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재나 김 LSO 영 아티스트 콘체르토 대회1위 쾌거

   40년이 넘는 전통을 자랑하며 지역 사회의 음악적 수준 향상과 문화적 기여에 힘써 온 Lakewood Symphony Orchestra(LSO)가 오는 5월 22일, 2024-2025 시즌의  피날레 공연을 개최한다.   LSO는 이번 공연을 “The Impossible Dream”이라는 주제로 기획해 시즌을 마무리할 예정이다. 이 날 무대의 주인공은 ‘2025 영 아티스트 콘체르토(Young Artists Concerto Competition)’ 에서 우승한 젊은 피아니스트 재나 김(Jenna Kim, 18)이다. 이날 김 양은 그레그 피아노 콘체르토(Grieg Piano Concerto) 전악장을 연주할 예정이다. 김 양은 리지스 제수잇 고등학교(Regis Jesuit High School)의 12학년에 재학 중이다. 6세부터 지금까지 12년동안 임혜란 선생님의 지도 하에 피아노를 연주해 왔다. 그 결과 가장 최근인 지난2월, 2025년 영 아티스트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하는 쾌거를 이루었는가 하면, 2019년 Steinway Piano Concerto Competition 1위, 2024년 Evergreen Chamber Orchestra Young Artists Competition 2위, 2021년 CSMTA Rising Stars Festival 2위 등 다수의 콩쿠르에서 입상하며 탄탄한 실력을 쌓았다. 또한 Yamaha 및 Schmitt Music Piano Competitions에서도 여러 차례 수상했으며, Continental League Honor Orchestra에 2년 연속으로 선발돼 덴버 Boettcher Concert Hall 무대에 올랐다. 학교에서는 2021-2022년 콘체르토대회 우승자이자, 2023-2024 Performing Arts Department Music Award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며, 한인사회 내 쥬빌리 앙상블, All-State Choir 오디션, 지역 커뮤니티 공연 등에서 반주자로 활발히 활동하며 음악적 스펙트럼을 넓혀왔다.         김 양은 피아노 외에도 사진 촬영, 여행, 암벽 등반, 가족 및 친구들과의 시간 보내기, 반려견과 음식 나누기를 즐긴다. 무엇보다도 학교에서의 성적은 매우 출중하다. GPA는 4.49로 학교 탑 대열에 들어가며, 지난 주에는 리지스 고등학교 시니어학년에서 수학 1등상을 수상해  다재다능한 재원임을 증명해 보였다.  김 양은 “지난 1년간 대회를 준비하면서, 고등학교 졸업전에 전문 오케스트라와 협연을 해보는 것이 저의 버킷리스트였다. 대학가기 전에 이러한 영광스러운 자리가 만들어져서 너무 좋다.” 며 기뻐했다.   인터뷰에 동석한 임혜란 선생님은 “재나가 우승한 영 아티스트 콘체르토 대회는 피아노 부문이 1등 하기가 상당히 힘들다.  피아노가 우승한 것은 거의 10년만인 것 같고, 이 대견한 결과를 재나가 만들어내서 기쁘다” 면서 “재나는 대학교 진학을 위해, 그리고 영 아티스트 콘체르토 대회를 위해 그동안 연습을 두배로 해야했다. 특히 대회를 위해서는 전 악장을 모두 외워야 하기 때문에 매우 힘든 과정이다. 이러한 과정을 즐기고, 이겨내 준 재나가 기특하다”며 칭찬을 아끼지 않았다.   김 양은 그 뜨겁고 식지 않은 열정으로, 이제 University of Southern California(USC)에서 새로운 여정을 시작한다. 음악에 대한 사랑과 끈질긴 노력으로 자신만의 길을 닦아온 재나 김 양. 그녀가 앞으로 만들어낼 수많은 무대와 이야기에 귀 기울여본다. 5월 22일, Lakewood Symphony Orchestra와 함께하는 이번 무대는 재나 양의 찬란한 출발을 축복하는 특별한 순간이 될 것이다.   ◆ 공연 일시   5월 22일(목) 오후 7시30분 ◆ 티켓 구입 lakewoodsymphony.org     ◆ 공연 장소   Lakewood Cultural Center (470 S. Allison Pkwy Lakewood, CO)           이은혜 기자아티스트 콘체르토 아티스트 콘체르토 아티스트 대회 lakewood symphony

