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이 아침에] 초 디지털 시대의 사람들은?

세상은 이미 디지털 세계로 바뀌기 시작했다. 백 년 후, 천 년 후, 10만 년 후, 어디까지 갈까? 켄 리우라는 천재적인 공상 과학 소설 작가의 상상을 따라가 보자. ‘감춰진 소녀 (The Hidden Girl and Other Stories)’에 수록된 ‘일곱 번의 생일 (Seven Birthdays)’에 있는 단편 소설에 나오는 미아(Mia)의 이야기.     일곱 살. 엄마가 안 온다. 생일 때 꼭 와서 연을 날리자고 약속했는데. 바닷가 공원에서 하루종일 기다린다. 어두워진다. 할 수 없이 아빠와 연날리기를 시작. 그때 “미아” 하고 부르는 엄마 목소리. 그러나 엄마는 곧 떠난다. 21세기 지구의 환경 위기를 구하는 일을 하는 엄마. 딸과 놀아줄 시간이 없다.     49세. 미아가 엄마를 찾아간다. 양로원. 300명의 노인을 3명의 간호사가 조정하는 3000개의 로봇이 돌본다. “미아가 왔어요” 엄마는 믿지 않는다. “아니야. 우리 미아는 일곱 살.”     343세. “생축, 엄마.” 딸  애비( Abby)의 메시지.  미아도 애비도 육신은 없다. 컴퓨터 속으로 업로드된 기호의 조합, 디지털 세계의 프로세스일 뿐.     2401살. 미아는 새로운 별에 착륙 중.  “엄마, 생축” 메시지.  몇백 년 전 몇광 년 떨어진 곳에서 딸이 보낸 것. 미아가 우주선에서 내리기 전 로봇들이 먼저 내려서 자기들끼리 알아서 번성하고 미아와 같은 인간 프로세스들이 들어갈 디지털 세계를 만들 것이다.     1만6807살. 미아는 큰 별 하나에 컴퓨터 회로를 만들고 그 무한한 디지털 세계에 인간들이 산다. 아주 많이. 디지털 사람 수가 천조 이상.  프로세스가 된 인간들도 결혼하고 아이도 만든다. 의식이 의식을 낳은 것.     11만7649세. 의식의 흐름으로만 존재하는 인간들. 무한한 디지털 자원의 풍요 속에서 하나하나 다른 세계를 만든다. 모두가 자신의 자유 의지에 따라 자신의 역사와 기억을 만든다. 그래서 누구에게도 억울한 과거도 불확실한 미래도 없는 평등 사회.     82만3543세. 온 우주의 모든 것들이 인드라망의 그물코. 이리 얽히고 저리 연결된 구조. 끝없이 겹치고 겹친 (重重無盡) 화엄의 세계. 하나 속에 여럿이 있고 여럿 속에 하나가 있다. 미아는 디지털 인간 무리를 이끌고 태양계에서 벗어나 은하계 (galaxy) 중심으로 간다.     아주 오랜 세월이 지난 후 셀 수 없는 나이. 미아는 다시 일곱 살. 엄마와 바닷가 공원에서 다시 연을 날린다. 가상 속의 가상.   불교에서는 우주가 세 개의 세계로 되어있다. 욕계, 육신이 있고 욕망이 있는 곳. 색계, 욕망은 사라지고 육신은 아직 있는 곳. 무색계, 욕망도 육신도 없고 정신만 있는 곳. 리우는 앞으로 300년 후 인간은 무색계의 의식의 흐름이 된다는 상상을 한다. 궁극적으로는 ‘인간’은 아미타 부처님의 무량수(無量壽) 세계로 흘러간다. 아미타는 셀 수 없다는 뜻.     미아의 무색계에도 욕망은 남아 있을까? 아니면 무한 디지털 자원의 풍요 속에 과거, 현재, 미래를 마음먹은 대로 지울 수 있는 세상에서는 채워지지 않는 욕심은 어불성설?  욕계에서 70여 년째 허우적거리고 있는 김 아무개는 궁금하다. 김지영 / 변호사디지털 디지털 세계 디지털 자원 조합 디지털

