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기성의 한방사랑] 봄 그리고 춘곤증
강기성 한의원 원장
중년 이후의 남성들이 좋아하는 회춘이란 말은 마치 성능력의 회복을 봄을 다시 맞는 것에 비유하였지만 회춘이란 말에는 이보다 더 심오한 뜻이 담겨져 있다. 추운 겨울을 무사히 보낸 동·식물이 맞는 봄은 생명 에너지의 도출을 의미한다. 또 질병의 위험으로 부터 건강을 지켜냈다는 뜻이 함축된 말이다. 봄은 우리에게 한 해의 희망과 각오를 새롭게 하지만 겨울에 충분한 준비(양생)를 하지 못했다면 다시 봄을 맞기는 힘들다.
봄의 한자 표기인 春은 석삼(三), 사람 (人), 날일(日)로 되어 있다. 굳이 해석을 하자면 사람이 햇볕을 받으며 일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고 하겠다. 생리적으로 보면 겨우내 저장된 에너지를 사용하기 시작하는 시기가 된다. 이를 위해선 인체 장기 중 간장과 심장이 바빠지기 시작한다. 에너지를 사용하려면 간장의 역할이 필요한데 이에 못지 않게 중요한것이 기혈을 순환시켜 주는 심장의 역할이다. 심장은 누구나 알고 있듯이 피를 순환시켜 전신에 영양분과 대사에 필요한 각종 물질을 전달한다.
춘곤증
충분히 잠을 잤는데도 온몸이 나른하고 졸음이 온다. 의욕이 떨어지고 만사가 귀찮다. 쉴자리만 찾게 되고 식욕이 없다. 수족이 저리고 몸이 찌뿌듯하다. 이런 증상이 춘곤증이다. 겨울에 맞추어져 있던 생체시계가 길어진 낮 시간과 늘어난 활동량에 적응하지 못하여 나타나는 증세이다.
춘곤증의 원인은 아직도 명확히 밝혀지지 않고 있지만 겨울 동안 움츠렸던 인체가 따뜻한 봄날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호르몬과 중추신경 등에 자극을 줌으로써 나타나는 일종의 피로로 보는 견해가 많다. 봄에는 신진대사가 활발해져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등 각종 영양소의 필요량이 증가하는 반면 겨우내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 못해서 생기는 영양상의 불균형이 춘곤증으로 나타나게 된다.
특히 춘곤증은 겨우 내 운동부족과 과로로 피로가 누적된 사람일수록 심하게 나타나고 빈혈이 있거나 소화기가 약하고 아침잠이 많은 사람 또는 추위를 잘 타는 사람, 스트레스가 심한 사람, 외부 환경에 적응능력이 떨어지는 사람들이 시달리기 쉽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