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인컴유닛 구매시 유의사항…투자용 다세대 주택 구입하려면, 유닛당 렌트비·공실률 고려하라

한인타운에서 2유닛 이상의 인컴 유닛 인기는 여전하다. 유동인구가 많아서 렌트수요가 꾸준하기 때문에 노후대비 투자용으로 찾는 사람들이 많다. 건물상태가 괜찮고 렌트비가 마켓 수준에 맞는 유닛은 고정적인 수입이 보장되고 R-4조닝(4유닛 이상을 지을 수 있는 지역)에 있는 소형 유닛은 재개발의 잠재력 때문에 가격이 좋다. 그래서 인컴유닛은 부동산 경기가 주춤해도 높은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다. 인컴 유닛은 보통 2유닛(듀플렉스)이상의 주거용 부동산을 말한다. 일반 주택융자를 받을 수 있는 4유닛이 가장 인기가 높다. 5 유닛부터는 상업용 융자를 받아야 하므로 다운페이도 40%이상은 해야 된다. 그러나 유닛수 가 많다고 해서 가격이 나쁜 것은 아니다. 유닛이 많은 아파트는 주로 투자 전문회사나 자본이 많은 사람이 구입한다. 아파트는 고정비용에 비해 렌트 인컴이 좋기 때문에 수입은 소형 유닛보다 오히려 더 많다. 인컴 유닛은 구입시 다음과 같은 점을 잘 확인해야 한다. ▶수리할 곳: 유닛 내부와 외부에 수리할 곳이 생기면 나중에 바이어한테 금전적인 짐이 된다. 건물 인스펙션때 수리할 곳이 있는지 잘 확인해야 된다. 있다면 셀러한테 고쳐줄 것을 요구해야 한다. 특히 지붕은 수리비중에서도 비중이 크므로 자세히 살펴야 한다. ▶유닛 상태: 지금 당장은 별 문제가 없지만 수년 후 문제가 될 만한 곳이 있는지 확인한다. 건물 벽에 균열이 생겼다면 전문가의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단순히 겉 재질에 크랙이 간 것은 별 지장이 없지만 구조자체에 구멍이나 파손된 부분이 있다면 안전에 문제가 될 수 있다. ▶세입자: 세입자의 질을 알아두면 좋다. 소득은 많아도 매월 연체료를 내는 사람보다는 적게 벌어도 꼬박꼬박 렌트비를 잘 내는 사람이 최고다. 직장을 이곳 저곳 옮기는 세입자 보다 한 곳에서 꾸준히 일하는 사람이 더 좋다. ▶렌트 스케줄: 유닛 당 월 렌트비가 얼마인지 알아야 한다. 유닛 가격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므로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 셀러가 말하는 것보다 테넌트가 직접 공개하는 것이 더 정확하다. '테넌트 에스토팔'(Tenant Estoppel:테넌트가 먼저 한 진술에 대해 나중에 번복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항)을 통해 정확한 렌트비를 확인할 수 있다. ▶리스 기간: 세입자들의 리스기간을 살펴봐야 한다. 유닛별로 언제 리스가 끝나는지 월별로 렌트가 있는지를 알아둬야 렌트 인컴 계획을 잘 세울 수 있다. ▶공실률: 모든 유닛이 다 찼으면 상관없지만 빈 곳이 있다면 몇 유닛이 비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대개의 경우 아파트 공실률은 5%정도로 계산해서 인컴을 산출해 낸다. 지금 당장 빈 유닛이 없다고 해도 미래에 발생할 것을 감안해서 렌트 수입에서 5%를 떼어내어 비축하는 것이 좋다. ▶인컴과 경비: 인컴 유닛은 건물주가 물값과 재산세 보험료 가드닝 교체비용 등을 부담한다. 총 렌트인컴에서 공실률을 제하면 순 인컴이 나온다. 이 인컴을 구입가격으로 나누면 캡레이트(Cap Rate:투자대비 수익률)가 된다. 순 인컴에서 모기지 페이먼트를 빼면 순 캐시플로우(Cash Flow)가 나온다. 이 캐시 플로우는 실제로 건물주가 손에 쥐는 현금 수입이 된다. 박원득 기자

2011-06-08

인종 따라 다른 Buyer…한인 바이어 90% "어디가 남향이지요?"

