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원전 발전량 2050년까지 4배 늘린다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원자력발전 용량을 2050년까지 현재의 네 배 수준으로 늘릴 계획이다. 미국은 최근 50년간 원자력발전이 러시아, 중국과 비교해 크게 뒤진다는 평가를 반영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행정명령 초안에 의하면, 현재 미국의 원전발전 용량을 100기가와트(GW)에서 2050년 400GW로 늘어나게 된다.   당국에서는 원전 규제가 까다로워 원전 건설이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각종 규제를 철폐해 원전 건설 프로젝트 신청 이후 18개월래 승인결정을 하도록 변경할 예정이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인허가 절차를 신속처리 규정으로 바꿔 18개월래 승인 의무화 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행정명령에는 또한 국방부가 차세대 원자로 건설 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원전 발전량을 통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진흥과 국방보호시설 지정 방안도 포함돼 있다. 연방정부 자료에 의하면 전세계에서 2017년 이후 건설된 원자로의 87%가 러시아와 중국 기술에 의존해 있다.   연방당국은 이런 흐름을 차단하고 미국의 원자력 기술 진흥을 위해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임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으로는 급증하는 AI 관련 데이터 센터 전력 소비량을 감당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세계 원전시장을 중국과 러시아가 독점하는 것을 막기위한 전략적 관점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연방에너지부 자료에 의하면 미국의 원전 발전 용량은 작년 말 기준 96.7GW에 불과하다.     미국은 1979년 펜실베이니아주 쓰리마일 원전 유출 사고 이후 원전 건설을 거의 포기했다. 미국은 2012년에야 조지아주 보글 원전 건설을 승인하면서 다시 원전 건설을 시작했다. 하지만 복잡한 인허가 절차와 규제 등으로 사실상 제자리 걸음만 해왔다. 미국은 아직 94기의 원전을 보유해 세계 최대 원전 보유국이지만, 최근 30여 년간 신규 건설 원전은 3기에 불과하다. 그사이 중국과 러시아는 개발도상국의 원전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에도 문제가 많다. 미국은 최근 핵연료도 자체 수급하지 못해 대부분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다. 행정명령에는 미국의 자체 핵연료 조달 계획 입안 조치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발전량 원전 원전 발전량 원전발전 용량 원전 건설

2025-05-11

일리노이 원자력 발전량 전국 최고

일리노이 주가 전국에서 가장 많은 원자력 발전량을 기록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탄소 배출이 없는 발전량도 전국에서 세번째로 집계됐다.     최근 미 에너지정보위원회(USEIA)에서 발표한 전국 전기 생산량 보고서에 따르면 일리노이 주는 텍사스와 캘리포니아 주에 이어 세번째로 제로 탄소 전기 발전량을 기록하고 있었다.     텍사스 주가 작년 한해 동안 205테라와트시의 제로 탄소 배출 전기 생산량을 기록했고 캘리포니아와 일리노이 주가 127테라와트시로 각각 집계됐다.     제로 탄소 발전은 석유나 석탄, 천연가스 등의 화석 연료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방식에는 태양광, 수력, 원자력 발전과 함께 지오떠말과 바이오매스 등의 방식 등도 포함된다.     일리노이 주의 경우 원자력 발전이 99테라와트시, 태양광 발전 등의 재생 가능 발전이 27테라와트시를 각각 생산한 것으로 확인됐다.     일리노이 주 다음으로 원자력 발전이 많은 지역은 펜실베니아 주로 75테라와트시였고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 54테라와트시, 조지아 주 48테라와트시 등의 순서였다.   이번 보고서에 따르면 일리노이 주는 전체 전기 생산량의 53%를 원자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었다. 원자력 발전 의존도가 높은 지역으로는 뉴햄프셔 주로 56%였고 사우스 캐롤라이나 주도 54%로 일리노이 주보다 높았다.     이렇게 지역별로 전기 생산 방식에서 차이가 나는 이유는 어떤 천연 자원을 보유하고 있느냐와 에너지 정책의 차이, 투자 방식 등에서 기인하고 있었다.     일리노이 주의 경우 주정부가 2050년까지 탄소 배출을 제로로 하겠다는 목표를 세우고 단계적으로 화력 발전소를 없애고 있다.     또 원전이 노후함에 따라 소용량 차세대 원자력 발전 기술을 이용한 발전을 추진하고 있다.   Nathan Park 기자일리노이 원자력 원자력 발전량 일리노이 원자력 일리노이 주가

2025-04-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