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참사 피의자, 형 잃고 어머니마저… '가족 비극' 속 외면된 경고

 밴쿠버 필리핀 커뮤니티 축제 ‘라푸라푸 데이(Lapu Lapu Day)’ 현장에서 SUV 차량을 몰고 군중을 덮쳐 최소 11명을 숨지게 한 피의자 카이-지 아담 로(Kai-ji Adam Lo·30)가 8건의 2급 살인 혐의로 기소됐다. 밴쿠버 경찰은 수사가 계속 진행 중이며, 추가 기소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경찰은 사건 발생 직후 로가 거주하던 이스트 밴쿠버 주택을 압수수색해 증거물을 확보했으며, 로가 몰았던 2018년형 아우디(Q7) SUV 역시 현장에서 수거해 조사 중이다. 문제의 차량은 로와 어머니 명의로 공동 등록된 것으로 확인됐다.       로는 형사범죄 전력은 없지만, 최근 몇 년간 정신 건강 문제로 경찰과 수십 차례 접촉한 이력이 있었다. 경찰은 이번 사건이 테러나 특정 정치적 의도와는 관련이 없다고 강조했다.       로의 가족사는 깊은 상처를 안고 있었다. 2024년 1월, 그의 형 알렉산더 로(31)는 밴쿠버 나이트 스트리트 인근 주택에서 숨진 채 발견됐고, 용의자로 드와이트 윌리엄 케매치(39)가 2급 살인 혐의로 체포됐다.       형을 잃은 충격은 가족을 무너뜨렸다. 로는 장례비를 마련하기 위해 모금 활동을 벌이며 “형과의 다툼도 있었지만, 이제는 그가 없다는 현실이 나를 무너뜨린다”고 적었다. 그해 8월에는 어머니가 극심한 슬픔에 시달리다 자살을 시도해 병원에 입원했으며, 이에 따른 의료비 지원을 호소하는 글도 올렸다. 그는 “어머니는 이미 아들을 잃었고, 집마저 잃을 위기에 놓였다”고 적으며 절박함을 토로했다.       사건 당일, 로는 프레이저 스트리트와 이스트 43애비뉴 인근 축제장으로 SUV를 몰고 돌진했다.       밴쿠버 경찰은 사건 직후 로를 체포해 8건의 살인 혐의를 적용했으며, 현재 희생자 신원 확인과 추가 수사를 이어가고 있다. 목격자 진술과 CCTV 분석이 병행되고 있으며, 경찰은 사건의 전모를 규명하는 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밴쿠버 중앙일보어머니 참사 가족 비극 어머니 명의 밴쿠버 경찰

2025-04-28

글로벌 감각, 로컬의 온기… 2025 밴쿠버 패션위크 개막

 2025 밴쿠버 패션위크(Vancouver Fashion Week, VFW)가 4월 8일부터 13일까지 6일간 밴쿠버 중국문화센터에서 열린다. 가을/겨울 컬렉션을 선보이는 이번 패션위크에는 10개국 이상에서 온 45명 이상의 디자이너가 초청되었으며, 8일 그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한 35명의 디자이너   올해는 45명의 디자이너가 참여하여, 정교한 오트쿠튀르부터 대담한 스트리트웨어까지, 밴쿠버 패션위크가 지향하는 ‘다양성’을 진정성 있게 풀어낸다. 관습을 벗어난 아방가르드 작품부터 시대를 초월한 클래식 스타일까지, 다양한 미학이 융합되어 패션의 확장성과 표현의 자유를 강조한다. 런던과 뉴욕 패션위크에서 큰 주목을 받은 디자이너 알렉스 S. 유(Alex S. Yu)를 비롯해, 단순함 속 대담한 창의성을 추구하는 DresSeema, 파리 패션위크에서 최신 컬렉션을 선보인 에두아르도 라모스(Eduardo Ramos)까지 개성 넘치는 글로벌 디자이너들이 함께한다. 또한, LaSalle College와 VCC 등 밴쿠버 로컬 대학 졸업생들의 작품이 소개되며, 신진 디자이너들의 꿈 역시 런웨이에 오른다.  디자이너의 철학과 변화의 과정, 그리고 K-패션의 활약   밴쿠버 패션위크는 단순히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자리를 넘어, 디자이너의 철학과 고유한 세계관이 런웨이를 통해 표현되는 순간이다. 각 디자이너의 고민과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이 작품에 녹아들어, 다양한 시각이 어우러지는 런웨이에서 그 감동을 함께 나누게 될 것이다.   특히, 한국 디자이너들의 활약이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의 고유 전통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내며, 국제무대에서 K-패션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번 패션위크에서 K-패션이 어떤 반응을 얻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한 혁신적 패션   지속가능성은 VFW가 주목하는 이번 시즌 핵심 키워드다. 업사이클링과 데드스톡 소재를 활용한 BC주 디자이너의 첫 데뷔 쇼가 예정되어 있어 이번 패션위크가 더욱 특별해지는 이유다. 이를 통해 VFW는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패션의 환경적 책임을 강조하고, 패션 산업의 미래 지향적인 변화를 이끌어갈 예정이다.   밴쿠버 패션위크의 창립자 자말 압두라만(Jamal Abdourahman)은 "다양성은 VFW의 가장 큰 강점이며, 캐나다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모인 디자이너들이 밴쿠버 패션위크를 통해 가장 진보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인다. 이 무대는 모두에게 새로운 영감을 선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밴쿠버 중앙일보 엄주형 기자 [email protected]패션위크 밴쿠버 밴쿠버 패션위크 파리 패션위크 뉴욕 패션위크

