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다음주부터 전체 62에이커 부지 가운데 1단계 개발예정지에서 일부 토지 소유주들을 상대로 강제수용 절차를 밟을 예정이다. 시의 강제수용권은 2008년 시의회가 이미 승인한 바 있다.
수용절차가 시작되면 한 달간 여론수렴 기간을 거친 후 4월부터는 개발업자들의 제안서를 접수할 계획이다.
시티필드에 인접한 윌레츠포인트 개발 부지는 총 800만 스퀘어피트에 달하며 현재 폐차장과 정비소들이 밀집해 있다. 개발이 끝나면 5500가구의 아파트와 호텔 한 곳, 170만 스퀘어피트의 소매상권이 형성될 예정이다. 이 가운데 1단계 부지는 130만 스퀘어피트며, 수백 가구의 아파트와 소매상권이 들어설 예정이다.
세스 핀스키 뉴욕시 경제개발공사 사장에 따르면 1단계 개발예정 부지 가운데 88%가 이미 구매 합의를 마친 상태이며, 9명의 토지 소유주만이 버티고 있다고 한다.
개발에 반대하는 토지 소유주들은 법정소송까지 불사할 태세다. 하지만 현재 진행중인 브루클린 아틀랜틱야드 농구장 신축공사의 사례를 볼 때 뉴욕시가 이길 것이 확실시된다.
하지만 법정에서 승리한다고 해도 뉴욕시가 넘어야 할 산은 많다. 우선 연방정부에 계류중인 밴윅익스프레스웨이 램프 건설을 승인받아야 한다. 또 오랫동안 이 지역에서 발생한 산업쓰레기들을 치우는 작업도 만만치 않다. 더 큰 문제는 홍수 때 범람 방지를 위해 개발부지를 7피트 가량 높여야 한다는 점이다.
게다가 블룸버그 시장이 개발승인을 받기 위해 커뮤니티에 보상하기로 한 약속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블룸버그 시장은 건축 예정인 주택의 35%를 저소득층과 중산층에 할애하겠다는 조건을 달았다. 이는 개발업자들의 참여 동기를 약화시킬 수 있다.
여러 가지 악조건에도 불구하고 뉴욕시 당국은 개발의지를 확고히 하며 성공을 자신하고 있다. 최근 각종 예산 삭감의 와중에도 이 계획에 할당된 4억 달러 예산은 유지시켰다. 핀스키 사장은 “공사비가 많이 낮아진 가운데 경기가 살아나고 있어 개발업자들의 뜨거운 반응이 예상된다”고 확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