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교통혼잡료 수입 1억5900만불…3월에만 4500만불 거둬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폐지를 추진하고 있는 가운데,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시행 이후 첫 3개월 동안 약 1억6000만 달러의 수입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28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시작된 올해 1월 5일부터 3월 31일까지 1억5900만 달러를 징수했다.     앞서 지난 1월 한 달 동안 MTA는 교통혼잡료를 통해 4860만 달러를 징수했고, 2월에는 5190만 달러, 지난달에는 4500만 달러 수입을 올렸다.     MTA는 올해 말까지 총 5억 달러의 수입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또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은 혼잡 완화에 효과가 있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MTA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혼잡완화구역(CRZ)으로 진입한 차량은 전년 동기 대비 일평균 약 8만2000대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뉴욕주는 연방정부의 경고에도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이며, 이에 트럼프 행정부는 최근 뉴욕주를 향해 재차 경고하고 나섰다.     당초 교통부는 뉴욕주에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4월 20일까지 폐지하라고 명령했으나, 주정부가 이를 따르지 않자 이번에는 5월 21일까지 프로그램을 폐지하라고 재차 명령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수입 교통혼잡료 수입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가운데 교통혼잡료

2025-04-29

연방정부 변호사들 “교통혼잡료 폐지 설득력 없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뉴욕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폐지하라며 압박하고 있지만, 연방정부 변호사들은 폐지 주장이 설득력이 없다고 인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24일 데일리뉴스 등에 따르면, 연방정부가 법원 증거문서 목록에 넣었다가 삭제한 11페이지 분량의 문서에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폐지를 요구하는 연방정부 주장의 허점이 나열돼 있었다. 이 문서는 연방정부 변호사들이 내부 보고용으로 작성한 것으로 파악된다.     우선 정부 변호사들은 연방정부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에 대한 승인을 철회할 권리가 있다는 주장에 의문을 제기했다.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은 이미 조 바이든 행정부 시절 교통부가 환경평가를 거쳐 승인한 내용이기 때문이다.     문서에서 변호인 측은 “(연방정부 주장을) 변호하는 데는 상당한 소송의 위험이 있다”며 “법에 위배되며 절차적으로 자의적이고 변덕스럽다”라고 썼다. 또한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연방정부를 상대로 제기한 소송 과정에서 법원이 연방정부의 손을 들어줄 가능성이 낮다고 예상했다.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MTA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시행하면서 운전자들이 무료로 이동할 수 있는 다른 대안을 제공하지 않아 연방법 위반”이라고 주장했는데, 이 부분에 대해서도 변호인들은 회의적인 시각이었다.     이에 따라 연방정부 변호사들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승인을 취소하기보다는, 교통부나 MTA의 우선순위가 바뀌었다는 이유를 들며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종료하도록 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교통부 장관과 함께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은 불법적이라며 수차례 폐지하라고 압박해 왔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변호인단조차도 교통혼잡료를 법적으로 폐지하긴 어렵다고 판단한 것으로 보여 앞으로도 연방정부가 계속 밀어붙일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연방정부 연방정부 변호사들 교통혼잡료 폐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2025-04-24

“교통혼잡료 중단하라”

뉴욕주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경고에도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유지하고 있는 가운데, 트럼프 행정부가 뉴욕주를 향해 재차 경고하고 나섰다.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21일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에게 서한을 보내 "뉴욕주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중단하지 않으면 심각한 결과에 직면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당초 교통부는 뉴욕주에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4월 20일까지 폐지하라고 명령했지만, 주정부가 이를 따르지 않자 이번에는 5월 21일까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폐지하라고 재차 명령했다.     이어 더피 장관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유지할 경우, 뉴욕주정부가 왜 이 프로그램이 연방법 위반이 아닌지 설명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욕주는 이미 조 바이든 행정부 당시 연장정부 승인까지 얻은 프로그램을 트럼프 행정부가 갑작스레 취소하는 것은 위법이라는 입장이다. 이에 따라 앞서 트럼프 행정부가 여러 차례 경고했지만 이를 따르지 않았고, 법적 공방을 이어가겠다고 밝힌 바 있다.     더피 장관은 서한에서 뉴욕주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계속 유지할 경우, 5월 28일부터 주정부에게 타격을 입힐 수 있다고 강조했다. 주정부에서 추진하는 각종 교통 프로젝트에 대한 연방자금 지원과 승인 등을 보류하는 것이 대표적이다.     더피 장관은 "교통혼잡료는 연방 세금으로 건설된 맨해튼의 도로를 사용하는 데 비용을 지불하게 하며, 이는 이중과세"라며 "트럼프 행정부는 뉴욕주가 노동자 계층 미국인의 뉴욕시 접근을 막고, 불법적인 통행료를 계속 부과하도록 보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중단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트럼프 행정부 교통부 장관