에이전트들이 주택을 비롯한 부동산 매매및 리스일을 하다보면 다양한 인종을 만난다. 피부색과 종교 나이에 상관없이 모든 인종은 '아메리칸 드림=마이홈=스윗 홈'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그러나 집을 살 때 관심있게 보는 항목이나 조건에 대한 생각과 반응은 문화적 차이만큼이나 전혀 다르다. 모든 인종이 다 그런것은 아니지만 부동산 에이전트들이 느끼는 일반적인 관점은 분명히 다르다. ◆ 방향에 대한 생각 "어디가 남쪽이지요?" 한인 바이어들의 10명중 9명은 꼭 방향을 물어본다. "현관문이 남향인가요 아니면 앞마당이 남향인가요?" 한인 바이어 중에는 아무리 좋은 조건의 주택이 나와도 방향이 다르면 구입을 포기하기도 한다. 그러나 미국인 바이어 중에서 방향 물어보는 경우는 거의 없다. 있다면 뷰를 생각할 때 물어본다. 뷰를 위해서라면 한인처럼 방향을 따지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라면 방향에 대한 질문이 없다. 한인들이 방향을 생각하는 이유는 리빙룸이 남쪽을 바라봐야 실내가 밝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미국인은 밝은 것을 싫어하나? 그건 아니다. 단지 집을 사는 조건으로 방향이라는 요인을 절대적인 이유로 삼지 않을 뿐이다. ◆ 렌트에 대한 생각 한인들은 2베드룸이라면 아파트 콘도 단독주택이건 상관없이 렌트비는 1500~1800달러라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다. 학군이라는 프리미엄이 있어도 이를 인정하려 들지 않는다. 미국인들은 동네나 주택형태에 맞춰 렌트비를 생각한다. 예를 들어 다운타운 고층콘도라면 1베드룸은 2000~3000달러 2베드룸은 2500~4000달러하는 식으로 현실적으로 움직인다. 에이전트 이모씨는 얼마 전 한인신문과 MLS에 2베드룸 콘도 렌트 광고를 냈다. 신문을 보고 전화하는 한인들은 이씨가 부르는 2300달러의 렌트비가 비싸다고 전화를 끊었다. 하나같이 방 2개짜리가 무슨 2000달러가 넘느냐고 말했다. 반면 MLS를 보고 전화하는 미국인들은 적당한 수준이라며 리스계약을 하자는 전화가 많이 걸려왔다. ◆ 스페셜 택스에 대한 생각 발렌시아와 같은 신규주택단지에는 일명 '멜로 루스'라고 불리는 스페셜 택스가 부과되는 단지들이 있다. 금액은 대부분이 일반 재산세의 절반수준이다. 스페셜 택스는 새로 지어지는 주택단지를 위해 학교 설립 등 입주자를 위한 인프라 구축비용에 쓰여지게 된다. 한인들은 "학교는 나라에서 지어야지 건설비용을 왜 홈오너들이 부담해야 되느냐"고 불만스런 목소리를 낸다. 한인들은 새로운 주거단지를 좋아하지만 수익자 부담원칙에 대해서는 거부감이 심하다. 그러나 미국인들은 학교가 자신의 자녀를 위해 지어진 것 이니만큼 스페셜 택스는 그만한 가치가 있다고 인정한다. 따지기 좋아하는 미국인이지만 자신이 받는 혜택에 대한 비용지불에 대해서는 부정보다 긍정이 많다. ◆ 관리비(HOD)에 대한 생각 콘도나 타운 하우스 신규 주택단지에서 부과되는 공동지역 관리비에 대해서도 한인과 미국인은 상반된 생각을 갖고 있다. 한인들은 관리비가 300달러만 넘어도 난리가 난다. "그 돈으로 뭐하는 거냐" "관리할 것도 없는데 왜 내야 되느냐" "쓸데없이 나가는 돈이다" 등등 다양한 생각으로 부정적인 의견을 표출한다. 반면 미국인은 금액만 물어볼 뿐 별다른 이견을 달지 않는다. 더 물어본다면 관리비에 어떤 것이 포함되는지 정도다. 관리비는 개발업자를 위한 비자금이 아니다. 그 단지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비용과 관리에 필요한 자금을 예치하는 것이다. 지금 당장 지출이 발생하지 않더라도 미래를 위한 예비자금으로 비축하고 있다. 참고로 웨스트 우드 고급콘도는 한달 관리비만 4000달러가 넘는 곳도 있다. 박원득 부동산 전문기자 [email protected]

