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마스를 앞두고 개신교계가 말 못할 고민에 빠졌다. 올해 성탄절은 일요일이다.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을 겸한 주일예배는 교회 입장에서 '최고의 크리스마스'로 보일 수 있지만 반드시 그렇지 만도 않다. 주류 기독교언론인 크리스천 포스트는 "올해 크리스마스 주일 예배에 상당수의 빈자리가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 이유는 교회와 교인들간 서로 다른 관점의 차이에서 찾을 수 있다.
최근 기독교 여론조사기관인 '라이프웨이 리서치'가 개신교 목사 10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91%가 크리스마스 주일예배를 연다고 답했다. 이중 69%는 전날인
토요일 성탄 이브 예배도 개최할 예정이다.
그러나 같은 기관에서 일반인들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는 70%에 가까운 응답자들이 "크리스마스 최고 우선순위는 가족들과 함께 시간을 보내는 것이며 교회와는 아무런 상관이 없다"고 답했다.
이같은 상반된 시각 차이에 대해 라이프웨이 리서치의 에드 스테쳐(Ed Stetzer) 대표는 ‘가치 갈등(conflicting values)’의 측면에서 이해해야 한다고 분석했다. 가족과의 시간을 중요시하는 전통적인 관점과 메시야의 탄생일이라는 종교적 관점의 충돌이라는 것이다.
그는 "최근 '크리스마스 선데이'는 토론과 논쟁의 쟁점이 되고 있다"면서 "대다수의 목회자들이 크리스마스 주일예배를 당연시한다고 해서 회중들도 같은 생각을 갖고 있다는 뜻은 아니다"고 말했다.
올해 가족과 단란한 크리스마스를 보내길 원하는 교인들의 희망과 교회의 최대 의무인 주일성수의 중간에서 타협안을 내놓는 교회들도 있다.
교인수 2만명의 남가주 최대 메가처치인 '새들백처치'는 주일 3차례 대예배를 올해 1회로 줄였다. 대신 크리스마스 이브 예배를 2회에서 6회로 늘렸다.
이는 초교파교단의 경우 크리스마스 이브를 더 좋은 전도의 수단으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라이프웨이는 분석했다.
스테쳐 대표는 이같은 현상은 성탄의 본래 의미가 퇴색되고 있음을 시사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많은 크리스천들이 세속적인 크리스마스에 현혹되고 있다"면서 "정작 성탄시즌이 존재하는 이유가 예수님의 탄생 때문임을 잊은듯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