2025-04-22

전통에 락을 더하다… 한복 브랜드 ‘온다타:파랑’ 밴쿠버 패션위크 진출

 한복 디자이너 유수진이 2025년 F/W 밴쿠버 패션위크(Vancouver Fashion Week)를 통해 해외 컬렉션 무대에 첫 데뷔했다. 브랜드 ‘온다타:파랑’을 이끄는 유 디자이너는 이번 데뷔를 통해 한국 전통 의복인 한복의 정체성을 확장하고, 세계 패션 시장에 K-패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했다.   “밴쿠버는 저희에게 실험의 무대이자, 브랜드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전환점이었습니다.” 11일(현지시간), 밴쿠버 패션위크 현장에서 기자를 만난 유수진 대표는 담담하지만 확고한 어조로 기자에게 말했다. 그녀는 이번 컬렉션을 통해 한복이 단아하고 정적인 이미지에 머무르지 않고, 무한한 해석의 가능성을 지닌 ‘움직이는 예술’임을 알리고자 했다. “입는 방식, 원단의 흐름, 겹겹이 쌓인 실루엣에서 나오는 리듬감까지… 한복은 정말 다채로운 언어를 가진 옷이에요.”   이번 컬렉션의 키워드는 ‘락(Rock)’이다. 반항, 자유, 해방 등 락이 지닌 상징적 에너지를 한복의 전통적 실루엣과 결합해 강렬한 대비를 창조했다. 유 디자이너는 “극과 극이 만날 때 가장 강력한 서사가 만들어진다”는 철학으로 디자인을 풀어냈다.   컬렉션에는 메탈 장식, 시폰 소재, 파워숄더, 건축적 구조감 등 기존 한복에서는 보기 어려운 요소들이 과감하게 활용됐다. 대표적인 룩으로는 멜빵과 샤 스커트를 결합한 의상, 볼륨감 있는 건축적 치마, 파워숄더 재킷 등이 있다.   “이것도 한복입니다” 유수진 디자이너의 핵심 메시지는 분명하다. 그녀는 한복이 고정된 전통복이 아니라, 현대적 감각과 문화 속에서도 끊임없이 진화할 수 있는 ‘대화의 언어’라고 본다. “입는 순간 박수를 치고 싶을 만큼 예쁜 옷. 저는 그런 한복을 만들고 싶어요.” 그녀가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전통 한복의 디자인 요소는 ‘깃’과 ‘겹겹이 얇은 원단의 날림’이다. “그 날림이 만드는 리듬감이 참 좋아요. 거기에 움직임이 담겨 있다고 느껴요.”   밴쿠버 패션위크에서 선보인 유수진 디자이너의 컬렉션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 시도”로 현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번 해외 데뷔는 단순한 참여가 아닌, 브랜드 ‘온다타:파랑’의 정체성과 비전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본다. “처음인 만큼, 저희 브랜드가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고 싶었어요. 앞으로 북미 시장은 물론, 다양한 글로벌 무대에서도 온다타:파랑의 색을 계속 전하고 싶습니다.” 유 디자이너는 이렇게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K-pop의 글로벌 열풍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K-패션의 흐름 속에서, 유수진 디자이너의 이번 데뷔는 ‘한복’이라는 고유한 매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상징적인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엄주형 기자 [email protected]패션위크 밴쿠버 밴쿠버 패션위크 전통 한복 한복 디자이너

2025-04-22

전통에 락을 더하다… 한복 브랜드 ‘온다타:파랑’ 밴쿠버 패션위크 진출

 한복 디자이너 유수진이 2025년 F/W 밴쿠버 패션위크(Vancouver Fashion Week)를 통해 해외 컬렉션 무대에 첫 데뷔했다. 브랜드 ‘온다타:파랑’을 이끄는 유 디자이너는 이번 데뷔를 통해 한국 전통 의복인 한복의 정체성을 확장하고, 세계 패션 시장에 K-패션의 새로운 방향성을 제안하고자 했다.       “밴쿠버는 저희에게 실험의 무대이자, 브랜드가 다음 단계로 나아가기 위한 전환점이었습니다.” 11일(현지시간), 밴쿠버 패션위크 현장에서 기자를 만난 유수진 대표는 담담하지만 확고한 어조로 기자에게 말했다.     그녀는 이번 컬렉션을 통해 한복이 단아하고 정적인 이미지에 머무르지 않고, 무한한 해석의 가능성을 지닌 ‘움직이는 예술’임을 알리고자 했다. “입는 방식, 원단의 흐름, 겹겹이 쌓인 실루엣에서 나오는 리듬감까지… 한복은 정말 다채로운 언어를 가진 옷이에요.”   이번 컬렉션의 키워드는 ‘락(Rock)’이다. 반항, 자유, 해방 등 락이 지닌 상징적 에너지를 한복의 전통적 실루엣과 결합해 강렬한 대비를 창조했다. 유 디자이너는 “극과 극이 만날 때 가장 강력한 서사가 만들어진다”는 철학으로 디자인을 풀어냈다.       컬렉션에는 메탈 장식, 시폰 소재, 파워숄더, 건축적 구조감 등 기존 한복에서는 보기 어려운 요소들이 과감하게 활용됐다. 대표적인 룩으로는 멜빵과 샤 스커트를 결합한 의상, 볼륨감 있는 건축적 치마, 파워숄더 재킷 등이 있다.       “이것도 한복입니다”     유수진 디자이너의 핵심 메시지는 분명하다. 그녀는 한복이 고정된 전통복이 아니라, 현대적 감각과 문화 속에서도 끊임없이 진화할 수 있는 ‘대화의 언어’라고 본다. “입는 순간 박수를 치고 싶을 만큼 예쁜 옷. 저는 그런 한복을 만들고 싶어요.” 그녀가 특히 중요하게 여기는 전통 한복의 디자인 요소는 ‘깃’과 ‘겹겹이 얇은 원단의 날림’이다. “그 날림이 만드는 리듬감이 참 좋아요. 거기에 움직임이 담겨 있다고 느껴요.”   밴쿠버 패션위크에서 선보인 유수진 디자이너의 컬렉션은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의 경계를 넘나드는 실험적 시도”로 현장에서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냈다.       이번 해외 데뷔는 단순한 참여가 아닌, 브랜드 ‘온다타:파랑’의 정체성과 비전을 구체화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본다. “처음인 만큼, 저희 브랜드가 어떤 이야기를 품고 있는지를 명확히 보여주고 싶었어요. 앞으로 북미 시장은 물론, 다양한 글로벌 무대에서도 온다타:파랑의 색을 계속 전하고 싶습니다.” 유 디자이너는 이렇게 자신의 포부를 밝혔다.       K-pop의 글로벌 열풍과 함께 주목받고 있는 K-패션의 흐름 속에서, 유수진 디자이너의 이번 데뷔는 ‘한복’이라는 고유한 매체를 통해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한 상징적인 사례로 기록될 것이다. 밴쿠버 중앙일보패션위크 밴쿠버 밴쿠버 패션위크 전통 한복 한복 디자이너

2025-04-21

글로벌 감각, 로컬의 온기… 2025 밴쿠버 패션위크 개막

 2025 밴쿠버 패션위크(Vancouver Fashion Week, VFW)가 4월 8일부터 13일까지 6일간 밴쿠버 중국문화센터에서 열린다. 가을/겨울 컬렉션을 선보이는 이번 패션위크에는 10개국 이상에서 온 45명 이상의 디자이너가 초청되었으며, 8일 그 화려한 시작을 알렸다.   다양성과 지속가능성을 강조한 35명의 디자이너   올해는 45명의 디자이너가 참여하여, 정교한 오트쿠튀르부터 대담한 스트리트웨어까지, 밴쿠버 패션위크가 지향하는 ‘다양성’을 진정성 있게 풀어낸다. 관습을 벗어난 아방가르드 작품부터 시대를 초월한 클래식 스타일까지, 다양한 미학이 융합되어 패션의 확장성과 표현의 자유를 강조한다.   런던과 뉴욕 패션위크에서 큰 주목을 받은 디자이너 알렉스 S. 유(Alex S. Yu)를 비롯해, 단순함 속 대담한 창의성을 추구하는 DresSeema, 파리 패션위크에서 최신 컬렉션을 선보인 에두아르도 라모스(Eduardo Ramos)까지 개성 넘치는 글로벌 디자이너들이 함께한다. 또한, LaSalle College와 VCC 등 밴쿠버 로컬 대학 졸업생들의 작품이 소개되며, 신진 디자이너들의 꿈 역시 런웨이에 오른다.   디자이너의 철학과 변화의 과정, 그리고 K-패션의 활약   밴쿠버 패션위크는 단순히 디자이너들의 작품을 선보이는 자리를 넘어, 디자이너의 철학과 고유한 세계관이 런웨이를 통해 표현되는 순간이다. 각 디자이너의 고민과 지속적인 변화의 과정이 작품에 녹아들어, 다양한 시각이 어우러지는 런웨이에서 그 감동을 함께 나누게 될 것이다.   특히, 한국 디자이너들의 활약이 더욱 두드러진다. 한국의 고유 전통을 현대적인 감각으로 풀어내며, 국제무대에서 K-패션의 위상을 더욱 높이고 있다. 이번 패션위크에서 K-패션이 어떤 반응을 얻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지속가능성을 핵심으로 한 혁신적 패션   지속가능성은 VFW가 주목하는 이번 시즌 핵심 키워드다. 업사이클링과 데드스톡 소재를 활용한 BC주 디자이너의 첫 데뷔 쇼가 예정되어 있어 이번 패션위크가 더욱 특별해지는 이유다. 이를 통해 VFW는 지속 가능성을 중심으로 패션의 환경적 책임을 강조하고, 패션 산업의 미래 지향적인 변화를 이끌어갈 예정이다.   밴쿠버 패션위크의 창립자 자말 압두라만(Jamal Abdourahman)은 "다양성은 VFW의 가장 큰 강점이며, 캐나다를 포함한 전 세계에서 모인 디자이너들이 밴쿠버 패션위크를 통해 가장 진보적인 아이디어를 선보인다. 이 무대는 모두에게 새로운 영감을 선사할 것"이라고 전했다. 밴쿠버 중앙일보패션위크 밴쿠버 밴쿠버 패션위크 파리 패션위크 뉴욕 패션위크

