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푸드뱅크 무료 식품 버젓이 노상 판매…생계 위해서 "어쩔 수 없다"

24일 오전 10시, 박모(76) 할머니가 LA 한인타운 윌셔 불러바드와 버몬트 애비뉴 교차로 버스정류장 앞쪽에 좌판을 깔았다. 벌써 6개월째다.   좌판은 마치 식품점을 방불케 한다. 통조림, 쌀, 콩, 라면, 각종 채소 등 다양하다. 버스정류장과 지하철역을 오가는 사람들은 호기심 어린 눈빛으로 식품을 둘러본다.   특이하게도 모든 식품의 가격은 ‘1달러’다. 일부 한인을 비롯한 타인종들은 박 할머니의 좌판이 익숙한 듯 지폐 한 장을 건네고 필요한 식품을 집어간다.   박 할머니는 “푸드뱅크에서 무료로 받은 식품을 팔고 있다”며 “먹고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시작했다”고 말했다.   푸드뱅크는 저소득 주민들을 위해 기부받은 식품 등을 무료로 나눠주는 비영리 단체다.   일부 한인 시니어들이 푸드뱅크를 통해 받은 식품을 되팔고 있다. 푸드뱅크에 따르면 수혜자가 식품을 되파는 행위는 금지 규정에 해당한다. 문제는 생활고에 시달리는 저소득층이 이를 되팔면서 규정과 현실 사이에서 괴리가 있다는 점이다.   LA 한인회 등 한인 비영리 단체들에 따르면 푸드뱅크에서 무료로 지원되는 식품이 시중에 유통되는 정황은 곳곳에서 포착되고 있다. 윌셔 불러바드, 버몬트 애비뉴 등 노점상이 들어서는 곳에는 이렇게 무료로 지원받은 식품을 되파는 한인 시니어들을 쉽게 찾아볼 수 있다.   일각에서는 저소득층과 시니어가 푸드뱅크의 규정을 위반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반면 시니어 빈곤의 사각지대를 제대로 살펴야 한다는 목소리 역시 공존한다.   박 할머니의 경우 LA 한인타운에 산다. 일주일에 2~3번 정도 전철역 인근이나 골목길에서 좌판을 깔고 푸드뱅크를 통해 받은 식품을 판매하고 있다. 사정을 들어보면 현실적인 문제가 있다.   박 할머니는 “이렇게 팔아도 하루 수입은 몇십 달러도 안 된다”며 “저소득층 보조금도 못 받아 생계 유지가 안 돼 이 일이라도 꼭 해야 한다”고 말했다.   푸드뱅크의 식품을 받기 위해서는 수령자가 ‘본인 또는 가족의 직접 소비용’ 및 ‘재판매 금지 조항’에 서명해야 한다. 다만 현장에서 제대로 된 단속은 이뤄지지 않고 있다.   제프 이 LA 한인회 사무국장은 “푸드뱅크에서 식품을 나눠줄 때 수혜자 정보를 자세히 받지 않기 때문에 그 물품을 다시 판매한다 해도 사실상 단속은 쉽지 않을 것”이라며 “운영 기관들도 일부 재판매 사례가 있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이를 강하게 제지하지 않는 실정”이라고 전했다.   이 사무국장은 이어 “일부 사례를 이유로 식품 배포 자체를 중단할 수도 없고, 일부 저소득층 시니어들에게는 생계도 걸려 있는 문제라서 정답은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일각에서는 관련 규정은 준수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재판매 행위는 지원이 절실한 다른 수혜자에게 불이익이 끼치고, 자칫 기부 시스템 전반에 대한 신뢰를 해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익명을 요구한 한인 비영리단체 관계자는 “푸드뱅크에서 지원받은 물품을 되파는 한인 시니어들이 실제로 꽤 있다”며 “일부는 개인의 금전적 이익을 위한 경우도 많은데, 이런 행위는 정말 필요한 사람들이 제때 식품을 받지 못하는 상황을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제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센서스국(Census)에 따르면 65세 이상 아시안 전체 빈곤율은 14.2%이다. 한인 시니어의 빈곤율은 23.2%(2021년 기준)로 집계돼 아시아계 중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또, 아시안아메리칸연합(AAF)이 발표한 자료(2023년 기준)에 따르면 LA 지역 한인 시니어 가구 중 은퇴연금을 수령하는 비율은 7.8%에 그쳤다. 이는 일반 시니어 가구(13.5%)나 다른 아시안 시니어 가구(18.2%)와 비교해도 현저히 낮은 수치다. 강한길 기자푸드뱅크 무료 한인 시니어들 재판매 행위 식품 배포 규정 위반 생활고 정부 지원금 생계 좌판 빈곤 미국 LA뉴스 LA중앙일보 강한길 미주중앙일보 로스앤젤레스 캘리포니아 한인타운

