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당뇨 위험 큰 아시안, 검진 부담 줄여줘야”

아시안 비만율 낮지만 당뇨 확률은 40% 높아
주의원들 발의 “당뇨 검진 본인부담금 없애야”

한인을 포함한 아시안 커뮤니티에서 당뇨병이 급증하고 있는 만큼, 정상 체중인 아시안이 당뇨병 검진을 부담 없이 받을 수 있도록 보험 보장 기준을 바꾸는 법안이 뉴욕주의회에 발의됐다.
 
23일 존 리우(민주·16선거구) 뉴욕주 상원의원과 론 김(민주·40선거구) 뉴욕주 하원의원 등은 플러싱도서관 앞에서 체질량지수(BMI)가 낮은 아시안들도 당뇨병 검진을 선제적으로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법안(S634B/A1206B) 통과를 촉구했다.  
 
일반적으로 당뇨병 검진을 위한 국가적 기준으로는 체질량지수(BMI) 25가 사용된다. BMI가 25 이상이라면 당뇨병 검진을 받았을 때 건강보험 본인부담금이 거의 없다.  
 
그러나 아시안은 일반적으로 BMI는 높지 않지만, 내장지방 비율이 높은 편이라 당뇨병 위험이 더 크다. 코넬대 헬스케어 연구에 따르면, 아시안 미국인은 백인보다 당뇨병에 걸릴 확률이 40% 높은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따라 뉴욕주 보험법을 개정해 BMI 기준을 23으로 낮추고, 23 이상이라면 당뇨병 검진 본인 부담금을 내지 않도록 해 아시안들의 재정적 부담을 덜고, 당뇨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 법안의 골자다.  
 
이번 법안은 아시아태평양계(AAPI) 문화유산의 달을 맞아 아시안 커뮤니티 건강을 위해 발의된 것이기도 하다. 이외에도 현재 뉴욕주의회에는 아시안 역사교육 의무화 법안이 재발의 돼 있다. 지난해 처음으로 주상원을 통과했지만 결국 주하원의 벽은 넘지 못했다.  
 
연방의회에도 아시안 역사교육 의무화를 주장하는 법안이 재차 발의돼 있다. 다만 공화당이 연방의회를 주도하고 있다는 점, 현재의 반이민 기조 등을 고려했을 때 이번 회기에도 연방의회에서 아시안 역사교육 의무화 법안이 통과되긴 어려울 것이라 전망이 지배적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