2025-04-21

MTA, “교통혼잡료 효과 입증됐다”

교통혼잡료 종료 시한을 두고 잡음이 끊이지 않는 가운데,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교통 혼잡 완화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은 입증됐다”며 데이터를 공개했다.   최근 MTA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달 맨해튼 60스트리트 남단 혼잡완화구역(CBD)으로 진입한 차량은 일평균 56만405대로 전년 동기(64만2500대)보다 13%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MTA 측은 “교통혼잡료가 매달 더 눈에 띄는 변화를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데이터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시행 첫 달인 지난 1월 혼잡완화구역 진입 차량은 일평균 53만3572대로 전년 동기(58만500대) 대비 8% 감소했고, 2월 일평균 진입 차량은 54만1409대로 전년 동기(61만3900대)보다 12% 감소했다.     즉 감소율이 1월 8%에서 2월 12%로, 지난달에는 13%로 점차 늘어나고 있다는 설명이다.     한편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전철 승객 수는 꾸준히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MTA는 4월 1일 기준 일평균 전철 승객 수가 362만9762명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전년 동기(334만1522명) 대비 8.6% 증가한 수치다.     버스 승객 수 역시 크게 늘어났다. 이달 1일 기준 버스 승객 수는 130만5485명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전년 동기(109만3716명) 대비 19.4% 증가한 수치다.     앞서 교통부는 뉴욕주정부 관계자들에게 서한을 보내 3월 21일까지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고,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와 MTA는 즉각 연방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교통혼잡료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숀 더피 교통부장관은 “뉴욕주와의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시간을 30일 더 주겠다”며 폐지 시한을 4월 20일로 연장했다.     최근 MTA 측 변호사는 맨해튼 연방법원에 ‘MTA와 교통부는 교통혼잡료 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10월 말~11월 초에 내리기로 합의했다’는 내용이 담긴 문서를 제출했는데, 교통부 측은 이에 반박하며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폐지 요구를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강조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입증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교통혼잡료 시행 교통혼잡료 종료

2025-04-15

교통혼잡료 종료 시한 연장 관련 혼란

교통혼잡료 종료 시한을 두고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8일 NBC 등의 보도에 따르면, 교통부는 엑스 계정을 통해 “4월 20일까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폐지하라는 요구를 철회하지 않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혔다.     앞서 전날인 7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측 변호사는 맨해튼 연방법원에 ‘MTA와 교통부는 교통혼잡료 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10월 말~11월 초에 내리기로 합의했다’는 내용이 담긴 문서를 제출했는데, 교통부가 이에 반박하고 나선 것.     MTA가 법원에 제출한 문서에 따르면 연방정부와 MTA가 적어도 올 가을까지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유지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보이는데, 교통부 측은 이달 내로 교통혼잡료를 폐지하라는 입장을 고수하며 종료 시한을 두고 혼란이 빚어지는 상태다.     앞서 교통부는 뉴욕주정부 관계자들에게 서한을 보내 3월 21일까지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고,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와 MTA는 즉각 연방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교통혼잡료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후 숀 더피 교통부장관은 “뉴욕주와의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시간을 30일 더 주겠다”며 폐지 시한을 4월 20일로 연장했다.     더피 장관은 앞서 “교통혼잡료 폐지 시한을 준수하지 않으면 뉴욕에 대한 연방 지원금을 철회할 가능성이 있다”고 경고한 바 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종료 교통혼잡료 종료 교통혼잡료 폐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2025-04-09

