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한인식품협회 조합설립 과정에서 회원들이 투자한 7만 5천여 달러가운데 2만 8천 여달러는 왜 증발된 것일까. 90년 초부터 추진해온 협동조합 설립 계획이 백지화되면서 투자금 반환 문제가 한인 식품업계의 최대 잇슈가 되고있다.회원들의 투자액 일부가 증발했는데 책임질 사람은 없기때문이다. 이와관련 그동안 이 사업 추진 과정을 지켜본 일부 한인들은 ‘투자금 관리 부실문제’는 조합설립 추진 초기 부터 예견된 던 일 이라고 지적하고있다.
협회 내부에서 조합 설립의 필요성이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89. 현익동 4대 회장 재임시 도매상의 횡포에 대응하고 공동구매와 분배를 통해 이윤을 회원들에게 분배하자는 취지로 논의된 것이 시초다. 본격적인 설립 추진은 91년 주명룡 5대 회장이 취임하면서 부터. 당시 주 회장은 조합 설립을 임기 중 최대 역점 사업으로 정하고 각계를 상대로 투자 유치 작업을 벌였다. 그리고 본국 농수산물 유통공사로부터 지원 약속을 받아냈다.
유통공사는 식품협회와의 합의에 따라 92년 말 뉴욕지사인 뉴욕한국유통분배센터를 설립했다. 93년 초에는 ‘온누리’라는 자체 상표까지 만들었다. 그 해 말에는 유통공사는 조합 건물 구입 자금을 뉴욕으로 보냈다. 식품협회도 주식 청약 작업에 박차를 가했다.투자금이 50여만달러를 넘어섰다.
그러나 조합 설립에 구심점 역할을 해온 주 회장이 94년 2월 뉴욕한인회장 선거 출마를 선언하며 사퇴하면서 후임 집행부와 추진위원회 사이에 갈등이 빚어졌다. 결국 주주들의 투자금 인출 사태가 빚어졌다. 유통공사의 건물 구입이 지연된 것도 투자자들의 불신을 불러 일으키는데 한 몫을 했다. 유통공사는 95년 3월 롱아일랜드시티에 3백40만달러짜리 건물을 매입했지만 이미 마음이 돌아선 회원들은 투자를 꺼렸다. 업친데 덮친격으로 97년 말 경제위기가 발생하자 새 정부는 해외 자산 매각 대상에 이 건물 포함시켰다.
마침내 지난해 5월 매각 절차가 완료됐다. 이건물에 입주했던 협회도 건물을 나와야 했다. 10년 동안 진행돼 온 조합 설립 작업이 사실상 무산되는 순간이었다. 그로부터 1년4개월 뒤 협회가 주식 판매 대금 잔액을 반환키로 결정함으로써 조합 설립 작업은 물거품이 됐다.
현 집행부가 떠 안은 무거운 짐은 투자금 반환문제. 집행부는 철저히 진상을 조사해 책임을 따진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그동안 조합 설립에 관여해온 집행부가 4차례나 바뀌었기 때문에 진상규명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