2025-04-11

밴쿠버 써리 도심의 새로운 랜드마크, ‘102+Park’ 분양 개시

메트로 밴쿠버에서 두 번째 핵심 도심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써리 센트럴 다운타운에 새로운 랜드마크가 들어선다. 주택 건설사 Marcon이 선보이는 ‘102+Park’가 그 주인공이다.     써리 센트럴 다운타운 중심부인 102 애비뉴와 시티 파크웨이 광장에 위치한 102+Park는 총 376세대 규모의 현대적인 주거 단지로, 역동적인 도심 생활을 원하는 수요자들에게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한다.     102+Park는 뛰어난 입지 조건을 자랑한다. 대중교통과 쇼핑몰, 주요 대학 등이 인접해 있어 편리한 생활 환경을 갖추고 있으며, 세련된 디자인과 정교한 인테리어, 프리미엄 편의시설을 제공해 차별화된 주거 경험을 선사한다.     단지 내에는 라이브러리 라운지 및 코워킹 스페이스, 웰니스 & 피트니스 센터, 루프탑 엔터테인먼트 라운지 등 다양한 커뮤니티 시설이 마련돼 있다. 입주민들은 이 공간에서 아침을 시작하고, 건강을 관리하며, 여유로운 저녁 시간을 보낼 수 있다.     B.C주에서 40년 이상 신뢰받아온 주택 건설사 Marcon이 설계한 102+Park는 써리의 스카이라인을 새롭게 정의할 대표적인 주거 프로젝트로 기대를 모은다. ▶자세한 내용 및 등록랜드마크 밴쿠버 분양 개시 도심 생활 핵심 도심

2025-03-10

예일타운서 심야 피습 한인남성 중상... 범인들 하루만에 풀려나

 ▲편집자 주: 이 글에는 폭력 사건의 생생한 묘사와 사진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는 무차별 폭력 범죄의 심각성을 알리고 사법제도 개선의 필요성을 강조하기 위한 것입니다.[사진=GoFundMe]   지난주 금요일 새벽 밴쿠버 예일타운의 메인랜드 스트리트와 해밀턴 스트리트 인근 콘도 앞에서 한인 남성이 18세 청소년 2명으로부터 흉기 피습을 당했다. 피해자 제레미 김(Jeremy Kim, 32) 씨는 집 앞에서 이탈리아에 있는 약혼녀와 전화통화 중이었다. 이때 한 남녀가 접근했고, 남성은 화상통화 중이던 휴대전화를 김 씨의 얼굴에 들이대며 시비를 걸었다. 김 씨가 휴대전화를 치우라고 요구했으나 상대가 거부하자, 그 휴대전화를 쳐냈다. 이에 남성은 아무 말도 없이 갑자기 불법인 자동 폴딩나이프를 꺼내 김 씨의 가슴과 갈비뼈, 팔 등을 수차례 찔렀다. 당시 어둡고 두꺼운 재킷을 입고 있어 김 씨는 처음에는 칼에 찔린 것을 인지하지 못했다. 팔을 내리자 재킷에서 물처럼 피가 쏟아지는 것을 발견했다. 가해자들은 김 씨의 얼굴도 가격해 코뼈를 부러뜨렸다. 피범벅이 된 휴대전화로 겨우 경찰에 신고했으나, 가해자들은 건물 로비까지 쫓아와 해치려 했다. 경찰 신고 사실을 알아챈 후에야 도주했다. 가해 남성은 사라졌으나 김 씨는 여성 가해자가 예일타운역으로 도주하는 것을 발견하고 추적했다. 피를 흘리면서도 스카이트레인 차량까지 따라가 승객들에게 경찰 신고를 요청했다. 출동한 경찰은 여성을 현장에서 체포했고, 이후 남성도 검거했다. 타냐 비신틴 경관은 "피해자가 심각한 부상에도 불구하고 예일타운-라운드하우스 역까지 범인들을 추적했다"며 "이로 인해 용의자들을 신속히 검거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밴쿠버 경찰(VPD)에 따르면 18세 남성은 '무기를 이용한 폭행'과 '위험한 목적의 무기 소지' 혐의로 기소됐으나, 판사는 그를 석방했다. 밴쿠버 경찰은 "용의자가 보석 조건으로 피해자 접근 금지 명령을 받았다"고 설명했으나, 실질적인 보호 대책은 제시하지 못했다. 가해자들이 자신의 거주지를 알고 있다는 사실에 김 씨는 극도의 불안감을 호소하고 있다. 경찰은 김 씨를 '우선 출동' 대상자로 지정했다. 사건 발생 지역에서 그가 911에 신고하면 경찰이 긴급 출동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가해자에게 피해자 주변에 가지 말라고 당부하는 것 외에는 할 수 있는 게 없다"는 입장이다. 이번 사건으로 김 씨는 팔 신경이 손상됐고 옆구리에 혈종이 생겼다. 2023년 11월부터 부상으로 실직 상태였던 그는 최근에야 새 직장을 구했으나, 2월 3일로 예정됐던 첫 출근도 못하게 됐다. 다행히 새 직장은 상황을 이해해줬다. 이탈리아에 사는 약혼녀의 캐나다 이주도 준비 중이었다. 약혼녀는 지난해 방문 때 밴쿠버의 안전함에 감명받았으나, 이번 사건으로 도시의 이미지가 완전히 바뀌었다고 했다. 김 씨의 형은 당분간 일을 하지 못할 동생을 위해 고펀드미(GoFundMe) 모금을 시작했다. 건강보험(MSP)이 적용되지 않을 수 있는 코 재건 수술 비용도 필요한 상황이다. 용의자는 다음달 12일 법원에 재출두할 예정이다. 검찰은 추가 증거 확보 시 혐의를 상향 조정할 수 있다는 입장이다. 한편 BC주 법무부와 검찰청은 범인 석방 결정에 대한 설명을 거부했다.   ▲관계기사: 제레미 김씨 호소문, "배상보다 원칙" 밴쿠버 중앙일보한인남성 예일타운 밴쿠버 예일타운 흉기 피습 밴쿠버 경찰