2025-05-07

계란값 급등에 “빵값 올릴까, 말까” 고심

최근 급등세를 보이고 있는 계란 가격 탓에 LA한인타운을 포함한 전국의 수많은 베이커리가 비용 상승으로 인한 가격 인상 압박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CNN은 최근 조류 인플루엔자로 수천만 마리의 닭이 살처분되면서 상승한 계란값에 계란을 많이 사용하는 제과점들이 가격 인상을 검토하고 있다고 지난 23일 보도했다.   계란은 베이커리 제품을 만드는 데 필수적인 재료로, 가격 상승은 제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가 전하는 말이다.     농무부에 따르면, 지난해 확산한 조류 인플루엔자로 4000만 마리가 넘는 산란계가 살처분됐으며 계란 가격은 사상 최고치로 올랐다.   지난달 계란 도매가격은 전년 대비 186% 상승했다. 이는 지난 1992년 이후 4번째로 높은 연간 가격 상승률이다.   급등한 가격에 일부 베이커리 업주들은 계란 대체품을 찾거나, 더 저렴한 공급처를 알아보는 등 여러 방법으로 대응하고 있지만, 대체가 가능한 제품에는 한계가 있고 식용 안전 우려 탓에 납품 업체 변경이 어려워 결국 많은 업주가 경영 압박에 시달리고 있는 상태다.     특히 소규모 베이커리의 경우, 비용 상승을 소비자 가격에 반영하기 어려워 더 큰 타격을 받는 것으로 전해졌다.   LA한인타운의 업체들 또한 가격 인상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소비자들이 저가 식품들의 가격 상승에 민감한데다가 추후 계란 가격이 안정화되더라도 다시 가격을 조정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콘체르토 베이커리는 고심 끝에 계란이 유독 많이 들어가는 카스테라 제품의 가격을 75센트 올렸다. 업체 측은 “수십 개가 넘는 제품 중 카스테라만 가격이 소폭 인상됐다”며 “최대한 가격 인상은 피하려고 노력 중이다”라고 말했다.   코안도르 베이커리와 파리바게트 웨스턴점은 계란값 폭등에 따른 빵 가격 인상은 아직까지 없다고 전했다. 다만 다수의 베이커리 업체들은 현재 계란 파동이 장기화할 경우 가격 인상이 불가피할 수 있다고 봤다.   파리바게트 웨스턴점의 엘렌 황 사장은 “가격 인상은 민감한 부분이기 때문에 항상 신중히 결정한다”며 “그러나 계란 가격 부담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향후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 같은 부담은 타주의 동종 업계에서도 동일하게 발생하고 있다. CNN이 소개한 워싱턴DC 소재 제과점 브레드 퍼스트의 총괄 매니저인 스콧 아우스랜더는 계란 구매 비용으로 1년 전보다 2배 이상 지출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에 계란이 많이 들어가는 메쉬 에그 샌드위치를 포함해 제품 3분의 1에 대해 가격 인상을 단행했다.   또한 뉴욕 롱아일랜드의 한 제과점 업주는 앞으로 몇 주 이내에 제품 가격을 인상할 계획이라면서 계란 대체품을 사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찰스 린지 버펄로 경영대학원 교수는 가격 인상은 대개 고객을 잃는 결과로 이어지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기업에 어려운 결정이라면서 가격 인상의 이유를 효과적으로 전달해야 고객 감소를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우훈식 기자 [email protected]계란값 급등 계란값 폭등 베이커리 제품 콘체르토 베이커리 박낙희 빵값 계란 LA

2025-02-24

다운타운 재개발 차질···'콘체르토' 이어 'LA센트럴 프로젝트' 차압위기

LA다운타운 스테이플스 센터 인근에 아스타니 그룹이 추진하던 대형 콘도 개발 프로젝트 '콘체르토'가 파산보호를 신청한 데 이어 또 하나의 대형 프로젝트가 차압 위기에 처했다. 이로써 LA다운타운의 얼굴을 바꿀 것으로 기대했던 주요 프로젝트 5개중 3개가 좌초 위기에 몰렸다. 부동산개발업체 모이니안그룹이 스테이플스 센터 인근에 추진하고 있던 10억달러 규모의 대형 프로젝트가 차압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 모이니안그룹은 11가와 피게로아 스트리트에 총 10억달러를 투자해 대형 주상복합센터를 건립하는 'LA센트럴 프로젝트'를 추진하고 있었으나 융자은행인 와코비아에 11월 2일 현재 4560만달러를 연체해 차압 과정에 들어간 것으로 밝혀졌다. 와코비아 은행측에 따르면 모이니안 그룹은 이미 여러 번의 페이먼트가 연체한 상태다. 모이니안그룹은 복합 엔터테인먼트단지 'LA라이브'의 개발사 앤슈츠 엔터테인먼트그룹(AEG)으로부터 2006년 8000만달러에 이 부지를 구입한 바 있다. 이곳에 53층과 37층 규모의 빌딩을 건설해 콘도 860유닛 객실 222개의 부티크호텔 레스토랑 25만스퀘어피트 규모의 상점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로써 LA컨벤션 센터 및 스테이플스 센터 인근에 추진되던 대형 프로젝트 5개중 'LA라이브' 및 '사우스파크 프로젝트'만 성공리에 추진되고 파크 피프스 프로젝트 콘체르토 LA센트럴 프로젝트 등 3개의 프로젝트가 무산될 가능성이 높아졌다. 모이니안그룹의 오스카 브레처는 "와코비아와 프로젝트의 미래에 대해 협의중"이라며 "아직 구체적 결과가 나오지 않은 상태"라고 전했다. 김혜원 기자

