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Korean Global Awards] Popular Bibigo Promotes Korean Food [글로벌경영대상]

CJ Group, one of Korea’s leading conglomerates, operates the country’s largest food, and entertainment, and media companies. With a deep interest in culinary culture, CJ has long tried to promote excellence of Korean food worldwide. CJ Foodville, the food service wing of CJ Group, launched Cafe Sobahn in Korea in 2005. While CJ’s overseas affiliates in the U.S., Japan and China operated Sobahn Express, Hanchae and Sarangchae, serving bibimbap dishes with local flavors. Bibigo is a Korean restaurant of an entirely new breed; it retains the conventional style of bibimbap but customers can also choose the type of rice, sauce and toppings as they wish. CJ Group regards food services as one of its main growth engines for the future, and is working toward the goal of joining the likes of McDonald’s as a leading global food company. The brand name derives from bibimbap and the word ‘to-go.’ It seeks to provide easy access to bibimbap, not as some exotic Asian dish but as delicious and nutritious food. The restaurant also developed rice salad menus for Western customers more familiar with salads than bibimbap. They can choose from different types of rice, such as white rice, black rice, brown rice, and barley, with toppings like grilled beef, chicken breast and tofu. Sauces include hot pepper paste, sesame seed sauce and lemon soy sauce. The Huffington Post has picked bibimbap as the healthiest fast food in LA, while KCAL9, the LA affiliate of CBS, picked Bibigo as a restaurant to watch. The cover story of LA Times’ business section listed Bibigo as a successful example of Korean brands making inroads in the U.S. Chinese media have also reported on the nutritious Korean cuisine. Bibigo opened its first Korean shop in May 2010 and has added locations across Seoul. There are currently six overseas restaurants in the U.S., China and Singapore. The figure will reach 20 by the year’s end, including the first European location in London before the Summer Olympics in July 2012. “Bibimbap is a nutritious dish that can be prepared upon order like fast food yet still reatain freshness of ingredients,” said Hee-young Noh, CJ’s advisor of brand strategies and concept director for Bibigo. “Through Bibigo, we highlight the healthy nature of Korean cuisine and offer customers a wide range of choices with quick service.”

2012-06-27

[Korean Global Awards] Silverware Co. Invests in Charity [글로벌경영대상]

Yujin Kreves is one of the world’s leading silverware companies, widely available in Europe and Americas. The secret to being a global leader is simple: technology. The metal molding technology of Yujin Kreves is one of the best in the world. Yujin Kreves’ affiliate in Vietnam, named Yujin Vina produces more than 30 kinds of silverware each year and exports more than 80 million products to countries such as Germany, the Netherlands,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Some products have different brand names. The Ameircan silverware companies including Oneida, Cambridge, and Lenox have used products of Yujin Kreves for their brands. Yujin Kreves values trust and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CSR). In Vietnam, Yujin Kreves donates a penny for every peiece of silverware produced by Yunjin Vina factories. The money is then used for children with heart problems in Vietnam, Cambodia, and the Philippines. Yujin Kreves has invited those children to Korea and provided them with necessary medical proceduers. In addition, Yujin Kreves founded ‘Sunny Korea Red Cross Medical Center’ in Hanoi, Vietnam, which offers free medical service for the underprivileged. As a Korean company, Yojin Kreves has also helped to promote spread Korean culture. Yujin Kreves has built a center for taekwondo, the Korean traditional martial art, in Danang, for children and students. Danang also holds taekwondo tournaments, and the martial art has taken Danang by storm. You will sense the impact of Yujin Kreves in Inner Mongolia when you hear anyone speak Korean there. Investments in the ethnic university of Inner Mongolia have opened doors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With the fund from Yujin Kreves, three Korean language instructors have been teaching at the ethnic university of Inner Mongolia. More than 2,000 people have taken their Korean language classes. Yujin Kreves plans to expand its investment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the Philippines, Cambodia, and Ukraine. The name Kreves means creation and investment, and the company will not cease to create or to invest. While creating high quality silverware with advanced technology, Yujin Kreves will also seek to help people with heart diseases around the world.

2012-06-27

[2012글로벌경영대상] 현대자동차- 미국시장 ‘톱 5 진입’ 노린다

현대자동차는 미국을 비롯한 세계 자동차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브랜드다. 지난해 한국을 제외한 해외시장에 총 336만여대를판매해 전년대비14.2%의 판매증가율을 기록했다. 한국에서의 판매량68만여대를 합칠 경우 전체 판매량은 404만대가 넘는다. 특히 미국시장에서는 매년 두자리수의 판매증가율을 기록하는 등 가파른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현대는 2011년 미국시장에서 전년에 비해 20% 이상 급증한 64만5000여대를 판매 미국시장 진출 이후 처음으로 연간 판매량 60만대를 돌파했다. 오토메이커스의 집계에 따르면 현대차의 시장 점유율도 5.1%로 상승 브랜드별 점유율에서 포드, 셰볼레, 도요타 등에 이어 7위에 올랐다. 현대차의 판매 증가는 쏘나타와 엘란트라가 이끌고 있다. 특히 엘란트라는 뛰어난 연비와 뛰어난 디자인으로 ‘2012 북미 올해의 차’로 선정되는 등 최고 인기 차종중 하나로 부상했다. 또한 최근에는 중대형 세단인 제네시스와 에쿠스도 판매 호조를 보이며 현대차의 브랜드 업그레이드에 한몫을 하고 있다. 현대차는 한국 외에 중국 인도 미국 등에 글로벌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있다. 특히 조지아주 앨라배마 공장(HMMA)는 증설을 거듭 연간 35만대 생산 규모를 자랑하며 고용창출 등 지역경제활성화에도 큰 역할을 하고 있다. 특히 현대차 아메리카(HMA)는 1998년부터 ‘호프 온 휠스(Hope on Wheels)’라는 자선프로그램을 통해 소아암 환자돕기에 앞장 서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미 전국의 800여 딜러들과 함께 새 차가 1대 팔릴 때마다 일정액을 적립해 소아암 연구기금으로 지원하는 것이다. 현대차의 약진은 글로벌 일류기업 도약을 목표로 꾸준한 연구개발 투자의 결과다. 정몽구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은 2012년 신년사를 통해 ”고객의 요구에 맞춰 친환경 차량 개발 등에 지속적으로 투자를 확대하겠다”고 강조했다. 현대자동차,100만번째 현대차,LA시장상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국민연금공단- ’세계 4대 규모 연기금’ 성장