교통혼잡료, 최소 올 가을까지 유지 전망

시행 이후에도 잡음이 이어지고 있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적어도 올해 가을까지는 유지될 것으로 보인다.     7일 뉴욕타임스(NYT) 보도에 따르면, 연방정부와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적어도 올 가을까지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유지하기로 합의한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 4일 MTA 측 변호사가 맨해튼 연방법원에 ‘MTA와 교통부는 교통혼잡료 유지 여부에 대한 결정을 10월 말~11월 초에 내리기로 합의했다’는 내용이 담긴 문서를 제출한 것.     앞서 교통부는 주정부 관계자들에게 서한을 보내 3월 21일까지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고,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와 MTA는 즉각 연방정부를 상대로 소송을 제기하고 교통혼잡료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이후 숀 더피 교통부장관은 “뉴욕주와의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시간을 30일 더 주겠다”며 교통혼잡료 폐지 시한을 한 달 연장했다.     다만 교통부가 연방 지원금 삭감을 빌미로 MTA를 압박했던 만큼, 연방정부가 교통혼잡료를 더 빨리 폐지하도록 추가적인 압력을 가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지난달 더피 장관은 “뉴욕시 대중교통 시스템의 범죄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연방 지원금을 보류하겠다”고 경고한 바 있다. 2020년부터 2024년까지 MTA는 연방정부로부터 약 130억 달러 지원금을 받았으며, 이미 적자에 허덕이는 MTA에 연방 지원금까지 끊기면 각종 문제가 심각해질 전망이다.     MTA가 연방정부로부터 많은 자금 지원을 받고 있는 만큼, 교통부가 지원금을 빌미로 압박한다면 계속해서 교통혼잡료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할 수 있을지 알 수 없는 상황이다.     지난달 뉴욕 시민들을 대상으로 진행된 시에나칼리지 여론조사 결과 42%의 뉴요커들이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에 찬성했으며, 35%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호컬 주지사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시행 이후 교통 체증이 줄어들고, 출·퇴근 시간이 더 빨라졌다”며 프로그램이 효과를 보고 있다고 주장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가을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교통혼잡료 폐지 교통혼잡료 최소

2025-04-08

MTA,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1억불 수입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두 달 동안 1억600만 달러의 수입을 낸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MTA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시작된 지난 1월 5일부터 2월 말까지 MTA는 1억 달러가 조금 넘는 금액을 징수했다.     앞서 MTA는 지난 1월 한 달 동안 교통혼잡료를 통해 4860만 달러를 징수했고, 지난달에는 이보다 많은 약 5190만 달러 수입을 올렸다.     수입의 95%는 주간시간대(peak period·평일 오전 5시~오후 9시, 주말 오전 9시~오후 9시)에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MTA 측은 “교통혼잡료 시행 두 번째 달에 예상과 일치하는 수입을 징수한 것으로 봤을 때, 시행 이전 수행한 연구를 신뢰할 수 있다는 것이 입증됐다”며 “교통혼잡료는 교통량을 줄이는 동시에 주요 교통 프로젝트의 자금원이 되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MTA는 기존 교통혼잡료 수입이 평균적으로 연간 약 5억 달러, 한 달에 약 4000만 달러일 것으로 예상했다. 즉 시행 이후 두 달 연속 평균 예상치를 상회하는 수입을 올린 것이다.     지난달 수입 중 66%는 승용차로부터, 24%는 택시 및 앱 기반 공유차량으로부터 발생했으며, 9%는 트럭, 1%는 버스 및 오토바이로부터 나온 수입이다.   단속 카메라 운영 등 운영 비용 1150만 달러를 제외하면 지난달 교통혼잡료 순수익은 4040만 달러다.     지난달 맨해튼 60스트리트 남단 혼잡완화구역(CRZ)으로 진입한 차량은 48만1907대로 1월 대비 약 2%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으나, 이는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11% 줄어든 수치다. 앞서 지난 1월 MTA는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CRZ로 진입하는 차량이 시행 이전 대비 약 10% 줄었다고 밝혔다.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대중교통 이용량은 늘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지난 1월과 2월 전철 이용객은 전년 동기 대비 6%, ▶버스는 9%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는 8% ▶메트로노스는 4% 증가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연방정부는 지난달 주정부 관계자들에게 서한을 보내 3월 21일까지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으나, 숀 더피 교통부장관은 지난 20일 “뉴욕주와의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뉴욕주에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시간을 30일 더 주겠다”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수입 교통혼잡료 시행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지난달 교통혼잡료

2025-03-25

호컬, 통근세 인상해 MTA 자금조달 고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자금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고용주들이 부담하는 통근세(Metropolitan Commuter Transportation Mobility Tax·MCTMT)를 올리는 방법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23일 지역매체 고다미스트(Gothamist)에 따르면, 최근 뉴욕주지사실은 주정부 예산 회의에서 통근세를 인상해 MTA 자금으로 충당한다는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통근세는 뉴욕시 5개 보로와 나소·서폭·오렌지·로클랜드·퍼트넘·더치스·웨스터체스터카운티 등에 소재한 고용주와 자영업자에게 적용하는 세금이다. 분기별로 전체 임직원 총 급여액의 최대 0.6%, 나머지 카운티는 최대 0.34%를 부담하게 하고 있다.   이 방안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뉴욕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폐지할 것을 요구하고, 따르지 않으면 연방 자금을 끊겠다며 압박하는 가운데 나와 더 관심을 끌고 있다.    다만 호컬 주지사는 교통혼잡료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이다. 호컬 주지사는 지난 21일 기자회견에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시행 이후 혼잡료가 부과되는 지역의 교통량은 11% 줄고, 교량 및 터널에서의 이동 속도는 30% 빨라졌”고 밝혔다. 김은별 기자자금조달 통근세 자금조달 고려 최근 뉴욕주지사실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2025-03-23

