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k(I don't know)' 'lyk(like)' 뭔지 아시나요?
청소년 온라인 은어 해독 사이트 인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 라이언 존스는 2004년 근무 도중 우연히 ‘idk, lyk’ 등 수수께끼같은 용어들이 들어있는 메시지를 받았다. 그는 이 메시지가 사장의 자녀들이 재미로 아버지의 계정을 이용해 직원들에게 보낸 것이라는 사실을 알게 됐다. 직원들은 축약된 은어들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
존스도 ‘idk’가 ‘I don’t know’, ‘lyk’가 ‘like’를 의미한다는 것을 나중에야 알게 됐다.
존스는 2005년 noslang.com이라는 웹사이트를 개설했으며 이는 자녀가 친구들과 마약이나 섹스에 대해 어떠한 대화를 나누고 있는지 부모들이 파악하는데 도움이 되고 있다.
‘약물없는 미국을 위한 동반자’라는 단체가 최근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부모의 3분의1은 청소년들이 컴퓨터와 휴대전화를 이용해 메시지를 주고받는 행위가 섹스, 마약, 알코올, 기타 위험한 행동들에 관해 자녀들과 대화를 나누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고 우려했다.
‘전국 중독ㆍ약물남용 센터’는 570만명의 공립학교 학생들이 폭력조직, 마약에 ‘감염된’ 학교를 다니고 있다고 주장했다.
존스의 웹사이트에는 마약과 섹스와 관련된 수천개의 은어가 올라있다. a로 시작하는 단어에만 88개의 마약 관련 은어가 등장한다. 예컨대 ‘A-boot’는 마약에 중독된 사람을 의미한다.
존스는 “당신이 부모이건, 교사이건, 법 집행자이건, 아니면 단순히 친구이건간에 마약과 관련된 최근 은어들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했다.
아이다호주 법무장관 로런스 와즈든은 자녀가 친구들과 온라인에서 어떤 말들을 주고받는지 부모는 알 필요가 있다고 말하고 자신의 사무실은 청소년들의 온라인 커뮤니케이션을 이해하기 위해 100회가 넘는 설명회를 열었다고 소개했다.
아이다호주에서는 청소년들의 언어를 번역하는 웹사이트로 noslang.com 외에 teenchatdecoder.com, netsmartz411.org, 1337Talk.com 등이 개설돼있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