세계 4대 연기금으로 우뚝 성장한 국민연금공단은 한국 금융산업의 선진화를 리드하고 있다. 2012년 3월 현재 365조원의 자산을 운용하는 국민연금기금은 지난해 7월 세계각국의 공적ㆍ기업연기금 정상들이모이는 세계연기금회의(IPC)를 개최해 세계 경제와 금융 동향, 연기금 운용방안을 논의하며 글로벌 네트워크를 다졌다. 국민연금공단은지난 3년동안 기금운용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시키고 장기적인 수익 창출 기반을 다지기 위해 채권투자비중을 낮추고, 주식ㆍ대체 투자와 해외투자 비중은 지속적으로 늘리는 등 국내외 투자 포트폴리오를 다변화시켜 왔다. 그 결과 1988년 기금적립 이후 2011년까지 총누적 수입금 148조원중 43%인 64조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에는 세계금융중심지인 뉴욕에 해외사무소를 설립하며 해외투자 확대를 위한 교두보를 마련했다. 이 뿐만 아니다, 국민연금공단은 국내외우수 운용사의 전문성을 활용하고 발전시키기 위해 기금의 일정부분을 위탁 운용시키고 있다. 또 신생ㆍ소규모 운용사들에게도 자금을 배정해 균등한 기회를 제공하는 예비운용사제도를 도입했으며 자금이 부족한 중소기업과 벤처기업도 적극적으로 지원하고 있다. 이밖에 ▶미래 산업으로 꼽히는 재생에너지, 친환경시설, 폐자원처리 등의 녹색산업 투자 ▶포스코, SK 등 해외투자 노하우가 축적된 민간기업과의 동반투자를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한국의 산업발전은 물론 장기적으로 기금의 수익성을 제고하는 윈-윈 전략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하동녹차- G20에도 납품한 '왕의 녹차'

’왕의 녹차’로 알려져 있는 하동녹차의 주산지인 경남 하동군은 섬진강에 인접해 있어 안개가 많고 습도가 높은 편이다. 특히, 수확 시기에 밤낮 기온 차가 커 차나무 재배에 좋은 환경이다. 때문에 하동 녹차는 다른 지역 생산품보다 성분과 맛, 품질 등이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수제덖음방식을 통해 어린 찻잎을 무쇠솥에서 덖고 비벼 만든 우전차는 맛이 부드럽고 향도 좋아 최상품으로 친다. 이같은 우수 품질 차가 1032헥타르(ha)에서 연간 2108톤 규모가 생산되고 있다. 전국대비 재배면적의 30%가 넘는 규모다. 2000곳이 넘는 차재배 농가를 통해 걷히는 농업소득은 연간 245억원, 138개 제다기업도 약 600억원의 농외소득 및 관련산업소득을 창출하고 있다. 지난 해 G20 서울정상회담에 납품되면서 전세계에 이름을 알린 하동녹차는 미국진출을 위해 식품의약품(FDA) 승인과 국제유기농인증지원 절차를 밟으며 글로벌 브랜드 입지를 다지고 있다. 하동녹차연구소는 생산시설 현대화, 우량품종 개발, 친환경 농업지원 등을 통해 차의 과학화와 산업화를 진행하고 하동녹차의 브랜드가치를 향상시키는데 일조하고 있다. 특히 차의 효능을 극대화하는 GABA차, 미생물 발효차, 녹차 유산균 등의 제품과 비누나 샴푸에 녹차/발효차를 접목시키거나 녹차씨오일을 첨가한 미용제품 등이 포함한 융ㆍ복합 차, 녹차 추출물을 사용한 콘크리트와 가구, 녹차식물영양제가 포함된 친환경 차 제품군을 지속적으로 개발해 나간다는 목표다.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 유진크레베스-장인정신으로 만든 식탁용품