연방정부 “교통혼잡료 폐지 시한 한 달 연장”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교통혼잡료 폐지 시한을 한 달 연장하고, 협상을 이어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당초 교통부가 뉴욕주에 통보한 교통혼잡료 폐지 시한은 21일이었다.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20일 소셜미디어 엑스(X)에서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를 향해 “교통혼잡료 폐지를 거부하는 것과 연방정부에 대한 노골적인 무례가 용납할 수 없는 수준”이라며 “교통혼잡료는 일하는 시민들이 이미 지불한 세금으로 건설한 도로를 이용할 때 요금을 추가로 부과하게 하는 것”이라고 썼다.   이어 더피 장관은 “뉴욕주와의 논의가 계속되고 있는 만큼 뉴욕주에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시간을 30일 더 주겠다”고 덧붙였다.   앞서 교통부는 지난달 20일 주정부 관계자들에 서한을 보내 3월 21일까지 교통혼잡료를 폐지할 것을 요구했다. 그러나 호컬 주지사와 MTA는 즉각 연방정부를 대상으로 소송을 제기하고, 교통혼잡료를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뉴욕주로부터 얻어낼 수 있는 것들을 협상하기 위해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협상 카드로 꺼내든 것으로도 해석되고 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연방정부 교통혼잡료 교통혼잡료 폐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교통부 장관

2025-03-20

호컬·MTA "트럼프 협박에도 교통혼잡료 유지"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와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연방정부의 압박에도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중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호컬 주지사는 18일 기자들과 만나 "교통혼잡료를 징수하기 위한 카메라는 계속 켜져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앞서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21일부터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중단하라며 뉴욕주를 압박해왔지만, 따르지 않겠다고 답한 셈이다.     재노 리버 MTA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 역시 "MTA는 교통부를 대상으로 교통혼잡료를 유지하겠다며 소송을 제기했다"며 "소송이 이어지는동안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은 유지될 것"이라고 말했다.     주정부와 MTA의 단호한 입장은 앞으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두고 장기간 법적 다툼이 벌어질 가능성을 예고하고 있다.     전날 교통부는 MTA에 추가 서한을 보내 "MTA는 전철 범죄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앞으로 뉴욕시 대중교통 안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제대로 내놓지 않으면 연방정부 자금을 지원하지 않을 것"이라고 압박하기도 했다. ▶대중교통 범죄를 줄이기 위한 계획 공유 ▶MTA 노동자에 대한 폭행 문제 해결방안 ▶요금회피 문제 해결방안 등이 연방정부가 요구한 내용이다.   전문가들은 연방정부가 뉴욕주로부터 반이민정책 협조 등을 얻어내기 위해 강한 압박을 이어가는 것으로 해석하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는 민주당 성향의 뉴욕주를 향해 이민세관단속국(ICE)의 불법체류자 단속에 협조할 것을 요구해 왔다. 펜실베이니아주에서 뉴욕주 올바니 인근으로 이어지는 천연가스 파이프라인 건설 프로젝트를 부활하는 것 또한 연방정부가 요구한 부분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트럼프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트럼프 협박 교통혼잡료 유지

2025-03-19

교통혼잡료 시행으로 출퇴근 편해졌다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두 달이라는 시간이 흘렀다. 효과가 있었을까.   11일 지역계획협회(Regional Plan Association)가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뉴욕 일원 출·퇴근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파악됐다.   지역별로 보면, 뉴저지 거주자들의 통근 속도 차이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뉴저지에서 맨해튼 중심상업지구(CBD)로 출·퇴근하는 운전자들은 편도 통근 시간이 최소 5분에서 최대 21분 빨라진 것으로 파악됐다. 퀸즈의 경우 최소 7분에서 최대 13분, ▶롱아일랜드는 최소 7분에서 최대 13분 ▶브루클린은 최소 3분에서 최대 7분 ▶스태튼아일랜드는 최소 3분에서 최대 7분 ▶CBD 거주자는 평균 2분 ▶CBD 외 맨해튼 거주자·브롱스 등 거주자들은 출·퇴근 시간이 평균 1분 빨라진 것으로 분석됐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데이터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시행이 시작된 지난 1월 링컨터널의 평균 통과 시간은 시행 이전 대비 17% 감소했고 홀랜드 터널의 경우 48% 줄어든 것으로 파악됐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교통혼잡료 시작 이후 통근 시간 단축을 경험했을까. 자차·버스를 포함해 차량을 이용해 맨해튼 CBD까지 출·퇴근하는 인구는 뉴저지에 가장 많았다. 뉴저지에서는 약 8만1000명(자차 3만2000명·버스 4만9000명)이 차량을 이용해 CBD로 통근했고, ▶퀸즈 약 5만4000명(자차 3만4000명·버스 2만명) ▶브루클린 약 4만명(자차 2만4000명·버스 1만6000명) ▶허드슨밸리 약 3만5000명(자차 3만명·버스 5000명) ▶브롱스 3만2000명(자차 1만7000명·버스 1만5000명) ▶CBD 외 맨해튼 거주자 약 2만5000명(자차 9000명·버스 1만5000명) ▶롱아일랜드 약 2만1000명(자차 1만6000명·버스 5000명) 등이었다.     한편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에게 “교통혼잡료를 폐지하라”고 지시했고, MTA는 숀 더피 교통부 장관과 연방고속도로청(FHA) 등을 상대로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출퇴근 교통혼잡료 시행 교통혼잡료 시작 맨해튼 거주자