2009-11-20

대형 컨벤션 유치 '불꽃 경쟁'…LA 다운타운 재개발후 애너하임에 도전장

여행 업계가 극심한 불황에 시달리고 있는 가운데 대형 컨벤션 유치를 두고 LA와 애너하임이 치열한 경쟁에 나섰다. LA타임스는 최근 다운타운 지역 개발을 계기로 LA컨벤션 센터가 전통적인 강자 자리를 지키고 있던 애너하임에 맞서면서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고 21일 보도했다. 컨벤션 무역쇼 등이 개최되면 행사장 대여료 수입만 발생할 뿐만 아니라 참가자들이 주변 호텔 및 식당 인근 관광 등에 이르기까지 거액의 돈을 서 지역 경제에 큰 도움이 된다. 관련 통계에 따르면 숙박과 식사 엔터테인먼트 등을 모두 포함했을 때 컨벤션 참가자 한 명이 시에 안겨주는 수입은 1500달러에 이른다. 아직까지는 애너하임이 강세를 보이고 있다. 최대 행사 중 하나인 악기박람회(NAMM)를 비롯해 지난해 전국에서 가장 큰 200개 컨벤션 중 8개가 애너하임에서 열린 반면 LA는 3개에 그쳤다. 애너하임은 컨벤션 행사장에서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호텔 객실이 4500여개나 되며 여행객들에게 가장 인기있는 디즈니랜드를 비롯한 각종 여행지들이 많다는 것이 그 이유다. 반면 LA는 주변에 호텔 객실이 900개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내년 2월 객실 1000개 규모의 메리어트 마르퀴스 리츠칼튼 호텔 오픈에 기대를 걸고 있다. 레이커스 등 각종 스포츠팀의 홈경기장인 스테이플스 센터가 건재하고 노키아 시어터를 비롯한 여러 영화관과 고급 레스토랑이 주변에 잇따라 오픈하고 있는 것도 LA의 강점 중 하나이다. 김혜원 기자

2009-10-21

FDIC, 럭셔리콘도 '콘체르토' 판매 중단 소송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LA다운타운에 위치한 럭셔리 콘도 '콘체르토'의 판매 중단 소송을 제기했다. LA비즈니스저널 온라인판에 따르면 FDIC는 연방 파산법원에 이 콘도의 현재 판매가가 대출 계약서에 명시된 가격에 비해 지나치게 싸게 팔리고 있다며 판매를 잠정 중단할 것을 요청하는 서류를 접수했다. '콘체르토'는 융자은행인 코러스뱅크가 지난달 초 강제 폐쇄되면서 대출채권(노트)이 FDIC의 소유가 됐으며 개발업자인 소니 아스타니는 콘도 바이어들을 보호한다는 이유로 지난달 17일자로 챕터11 파산보호 신청을 접수했다. 파산 신청 당시 아스타니는 FDIC가 콘도 판매를 승인하지 않는다며 법원에 판매를 승인해 줄 것을 요구했다. 소장에서 FDIC는 지난 2007년 7월 코러스뱅크와 아스타니측과의 건설 융자 계약시 콘도를 스퀘어피트당 600달러에 팔겠다고 계약서에 명시했으나 아스타니는 이보다 40%나 낮은 스퀘어피트당 평균 368달러 수준에 팔고 있어 손해를 끼치고 있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주장에 아스타니는 "초기 가격보다 낮은 수준에 판매가 이뤄지는 것은 사실이나 이는 시장 상황을 반영한 것"이라며 오는 20일까지 자신의 입장을 법원에 제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염승은 기자