유진크레베스(회장 문영기)는 스푼, 포크, 나이프 등 식탁용품 전문 업체다. 베트남 공장에서 만든 제품을 연간800만개이상 세계시장에 수출하고 있다. 유진크레베스는 세계 최고 수준의 금형기술과 열처리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기계작업과 연마공정 등에서도 경쟁업체들을 압도한다는 것이 업계의 평가다. 이처럼 앞선 기술력으로 생산된 제품들이 세계 시장의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유진크레베스의 경쟁력은 투자와 철저한 생산 및 품질관리에서 비롯된다. 특히 핵심인 디자인과 금형 기술에 대한 투자는 아낌없이 하고 있다는 것이 회사측의 설명이다. 이같은 유진크레베스의 장인 정신은 이름에도 숨어있다. 크레베스(KREVES)는 창조(Creation)와 투자(Investment)를 합친 이름으로, 창의성이 뛰어난 것에 투자와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는 기업이념이다. 유진크레베스는 현재 30여종의 고품질 양식기를 유럽의 WMF, ZWILLING J.A., HENCKELS, AUERHAHN, SILIT 그리고 미국의 ONEIDA, CAMBRIDGE, LENOX 등 유명 브랜드를 지해 세계인의 식탁에 올리고 있다. 또 2009년 9월부터는 금속 식탁용품 제조 기술력을 토대로 미국의 고급 가방 브랜드인 코치에 액세서리를 수출하기 시작했다. 현재 유진크레베스는 연매출 500억원에 이르는 중견기업으로 성장했다. ‘주주, 고객, 구성원 및 사회로부터 신뢰와 가치를 높이 평가받는 기업’ 이라는 유진크레베스의 비전은 지속적인 기술력 향상을 통해 고객을 만족시키고 사회적 책임(CSR)을 다해 신뢰를 얻는 기업을 목표로 하고 있다. 특히 베트남의 저소득층 어린이 심장병 환자들에게 무료수술 기회를 제공하고 지역주민들을 위한 무료 의료 활동 등을 통해 나눔경영도 실천하고 있다. 문영기 회장은 “기업의 본질인 우수제품의 생산뿐 아니라 사회적 역할도 충실히 수행할 때 지속가능경영을 할수 있다.”고 말했다.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대상-'한국의 건강한 맛' 세계 누빈다

마시는 건강음료로 유명한 ‘홍초’를 선두로 고추장, 김치 등 한국의 맛을 앞세운 대상이 글로벌시장공략에 본격 나선다. 대상은 올하반기부터 미국 최대 유기농식품 전문 업체인 홀푸드 마켓(Whole FoodMarket)에서 ‘홍초’를 판매한다고 밝혔다. ‘홍초’는 이미 일본에서는 폭발적 인기를 누리고 있다. 특히 지난 해 8월부터 인기 걸그룹 ‘카라’가 마시는 홍초의 일본모델로나선 후 지난해 하반기 판매액만 470억원을 기록했다. 이같은 판매 증가에 힘입어 대상은 주력제품 ‘홍초’를 중심으로 세계음료시장에 대대적인 출사표를 던졌다. 이달에는 태국의 최대 홈쇼핑업체를 통해 태국시장에 런칭을 했으며, 7월에는이란과러시아 블라디보스톡을 시작으로 중동과 러시아 전역으로 수출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또, 2700여개의 매장을 보유한 영국의 대형 유통사 ‘테스코(TESCO)’의 주요매장에도 홍초석류, 와사비, 자른미역 등 청정원 브랜드 제품을 8월부터 선보이게 된다. 대상의 또 다른 글로벌상품인 ‘청정원 순 창고추장’도 이미 미주 한인 식탁은 물론 53개국에 수출되고 있다. 대상은 글로벌시장 진출을 위해 고추장의 매운맛과 색도를 등급화하고 모든 표기를 영어와 일어, 중국어로 제작해 해외시장마케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신안천일염은 유대인 청결식품 인증마크인 ‘코셔(KOSHER)’ 인증을 받아내면서 기존 해외 한인시장에 한정됐던 판매를 현지시장까지 넓히고 있다. 순창 브랜드와 청정원 가공식품을 비롯해 대상FNF의 종가집 김치, 바이오, 전분당, 대상웰라이프 건강식품 등을 해외 시장에 수출하고 있는 대상은 창립60주년을 맞는2016년을 기해 글로벌 매출 5조원과 영업이익 5000억원 달성 목표 외에 현재 34개인 글로벌 해외 거점을 50개 이상으로 확장시킬 계획이다.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CJ푸드빌- 지구촌 미식가들 ‘비빔밥에 반하다’

한국의 대표적 외식전문기업 CJ푸드빌은 생각에만 머물던 ‘한식 세계화’를 현실로 끌어내며, 글로벌 시장에서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을 만들어 내고 있다. 그 중심에는 CJ푸드빌이 세계 시장을 위해 운영하는 한식 레스토랑 ‘비비고(bibigo)’가 있다. 대표적인 한식 메뉴인 비빔밥의 전통을 살리면서도 개개인의 기호에 맞게 밥과 소스, 토핑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 특징. CJ는 비비고를 세계적인 외식 브랜드로 발전시켜 미래의 성장동력으로 삼는다는 계획이다. 비비고의 성공 비결은 철저한 현지화에서 찾을 수 있다. 현지인의 생활문화와 밀접한 음식을 다루는 사업인 만큼 입맛은 물론 문화와 스타일을 적절히 접목시켜야 한다는 방침에서 나온 결과물이다. 지난 해와 올해에는 LA에서 에이즈 아동을 위한 기금 마련 행사인 ‘UCLA 댄스 마라톤’을 후원, 1000여명의 참가자들에게 비빔밥을 제공해 큰 호응을 얻었다. CJ는 비비고를 전략 상품화 해 하나의 통합 브랜드로 적극 활용한다는 전략을 세웠다. 냉동만두, 양념장, 장류, 햇반, 김치, 김 등 6가지 제품을 ‘비비고’ 브랜드로 통합해 글로벌 시장의 ‘대표 한식 브랜드’로 자리잡도록 하는 것이다. 이같은 전략은 한식메뉴가 세계 시장에서 성공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확인시켜 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질 수 있는 주요 포인트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전라남도-21세기 동북아 물류 산업 중심지