2011-02-09

[주택구입 기본 절차-2] 서류 사인 끝났다고 융자 안심 못해···크레딧 점수 끝까지 지켜야

▷각종서류 사인 바이어는 융자를 준비하고 셀러는 바이어한테 보내야할 서류를 준비한다. 에스크로 오피서는 정식으로 주택 매매 계약서를 만든다. 바이어가 에스크로 오픈후 1주일이내에 셀러로 부터 받아야할 서류가 'TDS'(Transfer Disclosure Statement)다. 이 서류에는 사려는 집에 대한 모든 것이 공개된다. 고칠곳이 있는지 과거 수리한 적 있는지 등등 여러가지 기록이 나타난다. 이 서류에 뒤이어 터마이트 리포트(나무를 갉아 먹는 흰개미가 있다 없다에 대한 보고서) 스모크 디텍터 워터히터 납성분과 곰팡이 유무 등 여러가지 리포트가 바이어한테 전달된다. 바이어는 여기에 사인을 해서 셀러측으로 보내야 한다. ▷인스펙션 에스크로를 오픈하고 나서 바이어가 할 일 중에 건물 인스펙션이 있다. 일반인이 봐서는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알 수 없으므로 전문 인스펙터를 고용해야 된다. 인스펙터는 전기와 플러밍 배관 시스템과 냉난방 가동 상태 등을 항목별로 점검하고 그 결과를 알려준다. 바이어는 수리할 것이 생기게되면 세가지 방법중 하나를 골라야 한다. 첫째. 셀러한테 고쳐달라고 요구한다. 둘째. 수리대신 금전적인 크레딧을 달라고 한다. 셋째. 문제가 크지 않다면 그냥 산다. 이런것들은 셀링 에이전트와 상의해서 결정하면 된다. 수리할 부문중 지붕이나 배관에 문제가 있고 지반에 균열이 생겼다면 공사비가 많이 들어간다. 큰 결함이 발견되면 고쳐달라고 요청하는 것이 좋다. ▷웍 스루(Walk through) 수리를 요청한 것에 대한 확인작업이다. 바이어가 처음 요청한대로 고쳐졌는지 직접 눈으로 체크하는 것이다. 또한 집을 구입하기전에 마지막으로 점검하는 절차이기도 하다. 에스크로를 열고나서 바이어가 셀러한테 아쉬운 소리 하지않고 집에 들어갈 수 있는 기회는 딱 두번이 있다. 하나는 인스펙션때 검사과정을 참관할 수 있고 마지막으로 웍 스루를 통해 들어갈 수 있다. 바이어가 정식으로 입주하기전에 마지막으로 볼 수 있는 기회다. 따라서 웍 스루때 수리결과를 꼼꼼히 확인해야 한다. ▷론 닥(Loan Document:Loan Doc) 바이어와 셀러가 주고받을 서류에 사인을 하고 융자도 준비가 되었다면 '론 닥'(Loan Document:Loan Doc)이 마지막으로 남게된다. 은행에서 융자를 해주겠다는 정식 서류다. 바이어는 이 서류가 나올때까지 안심을 할 수 없다. 모든 사람들이 눈이 빠지게 기다린 서류가 바로 론 닥이다. 론 닥 패키지는 법률서적만큼 두껍다. 여기에는 이자율과 융자금액 기간 등 기본적인 내용과 함께 바이어와 은행간의 책임과 의무에 대한 내용들이 적혀있다. 이 서류에 사인을 하고 나면 은행에서는 다시 론 닥을 검토한다. 이때부터 다시 긴장에 돌입하게 된다. 은행이 마음이 바뀐다면 융자를 취소할 수 있기 때문이다. ▷펀딩 다행히도 은행 '언더라이터'(Underwriter:융자 심사관)의 마음이 흔들리지 않았다면 론 닥 사인후 3일째되는날 '펀딩'(Funding)이 된다. 돈이 나왔다는 뜻이다. 론 닥에 사인하고 나서 바이어가 조심해야될 것이 있다. 크레딧 리포트다. 힘들게 융자를 받는 바이어들이 있다. 예를들어 어떤 프로그램을 받기위해서 은행이 요구하는 신용점수가 750점이라고 하자. 바이어 크레딧 점수는 753점으로 가이드 라인을 가까스로 넘겼다. 그런데 바이어는 에스크로 오픈후 '새술은 새부대에 담는다'는 성경구절처럼 새 차를 장만했다. 이 과정에서 몇몇 자동차 융자기관에서 크레딧을 찍어봤다. 당연히 신용점수가 떨어지게 된다. 모기지 렌더는 마지막으로 론 닥을 점검할때 바이어의 크레딧 리포트를 다시 떼어 보는 수 가 있다. 이럴때 크레딧 점수가 내려갔다며 융자를 거부하기도 한다. 이 사례는 실제 거래에서 가끔 발생하는 케이스이므로 특히 조심해야 한다. 명심하자. 에스크로가 끝날때까지 절대로 신용점수 깎이는 일은 하지 말아야 된다. ▷에스크로 종결 에스크로 오피서는 카운티 등기소로부터 바이어 이름으로 타이틀이 등록됐다는 통지를 받게되면 바로 에스크로를 종결한다. 바이어가 대망의 집 키를 받는 순간이다. 여기까지 걸리는 기간이 30일정도. 정상적인 주택을 구입한다면 매매절차를 완료하는데 한달이 걸리는 셈이다. 대략 이 기간에 맞춰 이사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다. 바이어가 입주하는 시기는 셀러와 합의하에 조정할 수 있다.〈끝> 박원득 기자