2025-02-05

[수필] 봄이네

스무 해 전에 헤어진 캐나다 밴쿠버 지인들이 무척 그리워서 큰 마음을 먹고 북쪽으로 여행을 떠났다. 거리가 멀어지면 마음도 멀어진다 하더니만 꼭 그런 것도 아니다.   갈수록 새록새록 더 선명히 떠오르는 얼굴도 있다. 오렌지카운티의 요바린다에서 캐나다 밴쿠버까지는 편도로 1300마일, 5번 도로를 따라 곧장 가도 꼬박 이틀 거리의 상당히 먼 길이다. 아직은 완전히 은퇴하지 못했지만, 이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또 몇 해가 훌쩍 지나버릴 것 같아서 우린 욕심을 냈다. 강산이 두 번이나 바뀌는 세월이었으니 낯익은 얼굴들이 그리워 스무 시간 넘는 장거리를 달렸다.     기왕 가는 길에 바람도 쐴 겸 395번 도로를 따라 북쪽으로 애스펜의 가을 단풍이 수려한 비숍을 경유하고, 레이크 타호에서 하룻밤을 묵었다. 단풍이 무르익은 그 아름다운 경관과 고산지대 레이크 타호의 설경은 탄성을 자아낼 만큼 근사했지만, 사람 그리움을 이기지 못해 새벽같이 다시 걸음을 재촉했다. 그리운 이들이 있는 사람은 행복한 사람이라고 중얼거리면서….   세월의 흔적을 피할 수 없어 노쇠해진 분들, 유명을 달리하신 분들, 타지로 이주한 분들도 꽤 있었다. 하지만 아직도 많은 분들이 그곳에 있었고, 만나는 이들마다 반가워 부여잡은 손을 놓지 못하고 길게 인사를 나누며, “하나도 안 변했어요. 여전하시네요!” 라며 서로 능청을 떨었다. 웃고 기뻐하는 모습이야말로 정말로 하나도 안 변했다.     이렇게 살아도 되는 것이었는데 왜 그리 어리석게도 바쁘게만 살았는지, 마치 나 없이는 세상이 멈추기라도 할 것처럼 줄곧 앞만 보고 달렸다. 무엇을 위해서, 누구를 위해서 그리 살았나 모르겠다. 이젠 가고 싶은 곳에 가보고, 보고 싶은 이들을 만나면서 사람처럼 살아야겠다고 오래된 결심을 다시 꺼냈다.   물론 요즘도 그렇겠지만, 그 시절에 내가 담임하던 교회에서는 목회자들이 이런저런 사정으로 한동안 예배에 참석하지 못한 교우들, 심신의 고통이 있는 형제들, 연로하신 분들, 특별한 교제가 필요한 분들을 몇몇 교인들과 함께 가정이나 일터로 찾아가 심방하는 관습이 있었다. 교우들의 영육 간의 상태를 세세히 알게 되고, 그들을 격려하며 정을 돈독히 다질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     여러 나라에서 일해봤지만 이런 관습은 주로 한국인 교회에만 있는 것 같다. 미국에서 백인 교회를 담임했을 때 주중 심방을 하겠다고 했더니 신기하다며 의외의 반응이었다. 물론 이내 좋아하는 이들도 있었지만, 그들에게는 역시 필요한 이들이 필요할 때 미리 예약하고 목회 사무실로 찾아오는 것이 더 익숙했다. 문화 차이려니 했었는데, 요즘은 한인 교회들도 많이 달라진 듯하다.   내 또래의 J부부가 유난히 반가웠다. 오랜 세월이 흘렀지만, 그들의 표정과 태도는 너무도 낯익었다. 자녀들은 의젓하게 성장해 각자의 둥지를 틀고 열심히 살고 있다니 고맙고 기쁜 일이다. 이민 생활에서 자녀를 잘 키워낸 것만으로도 축하해주고 싶은 대단한 성공이다.     그곳에서 일할 때 J부부는 힘든 객지 생활 기반을 다지느라 애쓰는 전형적인 이민 1세대였다. 초등학교에 다니는 남매 자녀가 있었고, 부부는 도시 외곽의 사무실 밀집지역에서 작은 음식점을 운영하고 있었다. 당시 한국은 IMF 사태가 막 터졌을 때였고, 세계 경제 역시 걷잡을 수 없이 나락으로 떨어지고 캐나다도 예외가 아니었다.   경기가 어려우면 손님이 줄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드문드문 오는 손님마저 저렴한 메뉴를 선택하고, 그러면 매상이 더 내려갔다. 몸과 마음이 지치게 되고 신앙적인 열의마저도 시험에 들게 되는 원치 않는 악순환이었다. 그래서 나는 용기를 북돋우고 싶어 그들의 일터를 자주 찾고 함께 하늘의 도우심을 간구하곤 했었다.   한참 반갑게 이야기를 나누던 J부부가 정색을 하며 꼭 하고 싶은 얘기가 있단다.   나는 까맣게 잊고 있던 옛 이야기를 꺼낸다. “그때 음식을 더 찾으셨는데 다 떨어졌다고 거짓말을 하고, 더 드리지 못했던 것이 지금껏 마음에 걸려서 언젠가 꼭 말씀을 드리려 했습니다. 사실 그 음식은 차마 더 드릴 수가 없었습니다.”   장사가 잘 안 되는 어려운 시절에 가계에 들렸으니 나부터라도 음식을 좀 팔아주고 싶었다. 무슨 음식이었는지는 정확히 기억이 나지 않지만, 음식이 아주 맛있다며 더 청했단다. 이렇게 맛있는 음식인데, 먹으러 안 오는 이들은 막심한 손해를 보는 것이며, 주인장은 내가 인증하는 음식 솜씨로 조만간 분명히 어려운 시기를 벗어날 것이라는 희망을 주고 싶었던 거였겠지….     그런데 그 음식이 다 떨어졌다며 양해를 구하고는 나를 그냥 일어나게 하였단다. 아주 고약한 사람들 같으니라고!   그런데 그 어려운 시절에 손님은 자꾸 줄고 너무도 어려워서, 아주 감칠맛 나는 조미료를 많이 넣고 조리했었는데, 음식 맛 모르는 담임 목사가 맛있다며 더 청하는데 도저히 더는 줄 수 없었다고, 그래서 음식이 떨어졌다며 둘러댔고, 그때의 일이 몇 십 년이 지나도록 가슴에 걸렸단다.     참 잘한 일이네, 무슨 미안해하고 그걸 사과를 해. 사랑스러운 내 친구들. 우리는 부둥켜 안고 눈물이 그렁그렁하게 함께 웃어댔다.     나이가 점점 들어가니 세월을 막을 수야 없겠지만, 그들은 이제 은퇴하고 평화롭게 지내고 있었다. 큰 아이 이름이 ‘봄’이다. 앞으로 저들의 삶이 허락된 날까지 내내 아름다운 봄이기를 바라고 건강하고 행복하시기를 하늘에 빈다. 하늘이 이런 기도는 잘 들어주셔야 한다. 유진왕 / 수필가수필 음식 솜씨 그때 음식 캐나다 밴쿠버