전라남도가 글로벌 시대의 새로운 주역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21세기 동북아 물류와 관광, 미래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겠다고 선언한 전남은 투자유치와 대규모 국제행사 유치 등을 통해 무한한 잠재력을 하나, 둘씩 현실로 바꾸어가고 있다. 박준영도지사는 “21세기신해양시대의 주역, 200만 도민들의 에너지를 한데 모아 후손과 풍요로운 미래를 위해 더 큰 희망을 만들어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전남은 더 이상 맛깔나는 음식, 아름다운 자연 환경, 송광사나 화엄사 같은 문화유산이 중심이 되는 지역이 아니다. 글로벌 시대에 전남이 가진 가장 큰 무기는 한국과 중국, 일본이 중심이 되는 동북아시대에 지리적인 중심에 위치했다는 데 있다. 물류, 교역 및 기업투자에 가장 적합한 입지 조건을 갖추고 있다는 뜻이다. 5대양 6대주로 진출하는 주요 간선항로상에 세계적인 항만 시설을 갖춘 광양항과 목포신항이 위치해 있다. 전남은 이같은 포텐셜에 끌리는 외국인 투자기업에 대한 지원에도 적극적이다이미 지난 2004년부터 지난해까지 3222개 기업이 들어와 12만명이 넘는 일자리가 창출됐다. 자연 및 문화유산을 적극 활용할 수 있는 것도 전남만이 가진 글로벌 경쟁력이다. 이에 전남은 부가가치가 높은 대규모 국제행사와 이에 연계한 관광자원 및 관광상품개발을 통해 동북아관광허브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전 세계인의 축제로 큰 주목을 받고 있는 ‘2012 여수 세계 박람회’는 그 가운데 하나에 불과하다. 월드컵, 올림픽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 이번트로 꼽히는 F1 국제 자동차 경주대회도 전남 영암에서 열린다. 지난 2010년 첫 대회를 시작으로 올 10월 3회째를 맞는다. 이와 함께 올 10월 ‘2012 국제 농업 박람회’, ‘내년 4월에는 ’2013 순천만 국제정원박람회’가 예정됐다.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차병원그룹-줄기세포 분야 '주도' 미국서도 성공

차병원그룹은 지난해 국제줄기세포임상시험센터를 오픈하고 국제 줄기세포 심포지엄을 개최하는 등 글로벌 생명과학 의료그룹으로의 입지를 다지고 있다. 1960년대 차경섭 이사장의 차 산부인과로 출발한 차병원그룹은 1980년대 차광렬 총괄회장 주도로 불임 생식의학의 기틀을 닦으며 제2의 창업을했다. 그리고2 012년현재는 글로벌 생명공학 그룹으로의 힘찬 도약을 선언하며 제3의창업시대를 열어가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세계의학계 최대 관심 분야중 하나인 줄기세포 연구와 임상학 분야에서 주도권을 잡겠다는 차광렬 회장(사진)의 야심찬 포부가 깔려있다. 차회장은 “줄기세포 기초 연구분야에서는 미국이 앞서가고 있지만 5년 뒤에는 원천 특허가 만료돼 줄기 세포 임상 분야를 선도할 수 있다”며 “특히 최적화된 한국의 임상조건으로 인해 단기간에 많은 시험을 할 수 있는 것도 줄기세포 치료시장 선점의 이유”라고 설명했다. 차병원그룹은 뛰어난 의료진과 최첨단 의료장비, 수준 높은 의료 서비스를 통해 세계 최고 수준의 의료그룹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불임생식의학을 기반으로 한 여성의학연구소와 양ㆍ한방협진센터, 통합의학센터, 부인암 종합진료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그룹 내에는 여성전문병원으로 명성이 높은 강남차병원,양ㆍ한방협진 병원으로 개원해 분당지역의 중심 의료기관으로 자리 잡은 분당차병원, 여성 토탈 케어 센터를 자부하는 분당차여성병원, 경북지역의 중추의료기관인 CHA 의과학대학교 부속 구미차병원과 대구여성차병원 등이 있다. 이에 더해 차병원 그룹은 세계유일의 줄기세포임상연구센터인 차움글로벌 줄기세포임상시험센터, 줄기세포 치료연구의 선두기업인 차바이오 앤디오스텍, 전문 의료벤처 차바이오메드, 차케어스, 차바이오푸드 등 대형 의료 네트워크를 통해 글로벌생명과학의료그룹의 면모를 갖추고 있다. 또 세계 최초로 동서양 의학은 물론 대체의학과 첨단의학을 총 집결한 라이프센터 ‘차움’도 설립했다. 차움은 글로벌 메디컬 트렌드를 선도하는 차세대 신개념 의학의 모델로 주목 받으며 독보적이고 전문화된 의료기관으로 발전하고 있다. 차움은 최첨단의료 서비스는 물론 동서양 의학의 융합 줄기세포의 보관과 치료, 유전체검진 등이 유기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입소문을 타고 세계 부호는 물론 할리우드와 스포츠스타들도 많이 찾고 있다는 것이 관계자의 전언이다. 특히 차병원그룹은 서양 의료 도입 120여년 만에 한국 병원 최초로 한국 의술을 미국에 역수출하는 성과도 거뒀다. LA에 불임치료센터를 세우고 ‘LA 할리우드장로병원(이하 LA차병원)’을 인수, 성공적으로 운영하면서 ‘세계 속의 한국 의술’을 실현하고 있다. 의료 세계화를 선도하는 차병원그룹은 글로벌 리더를 양성한다는 목표 아래 1997년 CHA 의과학대학교를 개교했다. 현재 교수 1인당 학생수 5명을 유지하며 의학분야의 세계적인 석학들에게 직접 강의를 듣는 기회도 제공하고 있다. 이밖에 줄기세포연구확대와 압축임상시험을 위해 분당 차병원의 두배규모인 차병원 종합연구원을 판교에 건설하고 있다. 이 연구원에는 암ㆍ줄기세포ㆍ노화방지ㆍ불임 및 생식의학ㆍ신약개발임상중개연구소와 산학협력연구소 GMP(우수의약품품질관리기준)시설 등이 들어선다.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홍진HJC- 바이크 헬멧, 북미연속 20년 연속 1위

