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교육 ABC] 영어! 두려워하지 말자

김세진 교사/웨스트민스터스쿨

한인 학부모님들과 상담을 하다 보면 가장 많이 듣는 말중에 하나가 바로 ‘영어가 짧아서 학교에 오는 것이 부담스럽다’는 것이다. 대부분의 이민1세대의 부모들에게는 외국어인 영어에서 오는 부담감 때문에 자연스럽게 아이들의 학교 학부모회의에 참석하거나 학교의 행사에 참여하는 등의 능동적인 학부모회의 활동에서 점차 거리를 두게되는 것 같다.

아마도 이와같은 이유가 그렇지 않아도 가장 대표적인 조용한 소수민족으로 부류되는 동양인 부모들이 높은 교육열과 아이들의 학업성취에 대해 누구보다 높은 하이어 스탠더드 마인드(higher standard mind)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경우에서 학교에 대해 관심과 지원이 부족한 무관심한 부모로 오인되곤 한다.

특히, 이민자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평생의 과제가 바로 커뮤니케이션이 아닐 수 없다. 물론, 미국에서 생활하는 우리 부모들에게는 ‘영어’라는 높기만한 담벼락이 어디를 가나 우리의 앞길을 막고 기다리고 있다. 영어는 미국에서 생활하는 비영어권 사용자들에게는 누구에게나 커다란 숙제이자 매일매일 꼭 필요한 신발과 같은 필수요건이 아닐 수 없다. 이미 성인이되어 영어를 쓰기시작한 세대라면 누구나‘내 발음이 틀리면 어쩌지?

혹시 상대방이 못알아 듣으면 어쩌나’하고 벌써 입도 떼기 전에 불안한 마음부터 갖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사실 이것은 절대적으로 불필요한 부분이라고 자신있게 필자는 말 할 수 있다. 언어의 어려움을 느낄수록 더욱 천천히 자신감을 갖고 또박또박 이야기를 진행하는 것이 듣는 미국인들의 입장에서도 말하는 사람을 더욱 귀담아 듣게하는 긍정적인 태도를 이끌어낸다. 뿐만 아니라 내가 잘 못알아들었을 경우나,혹은 상대방이 잘 못알아들었을 경우, 부끄러워하지 말고 반드시 되묻는 습관을 갖자.대다수의 부모들은 학교의 학부모 회의에 참가하거나 학부모 교사 회의에 참가했을 때, 아이의 성적이나 생활 또는 직학에 관련된 중요한 상담들을 하게 마련이다.

이러한 경우, 부모들이 잘 이해하지 못하는 전문용어나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는 표현들을 많이 듣게 되는데 이때, 많은 부모들은 되묻는 것에 대한 창피함이나 ‘혹시 내가 쓰는 영어가 틀리면 어쩌나’하고 지레 겁을 먹고 넘어가는 경우가 다반사이다. 사실 영어를 모국어로 사용하는 미국인 부모들도 사실은 잘 모르는 용어나 표현들이 많기 때문에 그들은 항상 서슴치 않고 되물어오곤 하는 것이 다반사이다. 그러므로 우리 한국의 부모들은 물론, 준비해가서 하는 질문들도 중요하지만 이해가 잘 안 되는 부분을 꼭 되짚어보고, 되물어보도록하자.

전세계의 다양한 민족이 어우러져 살 뿐만 아니라 미국 내에서도 지역에 따라 다양한 억양과 표현방법 또한 각양각색으로 다양한 ‘영어’라는 생동하는 거대한 언어의 체계 속에서 미국인들도 사실은 매년 새로운 단어들이 영어사전에 등재되고 있고 영문법체계 또한 계속적으로 변화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서 자신들도 뒤지지 않기 위해서 매년 영어사전을 새로 업그레이드하고 새로운 이디엄(idioms)나 표현들을 영어공부하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므로 영어로 대화할 때,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로서의 영어실력 때문에 불안해 할 필요가 전혀없음을 인지하는 것이 사용하는 사람의 정신건강이나 영어실력 향상에도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없다. 물론, 꾸준한 노력과 주눅들지 않고 틀려도 배워서 고쳐내겠다는 자신감, 그리고 꾸준한 언어의 사용이야말로 ‘영어’라는 살아있는 맘모스를 길들여 내 것으로 부릴 수 있는 든든한 고삐가 될 것이다. 그렇지만 무엇보다도 부모들이여! 용감해지자!!

▷문의: [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