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가을을 타는 한인들에게는 도라지와 마늘이 최고

가을은 낭만적인 계절이지만 몸은 그리 낭만적이지 못하다. 질병이 가장 잦은 계절이 바로 가을이다. 무더운 여름을 지낸 한인들 대다수는 어느 정도는 가을을 타게 마련이다. 여름까지도 건강했던 사람이 가을이 되면 감기에 걸리기 일쑤고 몸이 움츠려 든다. 왜 그럴까? 바로 기후의 변화 때문이다. 이즈음이 되면 기온이 갑자기 떨어지고 일교차가 많게는 30-35도를 웃돈다. 게다가 무척 건조한 날씨가 계속된다. 몸은 미처 준비가 안 되어있는데 기후가 갑자기 바뀌니 과일 열리듯 질병이 주렁주렁 열리는 것이다. 또한 가을이 되면 기력이 좋아질 것 같은데 그렇지가 않다. 왜 그럴까? 갑자기 기온이 떨어지면 우리 몸은 체온을 유지하기 위해 열을 발생시킨다. 그 과정에서 에너지를 많이 소모하게 된다. 그래서 가을이 되면 몸이 힘든 것이다. 가을에 내 몸을 잘 갈무리하면 겨울을 거뜬히 날 수 있다. 가을 건강 지키는 법을 알아본다.

찬 것을 피하라
우선 차가운 바람에 노출되거나 찬 음식 먹는 것을 멀리 해야 한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가을에 몸을 차게 하거나 찬 음식을 먹는 것 모두 폐를 상하게 한다고 한다. 우선 아침저녁으로 공기가 서늘하므로 잠잘 때는 약간 두툼한 이불을 덮는다. 차가운 물로 목욕하는 것은 삼가야 한다. 너무 뜨거운 물로 샤워하는 것도 체온의 급격한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니 되도록 미지근한 물로 샤워하는 것이 좋다. 또한 몸이 한여름을 견디는 동안 면역력이 떨어져 있기 때문에 과격한 운동을 좋지 않다. 적당히 땀을 흘릴 수 있는 운동을 하되 운동 후 찬 공기에 노출되지 않도록 바로 점퍼 등을 입는다.

가을보약으로는 마늘과 도라지가 으뜸이다. 특히 기온차가 큰 요즘에는 한방에서도 기혈을 돋구어주면서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몸을 보양하는 처방을 많이 한다. 특히 진액의 보충에 신경을 써야 한다. 한방에서 진액은 사람 몸 안의 체액을 말하는 것으로, 진액이 부족하면 몸이 축 처지게 마련이다. 흔히 “진이 빠진다”는 표현을 하는데, 이때 진은 바로 진액을 가리킨다. 이처럼 가을보약은 환절기의 기후변화에 대처하면서 기혈을 돋구어주고 또 겨울을 나기 위한 몸을 만드는데 기여해야 하는데, 가장 추천할 만한 보약은 바로 마늘과 도라지.

기관지에 좋은 도라지, 흡연자에게도 그만
도라지는 감기를 예방하고 기침을 낫게 하며 가래를 진정시켜주는 효과가 뛰어나다. 한약명이 ‘길경(桔梗)’인 도라지는 예로부터 한방에서 진해(鎭咳) 및 거담(去痰)제로 사용해 왔다. 즉 기침을 그치게 하고 가래를 없애주는 약으로 통용되어 온 것이다. 도라지 속에는 특유의 쌉싸름한 맛을 내는 성분이 있는데, 이것이 곧 트리테르페노이드 (triterpenoid)계열의 사포닌 성분이다. 이 성분을 인삼사포닌과 구분하기 위해 ‘도라지사포닌’이라고도 부른다. 이 사포닌 성분이 기관지 기능을 강화시켜주는 것이다. 기관지의 점막에서 점액이 나오는데, 도라지사포닌은 이 점액의 분비량을 증가시켜준다. 이로 인해 기침이 진정되고 가래가 삭여지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기관지염을 유발하는 세균에 대해 실험한 결과 도라지를 먹으면 안 먹었을 때보다 약 70% 이상의 항균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도라지가 각종 기관지 질병 예방과 면역력 증진에 인삼보다 뛰어난 효능을 발휘한다고 알려져 5년산 도라지는 출하되자마자 동이 난다.

약도라지는 흡연자에게도 권할 만하다. 담배를 많이 피우면 당연히 가래가 끓기 마련인데, 약도라지 진액을 마시면 가래가 삭여져 한결 목이 부드러워지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약도라지는 폐의 열기를 내려주기 때문에 담배 피우는 사람에게 특별히 좋다고 한다. 담배 피우는 사람에게 나타나는 흉통도 확실히 진정되는 효과가 있다. 5년산 약용도라지는 건강식품으로도 개발되어 불티나게 판매되고 있다. 천호식품은 일체 첨가물 없이 5년산 약도라지에서 원액을 추출, 이를 다시 진하게 농축하여 건강식품으로 만들었다. 1팩당 5년산 약도라지 2뿌리에서 추출한 농축액이 함유되었다고 한다.