2025-04-24

메트로밴쿠버의 2022년도 생계 임금 시급-24.08달러

 메트로밴쿠버에서 살아가기 위해서는 부부가 각각 24.08달러를 벌어야 한다는 계산이 나왔다.   BC가족생계임금(Living Wage for Family BC)가 매년 발표하는 생계 임금(Living Wage)의 2022년도 자료에 따르면 메트로밴쿠버에서는 24.08달러가 됐다.   이는 작년보다 17.3%인 시간 당 3.56달러를 더 벌어야 한다는 계산이다. 이렇게 크게 생계 임금이 올라간 이유는 높아진 생계 물가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생계 임금은 2명의 풀타임 수입을 갖고 있는 부모와 4살과 7살 자녀를 둔 4인 가정을 기준으로 산출하고 있다.   메트로밴쿠버에서 각 가계 비용을 볼 때 한 달에 식품비로 1114달러로 작년에 비해 161달러가 늘어났다. 식품비보다 더 큰 가계 비용은 주거비이다. 또 식품비는 예년에 자녀 양육비에 이어 3번째로 높았는데, 주정부가 양육보조금을 늘리고, 반대로 식품비는 폭등을 하면서 2번째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가계 비용이 됐다.   이 리포트는 BC주의 최저 시급인 15.65달러와 비교할 때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고 지적했다. 즉 정상 가정에서 최저 임금만으로는 가계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BC주에서는 주도가 위치한 광역 빅토리아가 24.29달러로 가장 높았다. 이는 전체적으로 밴쿠버섬의 식품비가 크게 올랐기 때문이다. 빅토리아 지역의 식품비가 25.81%나 증가했다.   한편 연방통계청은 식품 물가가 오른 원인에 대해 코로나19로 공급망이 붕괴 됐기 때문이라고 봤다. 또 다른 이유로는 각 지역의 열악한 기후가 지목됐다.     이런 가운데 임금도 인상되고, 생산에 한 몫을 담당하는 에너지 가격도 폭등하고, 원자재 값도 올라가는 등 외부적인 요인들도 식품 가격을 상승시키는데 일조했다.   여기에 높은 소매점 운영 비용도 다시 높아진 생산 단가에 더해 상품 가격을 올리는 요인이 됐다.     표영태 기자메트로밴쿠버 생계 생계 임금 생계 물가 최저 임금

2022-11-17

생계 보조받는 저소득층, 정부서 250불 보너스 준다

올 1월 현재 연방정부로부터 사회보장 연금이나 저소득층 생계보조비(SSI)를 받고 있는 수혜자는 오는 5월 '250달러 보너스'를 받는다. 연방사회보장국(SSA)은 4일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지난 달 17일 서명한 '경기부양안'에 따라 SSI 수혜자 등에게 '경기부양 지원금' 250달러를 일시불로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지급대상은 1월 현재 재향군인 연금 수혜자와 철도청 연금 수혜자들도 포함되며 사회보장 연금이나 SSI를 다른 연방정부 연금을 동시에 받고 있어도 해당된다. 이번 조치로 가주에서만 600만명 미 전역에서는 5600만명이 지원금을 받게 된다. SSA는 '경기부양 지원금'을 오는 5월 말까지 지급을 끝낼 예정이며 4월 중 수혜자에게 통지서를 발송하게 된다. SSA 윌셔지부의 케이시 김 매니저는 "부부인 경우 경기부양 지원금 수표는 별도로 지급받는다"며 "이번 지원금은 매월 지급되는 연금이나 SSI 수령액과는 별도로 지불되기 때문에 생활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지급 방식은 은행에 자동 입금되거나 수표 또는 '디렉트 익스프레스(Direct Express) 현금인출카드(데빗카드)로 지급된다. 김 매니저는 "오는 6월 첫째 주까지 수표나 현금 입금이 안돼 있다면 전화나 인터넷을 통해 통보해줄 것"을 당부했다. ▷문의: (800)772-1213 또는 www.socialsecurity.gov 장연화 기자

2009-03-04

'경기부양 지원금' 누가 받나…올 1월까지 등록한 연금 수혜자에 혜택

5월부터 지급되는 연방사회보장국의 경기부양 지원금 지불과 관련 예상되는 궁금증들을 일문일답으로 정리했다. 사회보장국측은 "한인들을 위해 웹사이트에 관련 내용을 한국어로 정리해 올려놓겠다"고 밝혔다. ▷수혜자의 범위는. "사회보장국의 연금을 받거나 장애자 수당 생계보조비(SSI)를 받는 18세 이상 성인이어야 한다. 또한 재향군인 연금 수혜자와 철도청 연금 수혜자도 해당된다. 금액은 250달러로 일시불로 지급된다. 따로 신청을 하지 않아도 된다. 미 전역에서 만 5500만 명이 혜택을 받게 된다." ▷올 2월부터 사회보장 연금 SSI 재향군연금 철도연금 수혜자가 됐다. 수혜자 자격이 되는가. "안타깝지만 안된다. 오직 2009년 1월까지 수혜자로 등록돼야 받을 수 있다. 또 주정부와 연방 기관에 체납금이 있거나 양육비가 밀려있어도 수혜대상에서 제외된다." ▷언제 받게 되나. "늦어도 6월 첫번 째 주까지 모든 수혜자가 지불받을 수 있도록 계획하고 있다. 지원금은 월 연금수당 지급에서 포함되지 않고 따로 분류돼 지불된다. 6월 첫주 이후까지 받지 못하면 전화(800-772-1213)로 문의하면 된다. 가능한 이 기간 전까지 문의는 사절한다." ▷지불 방식은. "매월 본인에게 지급되는 사회보장연금이나 SSI와 같은 방법으로 지불된다. 따라서 은행의 자동입금을 이용하는 사람들은 은행으로 자동입금 되고 수표를 받는 이들은 집으로 수표가 발송된다. '디렉트 익스프레스(Direct Express)' 데빗카드를 이용하는 사람들에겐 데빗 카드로 지급된다." ▷개인이 받을 수 있는 최대는. "사회보장연금과 SSI 재향군인 연금을 함께 받고 있어도 경기부양지원금은 한 번만 지급된다." ▷부부가 사회보장 연금과 SSI혜택을 함께 받고 있다. 경기부양지원금을 따로 받을 수 있나. "그렇다. 부부가 함께 연금이나 SSI 혜택을 받고 있어도 각각 지불된다." ▷SSI 수혜자가 경기부양 지원금을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되나. "받은 달부터 9개월까지는 추가 수입으로 계산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후부터는 수입으로 계산된다." 장연화 기자

2009-03-04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