2025-01-09

매년 5만명씩 증가… 메트로 밴쿠버, 2045년 인구 400만명

 메트로 밴쿠버 지역의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면서 도시계획 전반에 비상이 걸렸다.       매년 5만 명씩 새로운 주민이 유입되면서 당초 2054년으로 예상됐던 인구 400만 시대가 2045년으로 9년 앞당겨질 전망이다.       최신 인구조사와 연방정부의 이민정책 변화, 비영주권자 증가 추세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인구 증가는 해외 이민자 유입이 주도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2035년 이후에는 출생률 저하로 자연 증가율이 마이너스로 돌아설 것으로 예측됐다.       급격한 인구 증가에 대비해 메트로밴쿠버 당국은 2050년까지 총 172만 가구의 주택 공급을 목표로 세웠다.       매년 2만1천 가구의 신규 주택이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밴쿠버와 써리 지역을 중심으로 대규모 아파트 단지가 들어설 예정이다.       일자리 창출도 시급한 과제다. 2050년까지 지역 내 일자리가 210만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대규모 주택 건설에 따른 건설업과 서비스업 분야가 새로운 고용을 이끌 것으로 전망된다.       코로나19 팬데믹 당시 대도시 이탈 현상이 있었지만, 결과적으로 도시 성장세는 더욱 가속화됐다.       원격근무 확산 등으로 인한 도시 이탈은 제한적이었던 것으로 분석됐다.       메트로 밴쿠버 당국은 급격한 인구 증가에 맞춰 주택, 일자리, 핵심 인프라를 재정비하는 한편, 지역의 높은 삶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세부 계획도 마련할 방침이다. 밴쿠버 중앙일보밴쿠버 인구 메트로밴쿠버 당국 인구 증가 밴쿠버 지역

2024-12-19

밴쿠버 콘도 소유주, 1년 동안 빈집세 감사 3번 받아

 지난달, 사이먼 윌슨 씨는 밴쿠버시로부터 빈집세 감사 통보를 받았다. 지난 1년 동안 세 번째 감사 통보였다.   윌슨 씨는 유 스트리트에 거주하며 메인 스트리트에 세입자를 둔 작은 콘도 두 채를 소유하고 있다. 그는 2015년에 메인 스트리트의 콘도를 구입해 거주하다가 2021년에 유 스트리트의 두 번째 콘도를 구입했다.   윌슨 씨는 2021년을 "변화의 한 해"라고 표현하며 "메인 스트리트에서 유 스트리트로 이사하는 동안 메인 스트리트에 거주하면서 유 스트리트의 새로운 집을 수리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보험 회사에 정확한 거주 상태를 알리기 위해 거주 시간을 철저히 관리했다.   2021년 후반에 그는 유 스트리트로 완전히 이사했고 한 달 뒤에 메인 스트리트의 콘도에 세입자를 들였다.   2023년 4월, 그는 2021년에 유 스트리트 콘도가 사용 중임을 증명하기 위한 첫 번째 감사 통보를 받았다. 2023년 10월에는 메인 스트리트 콘도가 2021년에 사용 중임을 증명하기 위한 두 번째 감사 통보를 받았다. 그는 두 감사를 하나의 이야기로 처리하지 않고 각각 별도로 진행해야 한다는 점에 당황했다.   윌슨 씨는 시 직원들에게 "2021년 유 스트리트의 감사는 이미 완료되었고 그 기간 동안 두 곳에 거주했음을 증명했다"고 말했지만 시 직원들은 "별도의 감사를 진행해야 한다"고 답했다.   메인 스트리트의 두 번째 감사의 첫 번째 단계에서는 보험, 정부, 세금 서류 제출을 요구받았으나 이를 통과하지 못했다. 만약 벌금 2만 달러를 내야 했다면 콘도를 팔아야 했을지도 모른다고 윌슨 씨는 말했다.   그는 아마존 주문 및 음식 배달 영수증, 페이스북 그룹 대화 기록 등 다양한 증거를 제출하며 검토 과정을 거쳤다. 이를 통해 그는 2021년에 메인 스트리트 콘도가 사용 중이었음을 증명하고 벌금을 면제받았다.   하지만 벌금을 면제받은 지 한 달 만에 2022년을 대상으로 한 메인 스트리트 콘도의 새로운 감사 통보를 받았다. 그는 "이건 정말 불합리하다"며 두 콘도 모두 모기지가 있고 건강 문제로 인해 충분히 일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밴쿠버의 모든 주택 소유주는 2월에 주택 상태와 빈집 여부를 신고해야 한다. 도시는 빈집세 검증을 위해 무작위 감사와 위험 기반 감사를 수행한다. 2020년에는 11,890건의 감사를 실시해 4.8%인 576건이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에는 10,828건의 감사 중 3.6%인 367건이 규정을 위반한 것으로 나타났다.   윌슨 씨에 따르면 시 직원들은 이번 감사가 무작위로 이루어졌다고 전했다.   시 감사 분석가가 최근 감사에서 윌슨 씨의 파일을 열어보았을 때 2021년 감사 자료를 2022년 감사의 증거로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분석가는 감사 자체를 취소하지 않았지만 윌슨 씨가 세입자들로부터 받은 월간 전자 송금 영수증 6개 이상을 제출하면 감사 절차를 빨리 완료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윌슨 씨는 이를 제출해 감사를 신속히 완료할 수 있었다.   윌슨 씨는 "시스템에 대해 많은 의문이 생긴다"고 말했다. 밴쿠버 중앙일보소유주 밴쿠버 밴쿠버 콘도 동안 빈집세

2024-05-30

밴쿠버시 공공 광장서 음주, 1년 연장

 밴쿠버시는 지난 10일, 시민과 방문객이 야외에서 음주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공공 광장 음주 프로그램을 내년까지 연장한다고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매년 6곳의 지정된 장소에서 진행되며, 따뜻한 계절에는 한 곳을 더 추가해 음주가 가능하도록 허용된다.   2020년 팬데믹 기간 동안 사적인 야외 공간이 없는 사람들을 위해 처음 도입된 이 프로그램은 2021년에 재시행되었고, 2022년에는 영구 프로그램으로 확정되었다.   캔 시먼 밴쿠버 시장은 "공공 광장에서의 음주 프로그램을 연장하게 되어 기쁘다"며 "밴쿠버에서 활기찬 공공 공간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또한, 프로그램의 성공에 기여한 광장 및 커뮤니티 관리자들에게 감사의 뜻을 표했다. 이들은 각 광장이 위치한 지역의 다양한 비즈니스 개선 협회로 구성되어 있다.   2024/2025년도에는 연중 내내 음주가 가능한 장소는 캠비 스트리트와 17번가, 18번가(Cambie Street and 17th Ave), 그랜빌 스트리트와 13번가, 14번가(Granville St and 13th Ave), 로트 19, 855 웨스트 헤이스팅스 스트리트, 메인 스트리트와 21번가(Lot 19, 855 West Hastings St.)가 지정되었다. 추가로, 매년 5월 15일부터 10월 31일까지는 메이플 스트리트와 4번가에 위치한 제7의 광장(The seventh plaza-at Maple Street and 4th Ave)에서도 음주가 가능하다.     표영태 기자밴쿠버 공공 밴쿠버시 공공 공공 광장 음주 프로그램

