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페름기말 대멸종은 온실가스 탓'

현재와 비슷한 온난화에 연쇄적 환경변화로 촉발

2억5100만년 전 페름기말에 일어난 지구 최악의 대멸종 사건은 급격한 온실가스 증가로 인한 온난화 때문인 것으로 보이며 멸종 직전의 당시 생태계는 오늘날과 비슷한 스트레스를 받고 있던 것으로 보인다고 ABC 뉴스 인터넷판이 최신 연구결과를 인용해 보도했다.

당시 멸종은 지구상에 일어난 5차례의 대멸종 가운데 최악의 것으로 해양생물의 90%와 육상 생물의 70%가 이때 사라졌으며 생태계가 회복되기까지 이후 500만년이 걸렸지만 아직까지 그 원인은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다.

미국의 여러 대학이 참여하는 학제 간 연구팀은 이처럼 엄청난 규모의 재난에도 불구하고 소행성 충돌과 같은 단일 원인이 지질학적 기록으로 남지 않은 점에 의문을 품고 과거 기후를 조사했다.

그 결과 당시 지구는 오늘날과 매우 비슷하게 온실가스로 인한 온난화 현상이 심각했으며 이로 인해 연쇄적인 재난이 일어나 바다에서 산소가 사라지고 독가스를 방출된 것으로 보인다고 연구진은 밝혔다.

100만년 동안 이런 현상이 계속되자 육지는 두께 800m의 용암으로 덮였으며 오랜 옛날부터 엄청난 양의 석탄과 석회암이 쌓여 있던 지각층이 뜨거운 용암과 만나 불타면서 막대한 양의 탄소 가스가 배출됐다.

이는 오늘날 인간의 화석 연소에 따른 대기 중 탄소가스 급증 현상과 비슷한 것인데 더워진 대기가 해수면을 데우고 그 위에 자리잡자 깊은 바닷물에 산소를 공급하던 해류 순환이 밈추고 깊은 바다에서 산소가 고갈됐다.

한편 육지에서는 침식현상이 가속화돼 바다에 인(燐) 등 영양물질을 쏟아 부었고 해수의 부영양화로 적조 현상이 일어났으며 조류(藻類)의 부패로 그나마 남아있던 산소는 완전히 고갈됐다.

이는 오늘날 세계 곳곳의 바다에서 볼 수 있는 '죽음의 바다'와 같은 현상으로 이런 면적이 넓어지자 산소에 의존하던 많은 해양생물들은 질식해 죽었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