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어만 알아도 절반은 뷰티 전문가 '스킨=토너, 로션=모이스쳐라이저'
에멀젼은 밀키로션과 같은 말, 암호같은 유효기간 알면 도움
4개의 아이콘
아이 코올(Eye Kohl): 일반적인 딱딱한 펜슬에 비해 유분감이 있고 블랙 파우더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발색이 뛰어난 크레용 타입 펜슬. 스모키 메이크업시 펜슬의 그러데이션이 필요한 경우 편리하다.
립 스테인(Lip Stain): 입술을 오랫동안 화학적 또는 천연적으로 착색시켜 주는 립 제품. '립 틴트'라고도 한다.
수딩(Soothing): 그을리거나 손상된 피부를 회복시켜주는 진정 작용.
퍼밍(Firming): 리프팅과 유사한 의미로 피부 탄력을 강화시킨다는 뜻. 피부를 탱탱하게 해주고 주름살을 완화시켜 주는 제품에 쓰이는 말이다.
필링(Peeling): 엑스폴리에이터나 스크럽보다 강한의미로 피부의 더러운 각질을 좀더 강하게 벗겨내어 피부를 맑게 만들어준다.
- 스킨 vs 아스트린젠트 vs 토너
스킨: 스킨 소프트너라고도 하며 피부를 진정시키고 부드럽게 만들어 다음 단계의 흡수를 돕는다. 미국에서는 토너로 대체되어 사용되기도 한다.
아스트린젠트: 알코올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 세안 후 모공을 탄탄하게 조여주는 역할을 하는 수렴 화장수.
토너: 세안 후 불균형해진 ph밸런스를 맞춰 피부를 안정감 있게 마무리 해주는 스킨. 염분때문에 피부가 ph밸런스를 잃고 알카리화 되는 것을 방지한다.
- 로션 vs 에멀젼
로션: 유액 상태로 수분과 유분을 동시에 공급한다.
에멀젼: 밀키로션과 같다. 로션보다 더 부드럽고 가벼운 질감을 가진 것.
화장품 생일과 유효기간 읽기
도대체 이 제품은 언제 만들어진거고 언제까지 쓸 수 있는 걸까? 본국 화장품의 수입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제조 된 지 너무 오래된 제품을 사지 않기 위해서 화장품의 제조년월일을 읽는 법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졌다.
암호같은 화장품 생일 이렇게 해독해 보자.
Type1: MFD/MFG/M은 Manufactured의 약자로 뒤에 오는 숫자가 제조 연월일이다. M 15.03.07이라면 2007년 3월 15일 M0409411이라면 04는 2004년094는 1년 중 94번째 날(4월 4일) 11번 생산라인에서 만들어졌다는 뜻.
Type2: I03H30의 I는 알파벳 순서로 9번째이므로 9월을 03은 2003년을 H는 생산공장을 30은 날짜를 나타낸다. 그래서 제조일은 2003년 9월 30일.
Type3: PROD라고 써 있다면 그것은 Production date의 약자로 제조일을 뜻하므로 그 뒤의 숫자를 그대로 읽으면 된다.
그렇다면 언제까지 쓸 수 있나? 법적으로 화장품의 유효기간을 표기할 필요는 없지만 식약청이 지정한 성분(비타민 C E A 등)은 필수로 적게 되어 있다. 오개닉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늘면서 화장품의 유효기간을 읽는 법의 중요성이 높아졌다.
Type1: EXP. 05.05.2006의 EXP는 Expiry date 즉 유통기한을 의미한다.
Type2: BBE/BE는 Best Before의 약자로 제품이 가장 좋은 품질을 유지하는 기간을 뜻한다. BBE04.02.2003이라면 2003년 2월 4일까지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는 뜻.
Type3: 1004LJ23에서 첫 번째 두 자리는 월 두 번째 두 자리는 연 세번째 두 자리 영문은 제조코드 네 번째 두 자리는 일을 나타낸다. 그래서 유통기한은 2004년 10월 23일.
Type4: 10월을 October의 'O'로 표시하듯 영문의 첫 글자를 따서 표시할 수도 있다.
※4개 아이콘의 의미
화장품 뒷면 하단의 4개 아이콘은 무엇을 뜻하는 것인지 알아보자.
1. 브로셔를 참고하세요!
제품에 대한 추가 설명이 필요하다면 제품 브로셔를 참고하라고 안내하는 아이콘.
2. 개봉 후 사용 기간
제품 개봉 후 제품이 최대한의 효과를 유지하는 기간을 명시했다. 예를 들어 ‘12M’는 개봉 후 12개월이내에 다 사용하라고 권하는 것이다.
3. 재활용
재활용이 가능한 용기를 사용했다는 뜻이다. ‘분리배출’이라고 표시된 투명스티커는 재활용 아이콘의 한국식 표기 방법.
4. PE/PET/PP/PT
용기 재질을 표시하는 아이콘이다. 재활용 가능한 용기인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주로 오개닉 화장품등에 많이 쓰인다. 폴리에틸렌(PE)이나 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PET), 폴리프로필렌(PP)과 폴리에틸렌 나일론류인 폴리엑스트루드(PT) 등이 있다.
김수연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