을 하지 않는 것 학생이 장학금을 받으면서 제대로 공부하지 않는 것 등도 도둑질이다.

직장인이 일하는 시간에 개인적인 목적으로 인터넷 서핑을 한다든가 컴퓨터 게임을 한다면 이는 절도행위와 같다. 세일즈맨이 제품의 가치를 지나치게 과대포장하는 것도 남의 재산을 훔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가장 좋은 제품이라고 광고해놓고선 이 제품을 수리하기 위한 워런티를 파는 데 혈안이 되어 있는 아이러니를 우리는 일상생활에서 자주 경험하게 된다.

미국의 경우 불법체류자를 고용해서 최저임금도 주지 않고 노동착취를 하는 일 식당에서 웨이터나 웨이트리스의 서브를 받은 후에 제대로 팁을 놓지 않는 것 등도 하나님의 형상으로 만들어진 인간의 귀중한 노동력을 훔치는 행위라고 할 수 있다. 도박은 다른 사람의 손해를 통해 내가 이익을 얻고 기쁨을 누리는 도둑질이다.

이 땅에 사는 거의 대부분의 사람은 '도둑질하지 말라'는 8계명을 어기면서 살고 있다. 도둑질로 경찰에 붙잡혀 가지 않았을 뿐이지 대부분의 사람은 8계명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래서 십자가 사건은 특별하다고 할 수 있다. 예수님은 두 강도 사이에서 십자가 처형을 당했다. 도둑 사이에 매달린 예수님은 도둑이 마음을 열기만 하면 당장 그들을 구원해주실 마음을 가지셨다. 그리고 함께 십자가에 매달렸던 한 강도가 구원을 원하자 예수님은 낙원을 약속하셨다.

도둑과 같은 신세가 되었던 예수님이 도둑을 구원하셨음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그는 도둑을 위해 죽으셨고 도둑 심보를 가진 우리를 위해 죽으신 것이다. 우리는 법적으로는 도둑이 아닐 수 있지만 청지기직을 제대로 이행하지 못한 점에서는 강도라고 할 수 있다. 칼만 들지 않았지 강도나 다름 없는 것이다.

그런 우리를 위해 십자가에서 죽으신 분이 예수님이다. 8계명을 어긴 자라 할지라도 회개하고 돌아와 예수께 의지하면 구원을 받을 수 있음은 그의 보상(atonement)으로 가능했다. 강도처럼 십자가에서 죽음으로 우리의 죄는 보상된 것이다. Atonement(어톤먼트)는 at-one-ment라고 말할 수 있다. '하나가 됨'으로 보상이 이뤄진 것이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