2025-03-12

뉴요커 54% “교통혼잡료 반대”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오는 21일까지 교통혼잡료를 폐지하라고 지시하며 뉴욕주를 압박하고 나선 가운데, 뉴요커 절반 이상이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에 반대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5일 퀴니피액대가 발표한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뉴욕시 유권자 54%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에 반대, 41%는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트럼프 행정부의 교통혼잡료 폐지 조치에 대해서는 45%가 지지한다는 입장을 보였고, 49%는 반대한다고 응답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뜨거운 감자’인 불법이민자 추방에 대해서는, 뉴욕시 유권자 58%가 ‘모든 불법이민자를 추방하는 것에는 반대한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찬성 비율은 32%였다.   모든 불법이민자 추방에는 반대한다고 응답한 이들 가운데 81%는 ‘폭력 범죄로 유죄 판결을 받은 불법이민자 추방은 지지한다’고 밝혔으며, 16%는 반대한다고 답했다.     오는 6월 24일 치러질 뉴욕시장 민주당 예비선거와 관련해서는, 최근 공식적으로 출마를 선언한 앤드류 쿠오모 전 뉴욕주지사의 지지율이 압도적으로 높았다. 조사 결과 쿠오모 주지사의 지지율은 31%였고, 에릭 아담스 뉴욕시장의 지지율은 11%에 불과했다.     이외에도 조란 맘다니(민주·36선거구) 뉴욕주하원의원이 8% ▶주마니 윌리엄스 시 공익옹호관이 7% ▶스콧 스트링어 시 감사원장이 6% ▶브래드 랜더 시 감사원장이 5%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아담스 시장의 불법이민자 관련 직무 수행 방식에 반대하는 뉴요커들이 많았다.     64% 유권자들은 그의 불법이민자 관련 처리 방식에 반대했고, 찬성 비율은 24%였다. 이외에도 그의 ▶범죄 문제 처리 방식에 57%가 반대, 30%가 찬성 ▶도시 예산 관련 58%가 반대, 21%가 찬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 절반 이상의 뉴요커들은 ‘아담스 시장이 사임해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에게 기소 취하 약속을 받는 대신 반이민 정책에 협조하기로 했다는 의혹을 받는 아담스 시장에 대해, 56% 유권자들은 ‘사임해야 한다’는 의견을 내놨다. ‘사임하지 않아도 된다’고 응답한 비율은 35%에 불과했다.     퀴니피액대 여론조사팀 부국장 메리 스노우는 “아담스 시장의 기소 취하 여부는 아직 결정되지 않았으나, 여론은 그가 물러나야 할 때라고 판단했다”고 강조했다. 윤지혜 기자교통혼잡료 뉴요커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교통혼잡료 폐지 불법이민자 추방

