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 ABC] Halloween
김세진 교사/웨스트민스터스쿨
아마도 미국에 사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떠올리는 것이 바로 매년 10월의 마지막 날이면 돌아오는 할로윈(Halloween)일 것이다. 이날은 매년 만성절(모든 성인의 날 대축일) 전날인 10월 31일에 행해지는 전통 행사로서 미국에는 아일랜드에서 온 이민자들이 들여 온 풍습에서 시작해 지금은 아마도 아이들에게 크리스마스 다음으로 환영받는 미국의 큰 축제 중의 하나로 자리매김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 유래는 원래 기독교가 유럽을 지배하기 이전 아일랜드, 영국, 북부 프랑스 등에 퍼져 살던 켈트족의 풍습에서 시작했다. 켈트족들은 새해가 11월1일에 시작한다고 믿었기 때문에 1년의 마지막 날이 10월 31일이라고 여겼는데 이날 밤에는 죽은자의 영혼이 가족을 방문하거나, 정령이나 마녀가 나온다고 믿었다. 그래서 이것들로부터 자신과 가족들을 지키기 위해 귀신이 못알아보도록 가면을 만들어 쓰거나 큰 모닥불을 피웠다고 한다.
그러나 지금은 이러한 것이 미국에서 급격히 상업화되어서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각종 캐릭터로부터 유령이나 괴물 등등 다양한 복장을 하고, 특히 아이들은 “Trick or treat!”를 외치며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사탕이나 쵸콜렛 등을 얻는 등 이 축제를 즐긴다. 그러나 아이들의 안전 사고가 일년중 가장 많이 발생하는 때가 바로 이 시기이기도 하다. 할로윈에 부모들이 아이들에게 반드시 가르쳐야할 안전수칙을 들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혼자서 하는 ‘Trick or treat’는 나이를 막론하고 절대 금물! 나이가 어린 아이들의 경우 반드시 부모나 어른이 동반해 다니도록하고 혼자 다닐 수 있을 정도의 나이가 되었다면 반드시 친구들과 무리를 지어서 다니도록 하자. 그리고 아이가 어디로 다니는지 부모가 반드시 알고 있도록 하자.
둘째, 복장은 편하고 간단하게! 아이들이 걸려서 넘어질 정도로 긴 복장이나 소매길이가 치렁치렁하게 길거나 가면 등으로 얼굴을 가려서 시야가 제한되는 복장은 되도록이면 지양하고 10대의 아이들의 경우에는 지나친 노출은 절대 삼가도록 한다.
셋째, 항상 밝고 익숙한 곳, 그리고 사람들이 많이 있는 곳에 있도록 하자. 아이들에게 불이 켜져있는 집에 방문하도록 하고 되도록이면 가까운 이웃집이나 친구들의 집에 방문하도록 하자. 사람들이 항상 많이 있고 밝은 곳, 그리고 항상 다니는 익숙한 길로 친구들과 무리지어 다니도록 지도한다.
넷째, 절대 타인에 집에 들어가지 않도록하자. 아이들이 모르는 사람의 집에 들어가서 캔디나 쵸콜렛을 받는 일은 절대 없도록 하고 대문 밖이나 밖에서 잘 보이는 앞마당에서 사탕을 받고 최대한 빨리 나오도록하자.
다섯째, 아이들이 캔디를 먹기 전에 반드시 부모가 캔디를 살펴보도록 하자. 혹시 포장이 벗겨졌거나 껍질에 손상이 있는 것은 반드시 버려야하고, 유통기한이 지난 것이 있는지 살펴보아야 한다. 그리고 혹시 아이가 땅콩이나 유제품과 같이 특정한 음식에 알러지가 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캔디의 재료를 살펴보는 것도 바람직하다.
이처럼 해마다 다가오는 할로윈을 다음과 같은 안전수칙들을 아이들에게 가르쳐주어 보다 안전하고 재미있게 보내도록하자. “Trick or treat!” ▷문의: [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