‘헬멧 세계시장 점유율 1위’ 홍진HJC(회장 홍석중)는 모토 바이크 헬멧 등 각종 헬멧으로 세계 시장을 석권한 글로벌 기업이다. 한국은 물론 북미, 유럽 등의 바이크족이 가장 많이 애용하는 헬멧이 HJC제품이다. 지난 1971년 창립한 HJC는 90년대 초 부터 북미 지역 모토 바이크 헬멧 판매 1위에 올랐다. 우수한 제품을 만드는 생산노하우와 혁신적인 사고합리적인 가격이 이룬 성과였다. HJC의 제품은 품질편이성가격 면에서 경쟁업체들을 압도했던 것. 이런 경쟁력을 바탕으로 20년 연속으로 북미지역 판매 1위 자리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또 2001년부터는 전세계 오토바이 헬멧 시장에서도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 이같은 판매 실적은 소비자들에게 HJC 제품의 브랜드 인지도를 높이는 중요한 계기가 되었으며 고가 시장으로 제품 군을 확대하는 밑바탕이 되기도 했다. 이를 토대로 HJC는 다양한 가격대의 헬멧을 선보이며 소비자의 선택 폭을 확대하는 등 수요에 부응하며 세계 1위자리에 우뚝 설 수 있었다. HJC는 글로벌생산기지구축, 연구개발투자(R&D) 확대, 기술ㆍ가격ㆍ생산 경쟁력 강화 등을 핵심 전략으로 내세워 창립 이래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하고 있다. 한국의 생산 라인 외에 1997년 중국 북경에 제 2헬멧 공장을 설립한데 이어 2008년에는 베트남에 제3 헬멧공장도 세웠다. 또한 북한의 개성공단에도 제4 헬멧내장재 공장을 설립하는 등 생산기지를 글로벌화 했다. 특히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경쟁력도 강화하기 위해 각 생산기지를 특성에 맞게 중가와 고가 생산 라인으로 특성화한 전략도 주목된다. HJC는 매년 매출의 약 10% 이상을 연구개발 분야에 투자하고 있다. 이런 적극적인 투자가 가격 대비 뛰어난 품질의 헬멧을 생산하는 밑거름이 되고 있다. HJC의 연구팀은 동양인과 서양인의 두형 차이와 특성까지 고려한 특화된 제품을 생산해 세계 65개국의 고객들을 만족시키고 있다. HJC의 연구소는 2006년 한국 산업자원부주관 ‘첨단 신소재 헬멧 제조 기술 연구 센터’로 선정 등록됐으며 세계최초로 연구소 내에 헬멧 연구를 위한 최신식 윈드 터널 시스템도 갖춰 명실상부한 세계 1위 헬멧 기업으로서의 자리를 굳건히 지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윈드 터널 시스템 장비는 극히 소수의 헬멧 기업만 보유하고 있는 첨단 장비다. HJC는 이 장비를 이용하여 헬멧의 공기 역학, 통풍, 소음 등 주행 시 발생 할 수 있는 모든 요인들을 테스트해 최고의 헬멧을 제작 하고 있다. 특히 헬멧에서 가장 중요한 항목중 하나가 중량인데 헬멧의 무게는 줄이면서 편하고 안전성을 높인 ‘알파 텐(R-PHA 10)’은 가볍고 정교하면서 시야 확보가 뛰어나다. 이 제품의 우수성과 기술력은 독일 최대의 모터사이클 잡지인 모토라드(Motorrad)가 ‘최고 제품’으로 선정하면서 다시 한번 입증됐다. 고가 라인업인 RPHA 시리즈는 어느 경쟁업체에서도 이루지 못하는 저중량을 실현한데다 뛰어난 안전성도 입증돼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뛰어난 제품개발력과 가격경쟁력, 전세계에 구축된 세일즈 네트워크는 HJC 브랜드를 명실상부한 세계 최고의 반열에 올려 놓았다.