2024-04-15

밴쿠버, 전국에서 가장 비싼 렌트비 오명 이어가

 캐나다에서 가장 비싼 렌트비를 받는 도시로 밴쿠버가 악명을 떨치고 있고, 렌트 목적으로 세워진 아파트들이 렌트비 상승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친다는 보고서가 나왔다.   캐나다 전국 렌트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Rentals.ca가 발표한 2월 기준 전국 평균 렌트비는 2196달러이다. 이는 1년 전에 비해 10%가 상승한 것이며, 전달에 비해서도 0.8%가 올랐다.   주요 도시 1베트룸 렌트비에서 밴쿠버는 2683달러로 1위를 차지했다. 전달에 비해서는 0.6%, 연간으로 1.7%가 하락했지만, 그 어떤 도시도 따라올 수 없는 비싼 렌트비를 받고 있다. 2위는 버나비시로 2551달러이다. 전달에 비해 1.9% 하락했지만 전년에 비해서는 6.2%나 급등했다. 3위는 토론토로 2511달러로 전달에 비해서는 0.4% 하락, 전년에 비해서는 2.2% 상승했다.   2베드룸에서 역시 1위는 밴쿠버로 3610달러이다. 이어 토론토가 3330달러, 버나비가 3138달러로 그 뒤를 이었다.   대도시 이외 중소도시의 평균 렌트비에서 BC주의 도시들이 상위권을 휩쓸었다. 우선 노스밴쿠버는 3208달러, 버나비는 2970달러, 코퀴틀람은 2840달러, 그리고 리치몬드는 2837달러로 4위까지 독차지했다. 5위는 리치몬드힐로 2789달러를 기록했다.   주별 평균 렌트비에서도 BC주는 2529달러로 가장 비쌌으며, 온타리오주가 2456달러였다. BC주는 3베드룸의 경우 3356달러로 역시 가장 비쌌으며, 이어 온타리오주가 3112달러를 기록했다.   전국적으로 주택형태별로 볼 때 평균 렌트 호가에서 렌탈 아파트는 2107달러로 가장 낮았고, 이어 콘도가 2372달러, 주택이 2352달러였다. 하지만 연간 변동율을 보면 렌탈 아파트가 13.5%로 가장 높은 상승율을 보였고, 이어 주택이 5.6%, 콘도가 4.1%였다.   주별 변동율에서는 BC주가 전체적으로 2.3%로 다른 주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았다. 이는 너무 비싼 렌트비를 보이고 있어 상대적으로 상승여력이 낮았기 때문으로 보인다.   방만 빌리는 데도 BC주는 2023년 1월 994달러였는데, 올 1월에는 1158달러로 역시 전국에서 가장 비쌌다. 도시별로 보면, 밴쿠버는 작년 966달러에서 올해 1338달러로 가장 비싼 도시라는 오명을 썼다. 작년에는 토론토가 1245달러로 가장 비싼 도시였다.         표영태 기자렌트비 밴쿠버 렌트비 오명 렌트비 상승 밴쿠버 전국

2024-02-15

밴쿠버 주택렌트 시장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네

 전국 주요 도시의 주택렌트 시장이 임차인에게 팍팍한데, 밴쿠버 상황이 작년에도 전국에서 가장 힘들었다.   캐나다모기지주택공사(Canada Mortgage and Housing Corporation, CMHC)가 31일 발표한 주택렌트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도에 전국적으로 임대주택 공실률은 1.5%, (임대목적) 콘도아파트 공실률은 0.9%였다.     2베드룸의 전국 평균 렌트비는 1359달러로 전년에 비해 8%가 올랐다. 콘도 아파트는 2049달러였다.   전국 주요 도시으 임대 주택 공실률에서 밴쿠버는 0.9%로 전년도와 같은 수준이다. 전국에서 유일하게 1% 미만의 낮은 공실률을 보이는 도시의 오명을 이어갔다. 토론토는 2022년에 1.6%에서 작년에 1.4%로, 몬트리올은 2%에서 1.5%로, 캘거리는 2.7%에서 1.4%로, 그리고 에드몬튼은 4.3%에서 2.4%로 모두 전년보다 낮아졌다.   전국적으로 임대 주택 공급률은 1.7% 늘어났고, 밴쿠버도 2.7%나 늘어났지만,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했다.   밴쿠버의 2베드룸 임대주택 렌트비는 2181달러로 전년도에 비해 8.6%나 올랐다. 2베드룸 콘도 아파트의 평균 월 렌트비는 2580달러이다.   이렇게 밴쿠버의 렌트비가 비싸지만 그래도 주택 소유 비용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것으로 분석됐다.  3베드룸 이상은 연간 소유보다 랜트의 경우 4004.09달러가 적게 들어간다. 2베드룸은 2212.74달러, 1베드룸은 1488.15달러, 그리고 방이 없는 원룸(bachelor)은 1050.3달러가 적다.   전국에서 가장 비싼 평균 주택가격에 렌트비까지 악명이 높은 밴쿠버의 주택문제 해결은 쉽지 않아 보인다. 최근 연방정부가 2년간 한시적으로 유학생 수를 제한해 주택 가격 안정을 도모하겠다는 정책을 발표했다. BC주에 17만 5000명 정도의 유학생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만약 유학생 수가 감소할 경우 렌트비 상승 압박이 완화될 수 있을 지 시험대에 올랐다. 표영태 기자주택렌트 밴쿠버 밴쿠버 주택렌트 주택렌트시장 보고서 주택렌트 시장

2024-02-01

밴쿠버 주말 한파주의보-영하 20도까지 예상

 예년보다 따스한 겨울 날씨를 보이던 BC주에 이번주말 돌풍을 동반한 한파가 몰아칠 예정이어서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연방기상청 날씨 경보 사이트를 보면, BC주와 알버타주, 사스카추언주까지 온통 빨간색으로 물들었다.   11일 밤부터 시작해 13일까지 북극 기간이 유입되면서 메트로밴쿠버지역의 기온이 영하 10도 이하까지 낮아지는 한파가 올 전망이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대 시속 60킬로미터의 북서풍이 예상된다. 강풍으로 인해 체감온도는 영하 20도까지 떨어지게 된다.   연방기상청은 이렇게 강풍에 체감온도까지 급강하하면서 몇 분간 밖에 나가 있어도 동상(Frostbite)에 걸리거나 저체온증(hypothermia)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며, 가능하면 야외활동을 자제하라고 경고했다. 특히 피부가 외부에 노출되면 동상에 걸릴 수 있다고 덧붙였다.   연방기상청의 주간 예보상으로 12일 최저기온은 영하 11도, 13일은 영하 9도, 14일과 15일에도 영하 6도와 영하 4도로 예상된다. 낮 최고기온도 12일 영하 8도를 비롯해 13일과 14일에도 영하 5도, 영하 2도로 영하군에 머물게 된다. 12일부터 14일까지 추위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해가 나다, 15일부터 눈비가 예상된다. 이렇게 눈비가 내리면서 16일 낮최고 기온은 영상을 회복한다는 예보다.   이렇게 한파가 찾아오면서 동시에 해안지대는 만조가 최고조로 높아지고, 파도도 높아지면서 일부 메트로밴쿠버 해안지대에 바닷물이 범람할 수 있다는 경고도 나왔다. 이에 따라 스탠리파크나 키칠라노 해안, UBC 리치몬드 등 해안가에 주민의 각별한 주의도 필요한 상황이다.   이런 높은 만조는 주로 이른 아침에 발생하고, 짧게는 한 주 길게는 한 달간 이어진다는 전망이다. 표영태 기자한파주의보 밴쿠버 영하 8도 영하 6도 영하 4도