2025-03-06

“교통혼잡료 3월 21일까지 폐지하라”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뉴욕주를 향해 교통혼잡료 폐지를 다시 한번 압박하고 나섰다. 이번엔 구체적으로 교통혼잡료 징수를 멈춰야 하는 날짜까지 못박아 통보해 압박 수위를 높인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뉴욕포스트에 따르면, 글로리아 셰퍼드 연방고속도로청(FHWA) 수석국장은 지난 20일 주정부 관계자들에 서한을 보내 “뉴욕주 교통국과 관계 기관들은 오는 3월 21일까지 연방정부가 지원해 건설한 고속도로에서 교통혼잡료를 징수하는 것을 멈춰야 한다”고 썼다. 앞서 숀 더피 교통부 장관도 교통혼잡료 승인을 취소한다고 밝힌 서한에서 연방정부 자금이 지원된 도로에서 주정부가 교통혼잡료를 걷는 것은 잘못됐다고 밝힌 바 있다.   특히 이 서한은 트럼프 행정부의 교통혼잡료 폐지 공식화에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급격히 반발하고 나선 뒤에 발송된 것이라 더 관심을 끈다. 지난 19일 더피 장관이 연방정부의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승인을 취소한다고 밝혔고, 뉴욕주는 같은 날 이에 반박하며 연방정부의 교통혼잡료 폐지에 즉각 소송을 제기했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소송이 즉각 제기된 만큼 법적 판결이 나올 때까지 교통혼잡료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입장을 강하게 피력했다.     호컬 주지사는 “트럼프 행정부는 뉴욕주와 몇몇 다른 주를 약하게 만들기 위해 그 지역을 혼란에 빠뜨리고 싶어한다”고 밝혔다. 아울러 “600만명의 뉴욕 통근객을 화나게 하면 무슨 일이 일어날지 모른다”고 강조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폐지 교통혼잡료 폐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교통혼잡료 징수

2025-02-26

교통혼잡료 시행 첫 달, 4860만불 수입

교통혼잡료 시행 후 첫 한 달 동안 4860만 달러의 수입이 발생한 것으로 파악됐다.   24일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가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이 시작된 지난달 5일부터 1월 31일까지 MTA는 기존 예상치보다 약간 부족한 금액인 4860만 달러를 징수했다.     앞서 MTA는 교통혼잡료를 통해 지난달 5210만 달러를 벌어들일 것으로 예상했고, 이는 실제 지난달 수입보다 약 7% 많은 수치다.     다만 MTA가 기존에 교통혼잡료 수입이 평균적으로 연간 약 5억 달러, 한 달에 약 4000만 달러일 것으로 예상했음을 고려하면 지난달 수입이 평균 예상치와는 비슷한 수준이었다고 볼 수 있다.       지난달 수입 중 약 68%는 승용차로부터, 20%는 택시 및 앱 기반 공유차량으로부터 발생했으며 나머지는 트럭, 오토바이 등 기타 차량으로부터 나온 수입인 것으로 전해졌다.     MTA는 "운영 비용 910만 달러를 제외하고 3750만 달러의 순수익을 거뒀다"며 "여러 주요 교통 수리 프로젝트에 자금을 지원하고, 환경 문제 개선을 위한 프로젝트에 200만 달러를 책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교통혼잡료 시행은 말 그대로 '혼잡 완화'에도 효과가 있었을까. MTA는 교통혼잡료 시행 시작 이후 이달 17일까지 맨해튼 60스트리트 남단 혼잡완화구역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시행 이전 대비 약 10%(260만 대) 줄었다고 밝혔다.     그런가 하면 지난달 MTA의 교량 및 터널 통행료 수입은 시행 이전 대비 0.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중교통 이용량 역시 늘었다. 데이터에 따르면 이번달 롱아일랜드레일로드(LIRR) 일일 승객 수는 전년 대비 10%, 메트로노스 승객 수는 5% 증가했다.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차량 대신 통근열차를 이용하는 이들이 늘었다는 증거다.     한편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지난 21일 "교통혼잡료를 폐지하라"고 지시한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의 이점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앞서 지난 19일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호컬 주지사에게 "지난해 11월 연방고속도로청(FHA)에서 서명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승인을 취소한다"고 밝혔고, 뉴욕주와 MTA는 즉각 반발했다.     MTA는 더피 장관과 FHA 등을 상대로 뉴욕 남부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했고, 호컬 주지사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지키기 위해 끝까지 싸울 것"이라고 밝혔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수입 교통혼잡료 수입 교통혼잡료 시행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2025-02-24