2023-08-02

과외활동의 종류에 집착 말아야…무엇보다 얼마나 깊이 관여가 중요

명문대 입시를 준비하는 학생이라면 과외활동(EC)이 중요하다는 말을 여러 차례 들어봤을 것이다.     입시에서 당연히 학업성적이 중요하지만 입학경쟁이 치열한 톱 대학들은 학교에서 단순히 ‘올 A’를 받는 학생을 원하지는 않는다. 수업 외 시간을 의미 있는 활동에 투자하는 학생이 더 좋은 평가를 받는 것이 현실이다.     이렇게 생각해 보자. 완벽에 가까운 성적을 받는 학생들은 너무나 많다. 전국에 4만 개가 넘는 고등학교가 있다. 그러나 나의 몇몇 관심사와 똑같은 조합을 가진 학생은 쉽게 찾아보기 힘들 것이다. 나에게 의미 있고 중요한 활동을 꾸준히 하다 보면 나도 모르게 삶이 향상되고, 내가 더 나은 사람이 되며, 대학 지원자로서도 더 강력한 위치를 점하게 된다.  과외 활동이 암을 치료할 정도로 대단하거나 바이올린 천재라는 찬사를 들을 정도로 거창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커뮤니티 봉사활동을 수천 시간 동안 하고, 5~6개 교내 클럽의 회장을 동시에 맡아야 하는 것도 아니다. 만약 내가 시간 날 때마다 부모님의 비즈니스를 돕거나 어린 형제자매를 돌보는 일을 정성껏 해왔다면 이 또한 과외활동 리스트에 포함시켜도 좋다.     독서를 좋아해서 다양한 장르의 책을 많이 읽었다면 에세이를 통해 이를 표현하는 것도 추천한다.   하지만 알아야 할 것이 하나 있다. 드림스쿨에 합격을 ‘보장’할 만큼 최고의 과외활동 조합은 없다는 것이다. 대학 입시에서 100% 통하는 마법의 공식은 없다. 확률 싸움일 뿐이다.     그렇다면 대략 이런 결론이 추려진다. 자신에게 이렇게 자문해 보라.     내가 해당 과외활동에 재미를 느끼는가? 나와 타인에게 의미가 있고 가치가 있는 일을 하는 것처럼 느끼는가? 앞으로도 더 도전하고 싶은 마음이 드는가? 이들 질문에 대한 대답이 ‘예스’로 나온다면 대학 원서에 써도 좋다고 보면 된다. 대답이 ‘노’로 나온다면 원서에 안 쓰는 게 낫다고 보면 된다.     만약 내가 한 활동이 얼마나 독특함과 특별함을 가진 것인지 걱정이 된다면 그건 내가 그 활동에 깊이 몰입하지 않았다는 뜻이다. 관심이 부족하면 제아무리 독특한 과외 활동도 나에게 특별하게 와 닿지 않는 법이다. 대학이 확인하고 싶은 것은 ‘지원자가 어떤 사람이고 무엇에 관심을 갖는가’이지, ‘대학이 이런 활동을 원할 것’이라고 추측해서 학생이 그대로 하는 것이 아니다. MIT의 입학사무처는 과외활동에 대해 “입시에서 유일한 정답은 대학을 위해서 옳다고 생각하는 활동이 아니라, 지원자 본인을 위해 옳은 일을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원서에서 인상적으로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활동을 골라서 하면 안 된다.   과외활동은 그것을 하는 것 자체가 즐겁고 도전적이기 때문에 선택해야 의미가 있고 결과도 빛난다. 남의 옷을 입듯, 나에게 맞지 않는 활동을 한다면 하면서도 흥미를 잃거나 오래 지속하기 어려워진다.     꼭 기억해야 할 것은 과외활동의 종류에 집착하지 말라는 것이다.     무엇을 했느냐보다는 내가 얼마나 깊이 있게 관여했느냐가 중요하다. 열정적으로 참여했다면 어떤 종류의 액티비티도 좋은 활동이다. 너무 특별한 활동에 집착할 이유는 없다.     일부 학생들은 남들이 안 하는 특별한 활동을 해야 지원자들 사이에서 돋보일 것이라는 압박감을 가지고 있다. 사실상 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 나의 인생에 가치를 더하고, 입학 사정관이 봤을 때 고등학교 4년간 내가 어떻게 생활해 왔는지 눈앞에 그려질 수 있다면 충분하다.     학교 수업 외에 교실 밖에서 한 활동은 어떤 것이든 과외 활동으로 볼 수 있다. 전형적인 인턴십이나 리서치, 스포츠뿐만 아니라, 파트타임으로 일한 경험, 가족과 가정을 위해 책임감을 갖고 한 일, 개인적 프로젝트, 취미, 독립적인 리서치 등도 포함된다.     만약 커피숍에서 일주일에 한두 번 일했거나, 개인 블로그를 운영했거나, 시간 날 때마다 팟캐스트를 했다면 이것도 포함될 것이다. 패밀리 사정상 오후 시간을 코흘리개 형제자매를 돌보면서 보내야 했다면, 이 또한 과외 활동으로서 인정받을 수 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나’ 다움이다. 나에게 꼭 맞는 옷을 입고 그것을 대학에 잘 보여주는 것, 이것이 핵심이다.     ▶문의: (855)466-2783   www.theadmissionmasters.com 빈센트 김 카운슬러 / 어드미션 매스터즈과외활동 집착 과외활동 조합 해당 과외활동 과외활동 리스트

2022-10-0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