2024-01-11

밴쿠버, 안전하지도 그렇다고 위험하지도 않은 도시

 캐나다의 도시의 범죄 발생 건 수를 분석한 자료에서 BC주의 도시 중 단 한 곳도 안전한 도시 10위권에 끼지 못했지만 위험한 도시에는 2개 도시가 포함됐다.   캐나다 경찰에 보고된 범죄의 양과 심각성을 모두 추적하여 지역사회에 대한 범죄의 영향을 측정한 범죄 심각도 지수(Crime Severity Index, CSI)를 분석한  money.ca 연구에서 BC주의 켈로나와 아보츠포드-미션이 가장 위험한 도시 6위와 7위로 나타났다. 이들 도시는 인구 10만 명 당 1007건과 818.4건의 범죄가 있었다.   가장 위험한 도시는 알버타주의 Lethbridge로 1190건의 범죄가 발생했다. 2위는 사스카추언주의 리자이나로 1113.5건, 3위는 뉴브런즈윅의 몽큰으로 1085.3건, 4위는 사스카툰으로 1043.1건, 5위는 위니펙으로 1040.7건이었다. 이외에 10위권 도시로 Greater Sudbury 779건, 썬더베이 775.2건, 그리고 에드몬튼이 757.9건이다.   반면 가장 안전한 도시에는 BC주의 도시는 단 한 개도 포함되지 않았다. 제일 안전한 도시는 토론토, 퀘벡, 오타와-가티뉴(퀘벡), 셔브룩, 오타와-가티뉴(온타리오), 몬트리올, 배리, Trois-Rivières, Saguenay, 그리고 해밀톤이 10위권에 들었다. 모두 온타리오주와 퀘벡주의 도시들이다.   밴쿠버는 캐나다의 3대 도시 중에 유일하게 가장 위험한 도시 10위에도 가장 안전한 도시 10위에도 포함되지 않았다. 전체 범죄 심각도 지수로 볼 때 캐나다 3대 도시 중 토론토는 61.1, 몬트리올은 78.3으로 전국 평균보다 높아 안전한 도시로 꼽힌 반면 밴쿠버는 92로 전국 평균보다 위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영태 기자밴쿠버 안전 도시 10위권 10위권 도시 이들 도시

2024-01-04

[한인사회 송년회] 비내리는 밴쿠버, 풍류열차를 탄 호남향우회

 세계 한인사회에 가장 큰 동향 친목 단체인 호남향우회의 일원인 밴쿠버 호남향우회가 올해도 연말 단합된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 한자리에 모였다.   밴쿠버 호남향우회는 지난 20일(수) 써리의 한 한식식당에서 총회를 겸한 송년의 밤 행사를 가졌다.   이날 국민의례로 시작된 행사는 김형구 회장의 환영사와 재무보고 등으로 이어졌다. 또 김 회장은 지난 2년 간 향우회를 위해 봉사해 온 윤종중 총무에게 감사패를 전달했다.   이어 김 회장은 향후 2년간 호남향우회를 이끌어갈 신임회장으로 신태용 민주평통 밴쿠버협의회 전 수석부회장이 선임됐다고 발표했다.     김 회장으로부터 향우회기를 넘겨 받은 신 신임회장은 감사의 뜻과 함께 호남향우회 발전에 기여하겠다는 뜻의 취임사를 전했다.   또 정기봉 전 회장이 호남향우회 연역에 대해 소개하는 순서도 있었다. 호남향우회는 호남 이외 지역에 거주하는 호남인들의 애향심을 위한 단체로 타 지역 향우회와 달리 세계 모든 지역에서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는 향우회다. 올해는 광주광역시에 10회째를 맞은 ‘2023 세계호남인의 날 기념식’을 개최하는 등 세계 규모의 단체로 자리매김했다.   이날 밴쿠버 호남향우회는 저녁 식사와 함께 경품을 나누고, 노래자랑 등 호남인의 정서에 맞게 풍류를 즐기는 여흥시간도 가졌다.         표영태 기자한인사회 송년회 호남향우회 풍류열차 밴쿠버 호남향우회 호남향우회 연역 호남향우회 발전

2023-12-21

마켓밴과 함께 쇼핑도 하고, RCMP 되는 법도 알아보고

 밴쿠버의 한인 Online Shoppingmall인 마켓밴이 오프라인으로 직접 상품도 구매하고, 연방공무원이 되는 상담 부스도 운영하는 행사를 마련했다.   마켓밴은 오는 16일 코퀴틀람 오스틴(1206 Ridgeway Ave Coquitlam) 지점에서 오프라인 팝업장터를 연다.   이번 장터에는 과일업체(Sandy Farm), 정육업체(Chowon Sliced Meat), 디저트업체(Ruby Bakery, EADA Coffee, Miss scone), 음식업체(LK Food, 온샘이네, 미주순대), 친환경 세제 및 스킨케어업체(Rebinu), 한국운송업체(Hyundai Shipping)이 참여한다. 또 KOTRA, RCMP 한인경찰과 시민공무원이 참가하여 한인 청소년들에게 Government Job 상담과 Photo time 가질 예정이다.   마켓밴측은 "지난 7월 28일에 첫 팝업장터를 열어 로컬 음식 업체(Bluebay, LK Food, Chowon Sliced Meat, Ruby Bakery, EADA Coffee)와 유아 의류 업체(72 ave), 유아 도서 업체(리리북스), 친환경 세제 및 스킨케어업체(Rebinu)들이 참여했고, 방문객도 400여 명에 달했다"고 밝혔다.     2013년 설립된 마켓밴은 밴쿠버 메인랜드를 중심으로 밴쿠버 아일랜드, 아보츠포드, 칠리왁 그리고 캘로나까지 주문 및 배송 가능한 온라인 식료품 쇼핑몰로 과일, 정육, 해산물, 로컬업체의 음식(반찬, 밀키트) 등을 구매할수있는 웹사이트이다.     마켓밴은 초기에 과일의 유통단계를 줄여 한인소비자에게 신선한 품질과 저렴한 가격으로 상품판매를 시작했다. 배송시스템이 없을 당시 카카오톡 단체 채팅방을 만들어 공동구매를 시작으로 현재는 온라인 주문 및 배송도 하고 있다.     마켓밴은 2020년 3월 펜데믹으로 밴쿠버 아일랜드 한인교민들이 식량조달에 대해 문제를 겪을 당시, 한인들을 위해 신선제품과 정육과 필요한 생필품을 주문받아 배송을 하였다. 현재도 빅토리아, 나나이모 교민들과 소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아보츠포드, 칠리왘, 캘로나까지 확대하고 있다.         표영태 기자마켓밴 쇼핑 밴쿠버 아일랜드 오프라인 팝업장터 밴쿠버 메인랜드

2023-12-14

김치없인 못살아 정말 못살아 (짱!)

