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미·중 무역협상 타결 “중요한 합의 이뤘다”

‘관세 전쟁’을 벌이고 있는 미국과 중국이 마라톤 협상 끝에 “중요한 합의를 이뤘다”고 밝혔다. 관세 전쟁이 일단락될 수도 있다는 기대감에 전 세계의 시선이 합의 내용에 쏠리고 있다.   스콧 베선트 재무부 장관은 11일 스위스 제네바에서 진행된 이틀간의 미·중 무역협상이 종료된 후 취재진과 만나 “실질적 진전(substantial progress)이 있었다”고 밝혔다. 전날 열 시간에 걸친 회담 후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소셜미디어에 “큰 진전을 이뤘다”고 쓰며 기대감을 키웠는데, 베선트 장관도 양측이 큰 합의에 도달했음을 공식화한 것이다.   제이미슨 그리어 미 무역대표부(USTR) 대표도 “미국은 1조2000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무역 적자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관세를 부과하기 시작한 것”이라며 “중국과 체결한 합의가 비상사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허리펑 중국 국무원 부총리도 협상을 마친 뒤 “회담은 건설적이었으며 중요한 컨센서스를 형성하고 상당한 진전을 이뤘다”고 말했다. 그는 “양측은 통상·경제협의 메커니즘을 구축하기로 합의했으며 후속 논의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중국은 통상 협상에서 항상 ‘윈윈’(win-win)하는 결과를 추구해왔다”라면서 미국과의 협력 분야를 확대할 준비가 돼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세계 경제에 더 많은 확실성과 안정성을 불어넣을 것”이라면서도 “(양국 간) 일부 차이와 마찰은 불가피하다”고 덧붙였다.   양측은 스위스 제네바의 ‘빌라 살라딘’(유엔 제네바사무소 상임대표 공식 거주시설)에서 만나 이틀간 협상을 벌였다.     구체적인 협의 내용에 대해선 함구하는 가운데, 미국이 중국에 부과하던 145% 수준의 폭탄 관세를 인하할 지가 가장 주목되는 부분이다. 현재 중국도 125% 대미 관세로 맞서고 있어 양국 무역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어서다. 이와 관련, 트럼프 대통령은 협상 직전 대중 관세율은 “80%가 적절할 것”이라며 인하 가능성을 시사했다. 블룸버그통신은 “미국이 협상에서 관세를 50%대로 낮추는 방안을 제안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관세 문제와 별개로 ▶좀비 마약인 펜타닐 문제 공동 대응 ▶중국의 희토류 수출 금지 조치 등에 대한 양국 간 합의도 관심이다. 특히 중국은 이번 협상 대표단에 마약 단속 분야의 최고위급 인사인 왕샤오훙 공안부장을 포함, 중국산 펜타닐 밀수출 문제를 논의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로이터 통신은 “일본·인도·베트남 등이 미국과 관세 협상을 벌임에 따라 중국이 국제적으로 고립될 것을 우려해 중국이 펜타닐 문제 협상 의지를 보였다”고 보도했다. 미국이 협상 과정에서 중국 측에 시장 개방을 요구했고, 중국 측이 비관세 장벽 철폐와 미국 제품 수입 확대 방안을 일부 수용하거나 역으로 제시했을 가능성도 있다. 미국과 중국이 대화 국면에 들어갈 경우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간의 공식 통화 혹은 정상회담 시기도 관심을 끄는 요소다. 김은별 기자무역협상 타결 합의 내용 대미 관세로 마라톤 협상

2025-05-11

영국과 무역협상 타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고율관세 발표 뒤 첫 통상 합의를 영국과 체결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4월2일 전 세계를 대상으로 상호관세를 발표한 이후 미국이 다른 나라와 합의에 도달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합의안에 따르면 미국은 영국에 대한 10% 기본 상호관세를 유지하고, 영국은 소고기·기계류·농산물 등의 시장 개방에 동의했다. 10%는 최저 상호관세로, 미국은 영국을 상대로 무역 흑자를 내고 있다. 미국은 영국산 자동차에 대해 연간 10만대까지 25% 관세가 아닌 10% 관세를 적용한다. 미국은 지난해 영국에서 9만6451대의 신차를 수입했다.   10만대 초과분에 대해서는 27.5% 관세율이 적용된다. 또한 미국은 영국산 철강과 알류미늄에 대해 무관세 특혜를 제공했다. 영국은 특혜를 댓가로 100억달러 규모 보잉 항공기를 구매할 예정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영국이 우리의 첫 번째 상대라고 발표하게 돼 영광”이라며 “영국과 전면적이고 포괄적인 합의를 이뤘다”고 말했다.   이번 협상을 계기로, 미국은 한국 등 여타 국가와의 협상에서 압박 수단으로 삼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는 “진지한 협상 단계에 있는 다른 많은 합의가 앞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은 상호관세 부과를 통해 영국으로부터 60억달러의 세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스콧 베센트 재무부 장관도 “많은 국가와 순조롭게 논의가 진행되고 있고, 연말까지, 혹은 그보다 훨씬 더 빨리 80-90% 이상의 합의가 완료될 것”이라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다음 주 중동 순방을 통해 상당한 외교적 성과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자신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2일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한 뒤 같은달 9일 0시1분부터 시행에 들어갔다. 그러나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 발효 13시간 정도가 지난 뒤 중국을 제외한 모든 국가의 상호관세 시행을 90일간 유예하고 무역 상대국들과 협상에 착수했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영국 무역협상 무역협상 타결 국가별 상호관세 상호관세 시행

2025-05-0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