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칼럼] 자율 신경 실조증, 척추·목뼈 고정으로 치유 가능
박현주 <연세척추신경병원 원장>
아침에 일어나기도 무척 힘들고 식은 땀이 나며 특히 여름에는 팔에 토시를 낄 정도로 온 몸이 시리다고 한다.
또한 어깨가 결리기도 하고 허리 통증과 두통에 시달리며 이유 없이 심장이 빨리 뛰며 정신적인 불안감도 있었다.
대장이 예민해져 설사나 변비가 반복되고 손발이 차갑고 체온이 불규칙하게 변하여 어떤 때는 덥기도 하고 어떤 때는 춥기도 해진다. 각종 검사를 받아 보아도 뾰족한 병명이나 원인을 찾지 못하고 있었고 신경성이라는 말만 들었다.
자율신경계는 그 중추를 간뇌의 시상하부에 두고 말초를 신체 내의 모든 장기와 조직기관에 두고 있으므로 오장육부의 활동을 모두 관장하여 호흡 순환 소화 내분비기능 신진대사 등의 생명활동에 중요한 조절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자율 신경계는 교감 신경계와 부교감 신경계로 나눠지며 이 두 신경계는 의지와 관계없이 스스로 각종 장기의 기능이 되도록 한다.
교감신경계는 운동이나 스트레스 상황 분노 공포 불안 등에서 지배적으로 되어 '싸움 또는 도주(fight or flight)' 신체 상황을 만든다.
그리하여 동공이 확장 심장이 뛰며 혈압이 상승하거나 항문이 수축하며 땀이 많이 난다.
이에 반해서 부교감신경은 편안한 상태의 작용으로 동공도 축소되고 심장박동은 느려지고 호흡기계도 이완되며 혈압이 강하되는 동시에 위장의 작동이 증가한다.
결국 이러한 상반된 작용이 조화를 이루어 외부의 위험요인에 대해서 반응을 하거나 이러한 반응을 진정시키는 길항작용을 하는 경보와 회복을 위한 안전장치가 바로 자율신경인 셈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러한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균형이나 리듬이 부조화를 가져온다는 사실이다.
지속적인 과도한 스트레스 각종 화학물질 다이옥신 육식과 가공식 위주의 불합리한 라이프스타일 등 어떤 요인에 의해 교감신경과 부교감신경의 밸런스가 무너지면 병원에서는 별 이상이 없다는데 본인은 신체의 여기저기가 못 견디도록 괴로운 증상을 호소하게 되는데 이것을 자율신경 실조증이라고 한다.
그러나 많은 경우 척추의 문제에서 이 자율신경의 부조화가 생기기도 한다. 실제로 교통사고가 크게 난 후 자율신경 실조증 증세를 가진 사람도 있으며 보통은 이런 기능 장애를 갖고 있는 사람들의 대부분이 목통증을 동반하는 이유도 바로 척추신경이 비뚤어진 목뼈에서 눌려 제 역할을 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K씨는 약물치료 성상 신경절차단의 주사요법이나 교감신경 절제 수술을 쓰지 않고도 목뼈 교정만으로 자율 신경 실조증이 완전히 사라졌다.
목뼈가 제자리에 있지 않으면 신경계의 부조화가 생기며 자율 신경계의 기능도 손상을 입을 수 있으며 이를 교정함으로써 압박되었던 중추신경이 복원되어 자생력으로 회복이 되기 때문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