2012-06-19

[글로벌경영대상]우리금융그룹-세계 우뚝! 글로벌 금융사들과 당당히 어깨 견준다

우리금융그룹이 새로운 금융 환경에 맞춰 글로벌 금융기업으로 발돋움하고 있다. 한국이라는 작은 시장의 한계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 진정한 글로벌 금융사로 거듭나야 한다는 것이다. ◆세계 무대가 살 길이다 우리금융의 이팔성 회장은 “자국시장에만 안주하고 있다면 치열한 글로벌 금융 시장에서 살아 남기 어렵다”고 강조한 바 있다. 지난 2008년 발생한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가 채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유럽 재정위기까지 터지며 세계 금융 시장이 휘청이고 있지만 그 속에서도 탄탄한 모습을 갖추고 세계 무대에서 글로벌 금융사들과 당당히 어깨를 견주며 경쟁하는 금융사가 되어야 한다는 말 이다. 우리금융은 지난해 7월 세계적인 금융 전문지 ‘더 뱅커(The Banker)’가 선정한 ‘세계 1000대 은행 순위에서 72위에 올랐다. 기본자본 기준으로 한국 1위이며, 아시아 지역에서는 17위에 해당한다. 규모 면으로 보면 충분히 크다고 볼 수도 있는 덩치. 그러나 외형 규모는 우리금융이 말하 는 ‘글로벌 경영’의 전부가 아니다. ◆글로벌화와 현지화 우리금융은 현재 미국, 중국, 인도네시아, 베트남, 브라질 등에 다양한 형태로 진출해 있다. 특히 미국에서는 현지법인인 ‘우리아메리카뱅크’를 통해 소매 금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뉴욕과 로스앤젤레스(LA) 두 곳에는 우리은행 지점을 두고 있다. 뉴욕 맨해튼에는 우리투자증권도 자리잡고 있다. 글로벌 금융 시장의 심장부인 미국 시장이 갖는 상징적인 의미와 앞으로의 성장 가능성은 우리금융 이 미국 시장 공략을 강화하기 위해 다양한 시도를 계속하는 이유이다. 이런 노력중의 하나가 철저한 현지화 전략, 우리금융의 미국 현지법인인 ‘우리아메리카’는 200만 미주 한인 사회의 대표적인 은행 가운데 하나로 굳건한 자리를 지키고 있다. 우리아메리카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표적 한인 은행인 ‘한미은행’ 인수를 추진해 성사 직전까지 갔지만 미국 금융당국에 의해 무산되기도 했다. ◆앞으로 전략은 우리금융은 올 하반기 경영전략을 ‘저성장 저수익 기조의 국내(한국) 금융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고 해외 네트워크를 확대한다’로 결정했다. 이 회장은 기회가 있을 때 마다 해외 금융회사 인수합병 의사를 밝히고 있다. 글로벌화에 대한 우리금융의 변함없는 의지를 보여 주는 부분이다. 이를 위해 우리금융은 글로벌 인력확보를 위한 지역전문가 양성 제도를 통해 글로벌 전문가를 양성하고 있다. 중국 교통은행, 스페인 BBVA 등의 세계 대형 은행과의 해외협약도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무산됐던 미주한인은행 인수는 언제든지 다시 추진될 수 있는 사안이다. 미국의 금융사를 인수해 중간 지주사 성격으로 삼고 남미 시장으로 까지 나아간다는 구상이다. 현재 우리금융의 해외비중은 6%에불과 하지만, 글로벌 금융사는 60~70%가 해외자산 이라는 게 이 회장의 생각이다. 유일한 걸림돌은 민영화를 통한 공적자금 상환 정도다. 앞으로 우리금융이 미국을 중심으로 한 글로벌시장에서 펼쳐 보일 행보에 주목해야 하는 까닭이다. 빈곤아동 돕기 등 글로벌 사회 공헌에도 앞장 우리금융그룹은 글로벌 사회 공헌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 2010년 4월2일. 우리금융의 창립 9주년을 맞아 사회봉사의 날 성격인 ‘우리 커뮤니티 서비스 데이’를 정하고 ‘글로벌 사회봉사단’을 출범했다. 모든 계열사 직원들로 구성된 이봉사단은 베트남, 몽골, 네팔, 필리핀 등에서 활발한 봉사활동을 펼치고 있다. 올해만 해도 지난 4월 봉사단이 필리핀을 찾아 공부방신축, 미니 놀이터 및 화단 조성, 빈곤아동 무료 급식 등의 활동을 했다. 지난해에는 몽골을 찾아 1800여 그루의 나무심기 및 도서관신축, 지역아동 대상 교육 및 문화교류 활동을 펼쳤다. 미국에서는 현지법인 ‘우리아메리카뱅크’가 올해로 8년째 장학 사업을 펼치고 있다. 대학 진학을 앞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매년 50명의 학생들에게 소중한 장학금을 지원하고 있다. 우리금융 측은 “글로벌 사회공헌 활동을 더욱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며 “해외에서도 존경받는 기업으로서 입지를 탄탄히 하겠다”고 밝혔다.