2009-10-15

LA 다운타운 재개발 핵심사업 '대형콘도 프로젝트' 흔들

LA다운타운 재개발 프로젝트의 핵심인 사우스파크 개발이 주요 투자자들의 파산과 대출은행 폐쇄 등으로 흔들리고 있다. LA다운타운 전문 주간지 LA다운타운뉴스는 최신호에서 다운타운 지형에 큰 변화를 몰고 올 주인공들로 여겨졌던 대형 콘도 프로젝트 '콘체르토'(Concerto)와 '이보'(Evo)의 개발업체들이 불경기와 금융위기에 따른 피해로 당초 계획에 큰 차질을 빚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이 2개 콘도 프로젝트 모두 연방예금보험공사(FDIC)가 지난 11일자로 폐쇄한 코러스뱅크에서 대출받았고 이 대출채권은 FDIC가 투자자들에게 되팔 예정이어서 향후 많은 변화가 뒤따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콘체르토의 개발업자인 소니 아스타니는 지난 17일자로 이 프로젝트에 대해 챕터11 파산보호신청을 접수했다. 신문은 총 3개 건물로 이뤄진 이 프로젝트에서 완공된 7층 높이 건물은 지난달 29일 '하루 초특가 판매'로 전량 판매돼 내달 15일부터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지만 대출은행인 코러스가 폐쇄된 것이 문제가 될 수 있다고 전했다. 아스타니는 지난 4일 코러스를 상대로 소장을 접수하며 잔여 유닛들의 판매가 이뤄졌음에도 은행에서 담보권(Lien)을 풀어주지 않아 바이어들의 소유권에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아스타니는 "일반적인 챕터11이 아닌 바이어와 투자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조치"라고 말했다. 사우스파크의 대표적 콘도 프로젝트인 '이보'의 개발사 사우스그룹은 '이보' 외에도 사우스파크 지역에 추가적으로 34층 높이의 주상복합 빌딩 2개를 신축하려면 계획을 전면백지화했다. 코러스를 최대 대출은행으로 두던 '이보' 프로젝트에 대한 최종 결정권이 후순위 대출(Mezzanine Loan)로 참여한 '웨스트포트 캐피털 파트너스'로 넘어갈 정도로 사우스그룹 측의 재정상황이 좋지 않기 때문이다. 투자그룹 메디슨 파트너스의 밥 사파이는 "FDIC가 이보에 대한 코러스의 대출채권을 매각하는데 성공하면 이는 바이어와 개발업체 모두에게 득이 될 수 있다"며 "만약이긴 하지만 개발업체로서는 더 좋은 조건에 대출조건을 조정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말했다. 염승은 기자

2009-09-28

다운타운 주상복합단지 '콘체르토'···스퀘어피트당 300달러 '파격세일'

LA 다운타운 스테이플스 센터 인근에 건설되는 초대형 주상복합단지인 '콘체르토'(Concerto)가 8시간 빅 세일을 실시한다. 콘체르토의 한인담당 타마라 김씨는 "오는 29일 단 하루 동안 한인만을 위한 특별할인 행사를 한다"며 "분양 잔여분 77유닛을 이날 하루동안 스퀘어피트당 300달러 정도의 파격적인 가격에 판매한다"고 밝혔다. 콘체르토는 피게로아와 9가 코너에 들어서는 3억달러 프로젝트 규모의 대형 주상복합 콘도로 30층 높이의 2개 건물과 6층 높이의 1개 건물 등 총 3개 건물로 구성된다. 1차는 30층 높이 건물과 6층 높이 건물에 271유닛 콘도와 77유닛 로프트가 들어서며 2차로 건설될 30층 건물에는 콘도 271유닛이 입주한다. 이 콘도에는 1에이커 규모의 공원과 산책로 등이 갖춰져 도심속 휴식 공간을 제공하며 태극권 수련장 수영장 피트니스 센터 야외 바비큐 시설 등 주민들을 위한 다양한 부대시설을 갖추고 있다. 특히 인근에 스테이플스 센터를 비롯해 노키아 극장 리츠칼튼 호텔 등 다양한 엔터테인먼트 시설 및 고급 콘도들이 즐비해 최고의 입지를 자랑한다. 29일 실시되는 8시간 세일 이벤트 중에는 로프트가 21만9000달러부터 판매가 시작되며 959스퀘어피트 규모의 1베드룸 콘도는 27만9000달러 1363스퀘어피트 크기의 2베드룸 콘도는 44만9000달러부터 구입이 가능하다. 김 한인담당은 "월 관리비(HOA)가 다른 고층 콘도보다 훨씬 저렴해 부담을 덜어주고 있다"며 "오는 29일 열리는 특별할인 행사는 오전 11시부터 오후 7시까지 세일즈 오피스(900 S. Figueroa St. LA)에서 열린다"고 전했다. ▷문의: (213)537-0007 www.ConcertoDowntown.com

2009-08-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