피로회복에 즉효, ‘마시는 마늘’ 건강식품 인기
마늘은 최상의 명약에 속한다. 성질이 따뜻하여 몸을 따뜻하게 하는데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인체의 기혈을 순환시키는데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마늘은 타임즈가 선정한 10대 항암식품 중 최고로써 암을 예방하는 데도 효과적이지만 기력을 돋우는 데는 마늘을 따라갈 만한 것이 없다는 것이 정평이다. 가을에 마늘을 꾸준히 먹으면 면역력을 증강시켜 감기를 예방하고 기력을 증강시켜 몸이 처지지 않게 도와준다. 가을에 마늘을 많이 먹으면 한결 가볍게 겨울을 날 수 있다.

최근 마늘의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마늘건강식품이 폭발적으로 늘고 있다. 마늘건강식품의 최대강점은 ‘피로회복’이다. 마늘 속에는 비타민B1이라는 피로회복 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었는데, 일반식품 속의 비타민B1과 달리 '마늘비타민B1'은 체내에서 피로회복 역할을 다 한 뒤에도 몸 밖으로 빠져나가지 않고 저장되었다가 필요할 때 다시 사용된다. 그래서 마늘의 기력증강, 피로회복 등의 효과가 빨리 나타난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밭에서 기르는 산삼, 기력증강에는 마늘이 최고"
마늘은 싼값에 쉽게 구할 수 있지만 그 효능은 산삼 못지 않다. 우선 기력증강, 스테미너 보강에는 일상에서 섭취하는 식품 중 마늘이 최고다. 피로회복과 기력증진, 정력증강을 담당하는 영양소는 다름아닌 비타민B1. 비타민B1이 부족하면 쉽게 피로하고 피부가 거칠어지며 시력이 저하되기도 한다. 따라서 비타민B1이 풍부한 식품을 많이 섭취해주어야 하는데, 문제는 비타민B1은 우리 몸안에 10mg 이상 흡수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 문제를 마늘이 해결해준다.

마늘을 먹으면 마늘 속의 주성분인 알리신이 몸안에서 비타민B1(티아민)과 결합하여 알리티아민으로 바뀐다. 이것을 흔히 ‘마늘비타민B1’이라고 한다. 이 마늘비타민B1은 보통 비타민B1보다 20배나 더 많이 흡수될 뿐만 아니라 오랫동안 혈액 속에 남아 있다. 마늘비타민B1이 좋은 이유는 또 있다. 보통 비타민B1은 몸에서 필요한 만큼만 사용되고 나머지는 모두 소변으로 빠져나가지만 마늘비타민B1은 몸안에 저축되어 필요한 때에 다시 사용된다. 따라서 마늘을 많이 먹어주면 그만큼 피로회복 속도가 빨라진다.

노화방지, 콜레스테롤 제거, 심장병 위장병 등 성인병 예방에도 효과적
마늘은 장수식품이다. 쥐를 이용한 실험에서 마늘 속의 유용한 성분들은 수명을 연장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 밝혀지기도 했다. 원광대 사회과학대 연구팀의 조사에 따르면 한국의 경남 남해, 전남 고흥, 경북 의성, 경남 의령 등 국내의 장수촌들은 모두 마늘주산지이다. 마늘 주산지들의 장수노인 비율은 대도시보다 5배나 더 높다.

그 밖에도 마늘은 혈전을 방지하고, 혈관을 확장시켜 혈액 순환이 잘 되게 하고, 혈압을 낮춰주며, 콜레스테롤을 분해해서 동맥경화나 심장병을 예방한다. 위액의 분비를 촉진시켜 소화가 잘 되게 돕고, 위장병의 주범인 ‘헬리코박터 파이로리’균을 죽이기도 한다.
마늘의 효능은 한방고서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명나라 이시진이 편찬한 <본초강목 本草綱目> 에 따르면 마늘은 장을 튼튼하게 하고 몸을 따뜻하게 하며 혈압을 낮춰주고 정신을 안정시킨다고 한다. 마늘은 이처럼 효능이 뛰어나지만 특유의 아린 맛과 냄새 때문에 섭취가 불편한 것이 사실. 생마늘을 과다 섭취하면 간장과 눈이 상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굽거나 달이는 등의 가공을 통해 독한 성질을 완화시킨 뒤 많이 섭취하는 것이 좋다.

문의: 213-487-4986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