2012-06-19

[Korean Global Awards]Hadong Green Tea-Ancient Green Tea Becomes Modern Brand [글로벌경영대상]

Green tea is to Korea what wine is to France. The quality of teas depends largely on its origins, and perhaps no other place in Korea is as environmentally suited for wild tea as Hadong. Nestled among Mt. Jiri alongside the Seomjin River, it has just the right humid conditions and the wide temperature range for teas. Ancient Korean records show that the first tea tree was planted in Hadong area in the year 828. It has since become the major local staple, and has also been served to royal families. Hadong Green Tea was also the beverage of choice during the G-20 Summit in Seoul in 2011. Hadong area accounts for more than a third of the nation’s tea farms, and together, Hadong farms produce more than 2,100 tons of tea leaves. The state-run Institute of Hadong Green Tea was established in 2005 to help transform Hadong Green Tea into a global brand. It’s a think tank designed to aid scientific studies and industrialization of local tea production. By providing research and development, offering technical support and eco-friendly farming assistance, the Institute helps raise brand value of Hadong Green Tea. It has earned 10 patents and applied for 14 others and has published 20 academic papers on teas. The Institute has also taken important steps toward globalization, earning approval from the U.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r exports and certification by the International Federation of Organic Agriculture Movements. For all its efforts, the Institute has received a medal from the Knowledge Economy minister in Korea for successful regional developments in 2009 and 2011. Globalizing Hadong Green Tea as “functional, fusion, and eco-friendly tea,” the goal is to offer high-end tea different from anything else on the market. Functional products include green tea lactic acid, while fusion products include soaps and shampoos with green tea extracts. Concretes and furniture with green tea extracts are among eco-friendly items.

2012-06-19

[Korean Global Awards] Hana Tour-Hana Tour Building Top Travel Brand [글로벌경영대상]

Hana Tour is the largest travel agency in Korea, providing services through 10 domestic and 28 international affiliates. It has been the top seller of airline tickets for 12 years running, and became the first local traveling firm to be listed in the KOSDAQ index in November 2000. Six years later, Hana Tour was listed on the London Stock Exchange as the first KOSDAQ firm to do so. Recognized for transparent and reliable management, Hana Tour laid the groundwork to becoming a global tour agency. Hana Tour handles outbound and inbound trips, domestic trips, and cruises. Amid the global economic recession and the outbreak of swine flu, Hana Tour, with quality service provided by professional staffs, still accounted for 13.99 percent of the domestic traveling market, with a revenue of more than $104 million and an operating income of $340,000. Hana Tour plans to build itself as the world’s finest traveling brand with superior products and services. It is already growing as a global company due to competitive rates, a diverse distribution network, and responsible and reliable services from different affiliates. Dedicated to offering customers with the most satisfactory services, Hana Tour is positioned to develop as the world’s greatest comprehensive tour company by the year 2020. Under the slogan “Earth as One,” Hana Tour became the first company in the field to set up a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CSR) team. Portions of its proceeds have been donated to a wide range of social projects, covering scholarships and volunteer work. Hana Tour’s ultimate mission is to contribute to building a sustainable society and to providing dreams and hopes for the mankind.

2012-06-19

[Korean Global Awards]Hyundai Thrives in Global Markets[글로벌경영대상]

Hyundai Motor Co. is one of the hottest brands in the world’s auto market today. The company sold 3.36 million units worldwide outside Korea, for an annual sales increase of 14.2 percent. Combined with 680,000 vehicles sold in Korea, the figure reaches over 4 million. In America, Hyundai has enjoyed a double-digit increase every year. In 2011, Hyundai sales increased more than 20 percent with 645,000 units sold in the U.S., surpassing 600,000 for the first time. According to Automakers, Hyundai’s market share reached 5.1 percent, seventh behind the likes of Ford, Chevrolet and Toyota among brands that enjoyed a rise in market share. Sonata and Elentra have been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success. Due to excellent fuel efficiency and fine design, Elentra has been chosen as the “2012 North American Car of the Year.” Mid-sized sedans such as Genesis and Equus have also made strides, upgrading the Hyundai brand. Hyundai is operating global production facilities in China, India and the U.S. Its Alabama plant in Georgia has been expanding over the years and now produces 350,000 vehicles a year, contributing to the local economy by creating jobs. Furthermore, Hyundai Motor America’s charity, “Hope on Wheels,” unites approximately 800 dealerships across the U.S. to fund cancer research. Hyundai’s commitment to consistent investments into the community as well as product research and development has been its guiding principle for success. Mong-koo Chung, chairman of Hyundai Motor Group, announced that the group will “continue to expand investments into areas such as developing eco-friendly vehicles to meet customers’ needs.”

2012-06-19

[Korean Global Awards] Dae Sang Leads Korean Food Wave[글로벌경영대상]

Even if you’re only vaguely interested in Asian culture, you’re probably aware of the global impact of known as the “Korean Wave” Korean pop culture today, Girls’ Generation, one of the most popular Korean girl groups, has graced the front page of the Los Angeles Times; has appeared in TV shows in Japan; performed in concerts in Thailand, at Honda Center in Anaheim, and record shops in France. Many Korean entrepreneurs are constantly trying to see how they can use different opportunities in marketing. Dae Sang suggests using “Korean wave” as a marketing tool. Dae Sang is one of the biggest food companies in Korea. Their products range from soy sauce to kimchi. Its export revenue amounted to $350 million in 2011. A main driving force behind such an explosive growth is the huge popularity of Hong Cho, drinkable red vinegar. In 2010, sales of Hong Cho sat at $115,000, but in 2011, it soared to $48 million, an increase of 3,570 percent. Kara, the most popular Korean girl group in Japan, made a major contribution to the skyrocketing sales. The Hong Cho commercial featuring Kara first aired in July 2011. The sales in the second half of 2011 reached $46 million. But that doesn’t mean Kara has been solely responsible for Hong Cho’s success. One of the critical factors was product positioning. Before Hong Cho was introduced to Japan, Japanese saw drinkable vinegar as healthy food usually consumed by the older population. Dae Sang positioned Hong Cho as a beauty product for younger generations. The positioning of the product and having Kara endorse it had a powerful synergy effect. Hong Cho was named as one of the ‘best products in 2011’ by Nikkei Trendy, a popular weekly magazine in Japan. After the marketing strategy for Hong Cho turned out to be a huge success in the international market, Dae Sang has been preparing for further expansion. Hong Cho will be available in Thailand, Iran, Britain, and Russia starting in the summer of 2012. Dae Sang is also discussing the placement of Hong Cho with Whole Foods Market. Dae Sang is very confident about the success of Korean food in the global market because of its international experience. Combining Korean food with the Korean wave is another useful tool for Korean food companies, too. In the future, the growing popularity of Korean popular culture will help to globalize all aspects of the Korean culture . And Dae Sang will play a major role in the Korean Food Wave.

