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발전량 2050년까지 4배 늘린다
자체 핵연료 조달 계획도 추진

조지아주 보글 소재 원자력 발전소
당국에서는 원전 규제가 까다로워 원전 건설이 어렵다는 지적에 따라 각종 규제를 철폐해 원전 건설 프로젝트 신청 이후 18개월래 승인결정을 하도록 변경할 예정이다. 미국 원자력규제위원회(NRC)의 인허가 절차를 신속처리 규정으로 바꿔 18개월래 승인 의무화 규정을 마련할 계획이다.
행정명령에는 또한 국방부가 차세대 원자로 건설 예산을 지원할 수 있도록 허용하고 원전 발전량을 통한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 진흥과 국방보호시설 지정 방안도 포함돼 있다. 연방정부 자료에 의하면 전세계에서 2017년 이후 건설된 원자로의 87%가 러시아와 중국 기술에 의존해 있다.
연방당국은 이런 흐름을 차단하고 미국의 원자력 기술 진흥을 위해 신속한 조치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트럼프 행정부는 전임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으로는 급증하는 AI 관련 데이터 센터 전력 소비량을 감당할 수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또한 세계 원전시장을 중국과 러시아가 독점하는 것을 막기위한 전략적 관점으로 이 문제에 접근하고 있다. 연방에너지부 자료에 의하면 미국의 원전 발전 용량은 작년 말 기준 96.7GW에 불과하다.
미국은 1979년 펜실베이니아주 쓰리마일 원전 유출 사고 이후 원전 건설을 거의 포기했다. 미국은 2012년에야 조지아주 보글 원전 건설을 승인하면서 다시 원전 건설을 시작했다. 하지만 복잡한 인허가 절차와 규제 등으로 사실상 제자리 걸음만 해왔다. 미국은 아직 94기의 원전을 보유해 세계 최대 원전 보유국이지만, 최근 30여 년간 신규 건설 원전은 3기에 불과하다. 그사이 중국과 러시아는 개발도상국의 원전 시장을 독점하고 있다.
미국의 핵연료 공급망에도 문제가 많다. 미국은 최근 핵연료도 자체 수급하지 못해 대부분 러시아에서 수입하고 있다. 행정명령에는 미국의 자체 핵연료 조달 계획 입안 조치도 포함돼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김옥채 기자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