2009-02-04

[주택구입 기본 절차-1] '융자 우습게 보다간 집 못사'···승인 먼저 받고 샤핑하라

집을 사기위해서는 바이어가 수백여장의 서류에 사인을 해야 된다. 주택매매를 몇번 해본 경험자들도 뭐가 뭔지 모르는 상황에서 사인을 한다. 사실 이때는 설명을 해도 귀에 들어오지 않는다. 초보 바이어들은 더 헷갈린다.주택을 구입하는데 있어서 기본적으로 알아야한 절차를 2회에 걸쳐 소개한다. ▷융자자격 순서가 바뀌었다. 불과 3년전만해도 집부터 찾은 다음 융자를 준비했다. 그러나 모기지 렌더들이 금고문을 굳게 잠그고 있어 융자부터 확인해야 된다. 에스크로를 오픈했는데 융자가 안된다면 시간과 돈만 낭비하게 된다. 융자자격을 확인하려면 큰 메이저 뱅크를 찾는 것이 좋다. 뱅크 오브 아메리카 웰스 파고 등 직접 돈을 빌려주는 은행에서 사전 심사를 받는 것이다. 론 오피서한테 세금보고상의 소득을 밝히고 20%정도 다운할 수 있다고 하면 융자가능액수를 알려준다. 그럼 이 액수와 다운페이먼트 금액을 합친 것이 바로 구입가능한 주택의 가격이다. ▷주택샤핑 융자사전승인을 받았다면 그 다음순서는 에이전트를 정하고 주택을 찾아 나서야한다. 에이전트한테 콘도나 타운 하우스 또는 단독주택 등 본인이 원하는 주택 스타일과 가격대를 알려준다. 요즘은 은행집이 많다. 숏세일 집도 많다. 그러나 장단점이 있다. 둘다 싸게 구입할 수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린다. 특히 은행으로 넘어간 차압주택은 수리비가 많이 들어 갈 수 도 있다. ▷밸류 체크 마음에 드는 집이 나타났다. 그러면 오퍼쓰려는 가격이 감정가에 합당한지를 알아야 한다. 그 집의 대략적인 가치는 집을 보여주는 셀링 에이전트(바이어측 에이전트)한테 물어보면 알려준다. 아는 감정사가 있다면 정식 감성서류가 아닌 '밸류 체크'(Value Check)를 요청할 수 있다. 지금은 감정이 짜다. 일반인이 생각하는 가치에서 약간 밑도는 수준으로 생각하는 것이 좋다. 아무리 좋은 집이라고 해도 감정이 나오지 않는다면 소용이 없다. ▷오퍼쓰기 밸류체크가 끝났다면 이젠 오퍼를 써야 한다. 셀링 에이전트가 오퍼서류를 갖고 오면 금액을 적고 사인을 해서 보낸다. 바이어가 보내는 오퍼의 유효기간은 보통 3일이다. 그러나 은행집이나 숏세일은 '함흥차사'다. 언제 카운터 오퍼가 올지 알 수 가 없다. 셀링 에이전트도 알지 못한다. 짧으면 몇주부터 길면 몇개월도 걸린다. ▷에스크로 오픈 초기 오퍼에 대해 셀러가 바로 수락할때도 있고 여러차례 카운터를 주고 받는 경우도 있다. 어찌됐든 쌍방이 오퍼에 대해 합의를 하게되면 에스크로를 오픈하게 된다. 에스크로 회사는 일반적으로 셀러측이 정한다. 법으로는 양측이 합의해서 결정한다고 되어있지만 통상적으로 셀러가 정하는 것이 상례다. ▷융자시작 바이어는 이때부터 가장 중요한 일을 준비해야 한다. 바로 융자다. 집을 사느냐 못사냐하는 운명이 걸린 작업이다. 수년전에는 융자가 별일 아닌것 처럼 보였지만 지금은 여러사람의 희비를 좌우한다. 만약 일을 진행하면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융자를 받지 못하게 된다면 17일이내에 셀러측에게 알려야 한다. 이 기간을 놓치면 디파짓 했던 체크(구입가격의 3%)를 돌려 받지 못하게 된다. 셀러가 계약위반으로 인한 손해보상으로 가져가게 된다. 그러나 17일이내에 융자를 이유로 에스크로를 깬다해도 바이어는 디파짓 체크를 돌려 받을 수 있다. 하지만 그동안 발생한 경비에 대해서는 바이어가 책임져야 한다. 박원득 기자

2009-01-28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