2012-06-19

[Korean Global Awards] aT Delivers Quality and Trust[글로벌경영대상]

Korea Agro-Fishires & Food Trade Corporation, formally known as aT, has set its sight on $10 billion in revenue, and it is prepared to become an agricultural powerhouse. aT founded to connect customers and producers, such as farmers and fishermen, directly. The corporation, launched in 1967, has been bridging the economic and social gap between the urban area and rural area for over 40 years. aT seeks to strive in both the domestic market and the global market. The leading example of the global effort is aT Grain Company. Recently founded by the consortium of aT and other firms, aT Grain Company is located in North America and responsible for delivering Korean grain products to customers in North America. With this global effort, aT has sold $7.7 billion worth of agricultural products. Several strategies were put in place to that end. Its reaction to the devastating tsunami in Japan is an example of efficient execution of strategies. Right after the disaster, aT formed a task force team to respond to tremendous change in the global food market. With the effort, the export of Korean agricultural and fisheries products increased by 30 percent, the highest increase in history. The company’s contribution to public welfare has laid the foundation for aT to develop into a powerhouse. In 2005, it created ‘aT Love Sharing Team,” which has made audio books for those with hearing impairments, created jobs for underprivileged people and hosted cultural events with multi-cultural families. For more than 45 years, aT has earned the trust of the korean people. aT strives to maintain this trust, and continue to gain trust from around the world, as a reliable global power house.

2012-06-19

[Korean Global Awards]Korea’s Biggest Real Easte Firm Celebrates 50 years[글로벌경영대상]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is one of Korea’s biggest real estate and construction companies. The government-owned corporation was launched in 2009, when the two major public enterprises, Korea Land Corporation and Korea Housing Corporation, were merged into one company,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The economic situation in 2009 was dire. The international enterprise of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s has been very successful since 2009. The total revenue of its enterprise is more than $500 billion. The corporation has served as the best supporter of urban development in many countries, including Indonesia, Vietnam, Ghana, the Philippines, the United Ara b Emirates, and China. Apartment complex construction in Indonesia is leading example of urban development. In the Philippines, it carried out a similar but more complicated project. The corporation researched the feasibility of the agricultural-industrial complex and looked into technical issues. However, efficiency from a speedy merger led to higher profits. In 2011, the profit was approximately $670 million, a 55-percent jump from the previous year. Foreign projects in 2012 include planning a new city in Algeria; making the master plan for the city of Hue in Vietnam; crafting the master plan for a fabric industrial complex in Indonesia; and setting up collaboration between the Korean and Chinese governments on new town projects in China. “We celebrate our 50th anniversary in 2012 and I think our job is to plan for the next 100 years,” said Ji Song Lee, CEO of Korea Land & Housing Corporation. “And I believe passion for our mission will be the key for a brighter future.”

2012-06-19

[Korean Global Awards]CNN Picks Yeosu, S. Jeolla as A Must-See in Korea[글로벌경영대상]

Jeollanam-do or South Jeolla Province is probably not a familiar location for those living outside of Korea. You’d be forgiven for thinking Seoul is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rips to Korea. But Koreans would tell you, if you haven’t been to South Jeolla, you haven’t seen Korea yet. There are many things to do and see in the province, but the locals strong recommend their beaches and shorelines. There are more than 200 islands along the shoreline of Jeollanam-do, and the area’s natural wonders are keys to its tourism. Now Yeosu is a leading Jeolla city with a spectacular beach. CNN recently picked Yeosu as one of the “top places to visit in 2012.” And the primary reason to make the trip is the 2012 Yeosu Expo. Between May 12 and Aug. 2012, Yeosu will showcase its wonderful nature to the world with more than 8,000 events and exhibitions scheduled. Ocean-related attractions, including aquariums, oceanic performances, and the oceanic civilization museum, are the highlights of the Yeosu Expo, also, Formula 1 (F1) racing, one of the world’s most beloved sports circuits, comes to South Jeolla each year. The annual Korean Grand Prix, which started in 2010, has brought more than 150,000 people a year. This year’s race, featuring K-pop performances, is expected to attract even more spectators. The province hosts a series of other international events, including an agriculture expo and a gardening festival, making South Jeolla an internationally attractive place. “South Jeolla will be the major destination during the year of the ocean, and conventions and events are part of our preparations. The goal of the events is to make South Jeolla the travelling hub of Asia’s future,” said Jun Young Park, the governor of the province. “Our province is famous for having the highest happiness index in Korea. I think people from Korea and the rest of the world should look to us and see how to raise their level of happiness, too.”

2012-06-19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