트럼프 행정부 ‘교통혼잡료 폐지’ 공식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가 결국 뉴욕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폐지를 추진한다고 공식화했다. 대선 전부터 ‘교통혼잡료 폐지’를 공약으로 내건 트럼프 대통령이 결국 시행 한 달 만에 폐지 절차를 밟기로 한 것이다.   19일 숀 더피 교통부 장관은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에게 서한을 보내 지난해 11월 연방고속도로청(FHA)에서 서명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승인을 취소한다고 밝혔다.   더피 장관은 “맨해튼 60스트리트 남단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교통혼잡료는 노동자와 소규모 사업주들의 뺨을 때리는 것과 같다”며 “뉴욕시로 진입하는 통근자는 이미 세금을 통해 도로 건설과 개선에 충분히 기여하고 있다”고 밝혔다.     그는 ▶운전자들에게 가해지는 부담 ▶교통혼잡료 수입이 교통혼잡을 개선하는 것이 아닌, 대중교통 개선에 사용된다는 점 ▶연방 자금을 지원해 건설한 도로에서 통행료를 부과하게 된다는 점 ▶차량으로만 맨해튼에 진입해야 하는 운전자에게 다른 무료도로 옵션이 없다는 점 등을 이유로 들었다.     더피 장관은 서한에서 교통혼잡료 징수 중단 시점에 대해서는 명확히 밝히지 않은 채 “주정부 관계자들과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의 질서있는 중단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욕주와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즉각 반발했다. MTA는 서한이 도착하자마자 더피 장관과 FHA 등을 상대로 뉴욕 남부 연방법원에 소송을 제기하고, 교통혼잡료를 그대로 유지한다는 입장을 견지했다.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고 “트럼프 대통령이 뉴욕주에 정치적 보복을 시작했다”며 “교통혼잡료 취소로 뉴욕에 타격을 입히려는 것 뿐만 아니라, 스스로를 ‘왕’이라 칭하며 뭐든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믿는 것은 심각한 문제”라고 강조했다.   주정부는 MTA가 연방정부의 교통혼잡료 폐지에 즉각 소송을 제기한 만큼, 이에 대한 판결이 나올 때까지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했다. 재노 리버 MTA 회장 겸 최고경영자(CEO)는 “4년이 걸려 연방정부가 승인한 것을 되돌리는 것은 말도 안 된다”며 “법적 다툼을 이어갔을 때 이길 것으로 확신한다”고 전했다.   한편, 소송 제기 등으로 꾸준히 교통혼잡료 시행에 반대해 온 필 머피 뉴저지주지사와 조시 고트하이머(민주·뉴저지 5선거구) 연방하원의원 등 뉴저지 정치인들은 이날 일제히 트럼프 행정부의 결정을 환영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공식화 교통혼잡료 폐지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트럼프 행정부

2025-02-19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옐로캡 승객 늘었다

맨해튼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옐로캡을 이용하는 승객이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뉴욕시 택시리무진국(TLC)이 공개한 데이터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첫 일주일(1월 5일~1월 12일) 동안 맨해튼 혼잡완화구역(60스트리트 남단)에서의 옐로캡 운행 건수는 전년 동기 대비 10% 증가했다. 해당 기간 동안 혼잡완화구역에서 옐로캡은 51만1000회 이상 운행됐으며, 이는 전년 동기 대비 약 5만 회 늘어난 수치다.       데이비드 도 TLC 국장은 “혼잡완화구역에서 개인 차량 대신 택시를 선택하는 사람이 늘어났다는 증거”라며 “주차 자리를 찾고, 교통혼잡료를 지불하느니 75센트의 할증료를 부담하기로 선택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고객이 할증료 방식으로 요금을 부담하는 ▶택시에는 운행당 75센트 ▶우버·리프트·기타 앱 기반 공유차량에는 운행당 1달러 50센트의 요금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가 하면 우버와 리프트의 운행 횟수는 전년 동기와 거의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파악됐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 데이터에 따르면,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택시와 우버, 리프트 차량은 혼잡완화구역으로 진입하는 전체 차량의 3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윤지혜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옐로캡 교통혼잡료 시행 옐로캡 승객 맨해튼 교통혼잡료

2025-02-12

교통혼잡료 문자 사기 주의보

교통혼잡료 시행 이후 한 달 넘게 문자 메시지 사기가 판을 치는 것으로 파악됐다.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는 “최근 교통혼잡료에 관련된 SMS 문자 메시지 사기가 발생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됐다”며 “사기 메시지 중 일부는 교통혼잡료를 언급하기도, 또 일부는 이지패스를 언급하기도 한다. 이는 공식적인 징수 방법이 아니다”며 주민들에게 사기 피해를 입지 않도록 주의할 것을 경고했다.     많은 뉴요커들은 지난 한 달 동안 소셜미디어에 “운전을 하지 않는데도 교통혼잡료를 내라는 문자를 받았다”는 내용을 공유했다.       사기 문자 메시지에는 대체로 ‘미납 통행료가 있으니 연체료를 피하려면 즉시 지불해야 한다’거나, ‘요금이 부과됐으니 정해진 날짜까지 지불해야 한다’는 내용이 포함된다. 또 클릭 가능한 링크가 포함되고, 이를 클릭하면 청구서를 다운 받게 된다.     지난 한 달 동안 이와 같은 사기 문자 메시지는 이지패스 소지자들은 물론 차량 운전을 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전송된 것으로 파악됐다.     MTA는 “링크를 클릭하지 말 것”을 권고했으며, 이지패스는 “교통혼잡료는 절대 문자로 청구되지 않는다. 이지패스 소지자의 경우 패스를 통해 자동 청구되고, 없는 경우 우편으로 알림을 보낸다. 고객의 생년월일, 사회보장번호(SSN) 또는 기타 개인 식별 정보를 절대 요청하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지패스 통행료 관련 안내는 공식 웹사이트(EZPassNY.com·TollsByMailNY.com)를 통해서만 이뤄지고, 사기 메시지를 받은 경우 전화(800-333-8655) 또는 웹사이트(www.ic3.gov/)를 통해 신고 가능하다.  윤지혜 기자교통혼잡료 주의보 교통혼잡료 문자 사기 문자 교통혼잡료 시행