 1975년에 발매된 '김시스터즈의 김치깍두기'라는 노래가 있다. '머나먼 미국 땅에 십 년 넘어 살면서 고국 생각 그리워 아침 저녁 식사 때면 런치에다 비후스틱 맛 좋다고 자랑 쳐도, 우리나라 배추김치 깍두깍두기 깍두기, 자나깨나 잊지 못할 김치깍두기, 낯설은 타국 땅에 몇몇 해를 살면서 고향 생각 (중략) 코리아의 천하진미 뚝배기의 된장찌개, 자나깨나 잊지 못할 된장찌개더라, (중략) 코리아의 천하일품 김치깍두기 깍두기, 자나깨나 잊지 못할 김치깍두기'라는 가사이다.   또 1985년에 나온 정관태의 김치주제가 가사는 '만약에 김치가 없었더라면 무슨 맛으로 밥을 먹을까 진수성찬 산해진미 날 유혹해도 김치없으면 왠지 허전해 김치없인 못살아 정말 못살아 나는 나는 너를 못잊어(후략)'라고 부르짖는다.   한인에게는 먼 타국에 있어도 고국에 있어도 잊지 못할 김치를 만드는 김장문화가 2013년 유네스코의 무형유산위원회에서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됐다.   이렇게 한인이 사랑하고 세계인이 주목하는 김장 김치를 기념하기 위해 문재인 정부 때인 2020년 2월 '김치산업진흥법'이 개정되면서 매년 11월 22일을 김치의 날로 지정했다. 김치가 식품으로 법정기념일의 대상이 된 것이다.   이후 세계 곳곳의 주요 한인사회에서 김치의 날 행사를 개최해 왔고, 2021년 재외동포재단의 후원으로 밴쿠버에서도 정기봉 K김치연대밴쿠버김치축제위원회장이 무궁화여성회와 함께 밴쿠버 김치 나눔축제를 시작했다.   작년에는 밴쿠버한인여성회(회장 미셀 김)가 주관을 해 추진을 했으며, 올해도 밴쿠버한인여성회와 K김치연대밴쿠버김치축제위원회가 무궁화여성회(회장 김인순)와 코윈밴쿠버(회장 양성연)과 함께 지난 25일(토) 오전 10시부터 앤블리센터(Anvely Center, 9912 Lougheed Hay, Burnaby)에서 3번째 김치나눔 축제를 개최했다.   밴쿠버여성회의 김 회장은 우선 매년 행사를 해 왔던 한인회관이 화재로 사용을 할 수 없어, 협소한 장소에서 행사를 하게 돼 많은 참가자를 받지 못한 것에 대한 아쉬움을 밝히고, "행사장이 꽉 차게 많은 참가자가 와 지난 목요일(23일)부터 밴쿠버여성회 회원들이 3일간 힘들게 준비한 것에 대해 보람을 느낀다"며 이들에 대한 박수를 요청했다.   행사장에는 밴쿠버여성회, 무궁화여성회, 코윈밴쿠버 회원들이 행사 진행을 위해 대거 참석했으며, 한인사회 단체 관계자들도 함께 했다. 또 한인사회 외부 축하 인사로, 카트리나 첸 주의원, 버나비시의 시장 대행인 앨리슨 구(Alison Gu) 시의원, 제임스 왕(James Wang) 시의원, 리차드 리(Richard T. Lee) 시의원 등이 참석했다.   K김치연대밴쿠버김치축제위원회 정 회장은 인사말을 통해 "재외동포재단후원으로 해외 대도시에서 김치세계연대를 조직하여 3회째 김치축제행사를 개최하고 있다"며, "캐나다에서도 밴쿠버 캘거리 에드먼튼도 함께 행사를 하고 있다"고 행사에 대해 소개했다. 또 "2021년 미국의 캘리아니아주에서 김치의 날이 제정된 이후   미국의 여러주 그리고 더 나아가 미국연방의회에서도 이번 12월에 김치의 날이 제정되도록 하고 있으며, 브라질, 아르헨티나, 영국의 여러 주에서도 김치의 날이 제정되어 세계적인 문화의 날이 되어가고 있다"고 알렸다.   이날 공식행사 이후 한인과 타민족 희망자를 대상으로 김치 만들기 체험행사가 진행됐고, 이후 김징 김치와 돼지고기 수육과 오뎅국으로 점심 식사를 같이 했다.     이번 행사를 위해 앤블리센터의 안젤리나 박 대표와, 양이스튜디오를 운영하는 모니카 조 플룻 연주자, 그리고 김용래 테너의 축하 공연이 펼쳐졌다.   한편 이날 체험 참가자들은 자기가 만든 김치를 담아 갔으며, 자원봉사자들이 만든 김치는 625참전유공자회나 뉴비스타의 독거 노인 등에 골고루 나누어졌다.     표영태 기자김치나눔 밴쿠버 정기봉 k김치연대밴쿠버김치축제위원회장 천하일품 김치깍두기 3회째 김치축제행사

2023-11-30

밴쿠버 집 있으면 연봉 23만불은 되는 셈

 전국에서 밴쿠버 평균 주택가격이 제일 높게 형성이 되어 있어 당연히 주택구입을 위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연봉이 요구된다.       주택모기지보험 전문기업인 Ratehub.ca가 16일 발표한 주택여유도 보고서에 따르면, 밴쿠버에서 주택 구입을 위해서는 연봉이 24만 8560달러는 되야 한다.         이는 9월의 25만 달러에 비해서 1440달러가 내려간 금액이다. 하지만 주택 구입을 위해서는 전국에서 가장 많은 연봉이 필요한 도시로 악명을 이어갔다.         토론토는 23만 450달러로 전달보다 4650달러가 내려갔다. 가장 큰 이유는 평균 주택가격이 110만 3600달러로 전달에 비해 2만 3400달러가 하락했기 때문이다.       밴쿠버도 119만 6500달러로 전달에 비해 6800달러 내려갔지만 여전히 제일 높은 가격을 보였다.         밴쿠버와 토론토 2개 도시를 빼면 주요 도시의 평균 주택 가격은 100만 달러 이하이다.       보고서는 주택구입 조건으로 20%의 다운페이를 하고, 나머지는 25년간 5년 고정 모기지 이율로 6.47%로 계산했다. 여기에 연간 재산세 연간 4000달러, 매월 150달러의 난방비 등도 포함시켰다.       향후 주택 여유도는 오는 12월 6일 중앙은행의 기준 금리 발표에 따라 좌우될 것으로 보인다. 즉 금리를 고정시킬 것인지 아니면 다시 인상할 것인지의 향배에 달린 것이다. 이 보고서는 내년 하반기에는 무조건 기준금리가 내려갈 것이라는데에 배팅을 했다. 표영태 기자밴쿠버 연봉 밴쿠버 평균 주택구입 조건 연봉 23만불

2023-11-1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