답은 팔도의 ‘틈새라면빨계떡’이다. 이어 오뚜기 열라면과 농심 신라면 삼양식품의 삼양라면 순이다. 한국의 팔도 중앙연구소는 최근 한국에서 판매되는 라면을 대상으로 스코빌 지수(SHU)를 산출한 결과 ‘틈새라면빨계떡’이 8557(SHU)점으로 가장 높았다고 밝혔다.
스코빌지수는 1912년 미국의 화학자인 윌버 스코빌이 개발한 지수로 매운맛 측정을 위한 국제규격으로 사용된다. 틈새라면빨계떡에 이어 팔도의 ‘남자라면’이 3019점으로 2위 오뚜기의 ‘열라면’이 2995점을 받아 ‘톱3’에 들었다.
이어 농심의 ‘진짜진짜’가 2724점 ‘신라면’은 1320점을 받았으며 1061점을 받은 삼양식품의 ‘삼양라면’이 그 뒤를 이었다. 틈새라면빨계떡은 2위인 남자라면보다 2.5배 이상 맵고 매운 라면의 대명사격인 신라면보다는 6.5배 이상 매운 것으로 분석됐다.
한인들도 즐겨먹는 할라페뇨 고추의 경우 스코빌 지수가 2500~8000점 정도이며 청양고추는 1만~2만3000점 정도다. 틈새라면빨계떡은 팔도가 명동의 유명한 라면 맛집 제품을 브랜드화해 2009년 출시했으며 미주지역 한인마켓에서도 구입이 가능하다. 이외에도 신라면 열라면 삼양라면 등도 한인마켓에서 손쉽게 구입이 가능하다.
산호세 갤러리아마켓 박진서 매니저는 “틈새라면빨계떡은 매운 맛을 좋아하는 한인은 물론 멕시칸들에게도 특히 인기가 많다”며 “매운 맛 라면의 베스트셀러로 꼽히는 신라면처럼 ‘매움’을 마케팅화해 출시하는 틈새라면빨계떡·열라면 등이 인기 품목들”이라고 말했다. 한국에서 조사된 매운 맛의 정도가 미주 수출 제품에서도 똑같지 않을 가능성은 있다. 하지만 매운 맛의 순위 자체에는 큰 차이가 없을 것이란 것이 업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