2025-02-10

트럼프 “교통혼잡료 폐지하겠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맨해튼 60스트리트 남단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폐지할 계획을 구체화했다고 밝혔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 뉴욕포스트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연방 교통부를 통해 뉴욕시 교통혼잡료를 폐지하는 계획을 수립했다"고 밝혔다. 우선 트럼프 대통령은 연방정부에서 메트로폴리탄교통공사(MTA)에 지원하는 수백만 달러의 자금 지원을 보류해 MTA가 스스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포기하도록 하는 방법을 언급했다. 이미 조 바이든 행정부에서 승인한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의 '환경 검토 절차'를 다시 시행해 제동을 거는 방법도 설명했다. 다만 이미 통과한 환경 검토 절차를 어떻게 다시 밟을 것인지에 대해선 자세히 언급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와) 협상을 통해 교통혼잡료를 없앨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뉴욕주는 연방정부로부터 2026년 말까지 교통 자금 360만 달러를 지원받을 예정인데, 이 자금을 손에 쥔 트럼프 대통령이 협상에 나서겠다는 설명이다. 이와 함께 그는 보행자를 위협하는 뉴욕시의 자전거 도로도 없애겠다고 말했다.     한편 교통혼잡료 시행 후 맨해튼 60스트리트 북부 지역의 길거리 무료 주차공간 주차난은 갈수록 심화하는 상황이다. 뉴저지주 등에서 맨해튼으로 출근하는 이들이 교통혼잡료가 부과되지 않는 지역에 차를 세워두고 이동한 결과다. 뉴욕시의회는 맨해튼 60스트리트 북부 지역 거리 주차공간을 지역 거주민들이 우선 주차할 수 있는 공간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김은별 기자 [email protected]교통혼잡료 트럼프 교통혼잡료 프로그램 뉴욕시 교통혼잡료 교통혼잡료 시행

2025-02-09

호컬 뉴욕주지사 “학교 휴대전화 사용 금지, 교통혼잡료 유지할 것”

캐시 호컬 뉴욕주지사가 각종 비판에도 불구하고 학교에서 휴대전화 사용을 금지하도록 하는 방안, 맨해튼 교통혼잡료 프로그램을 유지하겠다는 입장을 강하게 피력했다.     호컬 주지사는 6일 NY1과 단독 인터뷰를 갖고 “청소년들 사이에서 우울증과 정신건강 문제가 심각하고, 일부는 팬데믹의 여파 때문이라고 생각하지만 대부분은 중독성이 있는 소셜 미디어 알고리즘 영향이 크다고 본다”고 밝혔다.     그는 전날 AM뉴욕에도 기고를 통해 “(휴대전화 사용 금지에 대한) 끊임없는 갑론을박은 중독에 빠진 아이들을 더 큰 고통으로 몰고 갈 뿐”이라며 “학교에서 첫 수업 종이 울리는 순간부터 수업이 끝날 때까지 전화나 인터넷 기기를 사용할 수 없도록 해야 하며, 교사는 이 시간동안 가르치는 일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일부 부모들은 자녀와 연락을 못 하는 것에 대해 우려하지만, 이에 따라 꼭 필요할 때는 학부모가 자녀에게 연락할 수 있도록 유연성을 두겠다”고 덧붙였다.   맨해튼 60스트리트 남단으로 진입하는 차량에 수수료를 부과하는 교통혼잡료에 대해서도 “이미 효과를 나타내고 있다”며 고무적으로 평가했다.     호컬 주지사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교통혼잡료를 폐기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은 알고 있다면서도, 실제로 트럼프 대통령이 교통혼잡료를 폐지하려고 행동할 지는 불확실한 부분이라고 말했다.  김은별 기자교통혼잡료 휴대전화 금지 교통혼잡료 휴대전화 사용 학교 휴대전화

2025-02-06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