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기 가득한 욕실 속 약, 변질 위험 ↑
대부분 가정에서 약장(Medicine Cabinet)은 화장실 세면대 위 혹은 옆에 붙박이로 설치돼 있다. 약장에 있는 약 중에서 유효기간이 지난 것을 그대로 갖고 있는 가정이 54%라는 통계가 나와 있다. 의료 전문가들은 적어도 1년에 두 차례는 약장을 정리하여 정말 보관해야 할 것을 추려 두는 것이 가족건강 지킴이의 하나라고 조언한다. 약장에 일반적으로 넣어 두고 있는 물품 중에서 정리대상 품목은 어떤 것일까.# 약
아이러니하게도 약장에 넣어 두면 안 되는 것 중에 하나가 바로 약이다. 병에 담겼거나 은박지 포장에 싸여 있거나 일단 약은 약장에 두지 않는다. 이유는? 화장실은 항상 습기가 있는데다가 샤워를 하고 나면 열까지 더해지는데 열과 습기는 약의 효과를 유효기간보다 더 빨리 떨어지게 재촉하는 2대 요인이기 때문이다. 모든 종류의 약은 햇빛이 안 쏘이는 시원하고 통풍이 좋은 곳에 두어야 약효가 오래 지속한다. 물론 이때 아이들이 손닿지 못한 곳이어야 한다.
# 로션과 크림
화장을 지우는 클린징 크림을 비롯한 얼굴과 손에 바르는 로션 종류는 넣어 두어도 무관하다. 오히려 햇빛이 쏘이는 방의 화장대에 두는 것보다 변질하지 않게 보존할 수 있다. 뚜껑을 단단히 막아주면 된다. 화장실의 열과 습기가 유효기간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아 안심해도 된다. 로션이나 크림의 유효기간은 변색하거나 농도(끈기)가 묽어졌거나 표면에 물이 고인 것으로 분별할 수 있다. 색과 농도가 그대로면 이상이 없음을 뜻한다.
# 피임약
피임약은 대부분 열과 습기에 영향받지 않는 특수 투명플라스틱 포장에 싸여 있기 때문에 화장실의 더운 열과 축축한 수분으로 인해 약효가 변질할 위험성이 거의 없다. 그래서 안전지대라 할 수 있다.
# 칫솔
놀랍게도 세면대 위에 놓는 것보다 약장 속에 넣어 두는 편이 훨씬 위생적이다. 이유는 건조하는데 시간이 더 걸리지만 화장실 안에 있는 여러 세균으로부터 일단 차단 되기 때문이다. 건조를 돕기 위해서 칫솔질을 마친 후 칫솔을 충분히 털어 물기를 제거한 다음에 약장 속에 넣을 것.
# 족집게면봉 화장용 가위
대부분 위의 세 가지를 한 곳에 몰아 약장에 넣는데 따로 따로 떨어져 넣는 것이 중요하다. 족집게는 눈썹 등 우리 피부 깊숙한 곳에 사용된다. 또 가위 역시 자칫 피부에 생채기를 낼 수 있다. 면봉은 귓속으로 깊이 들어가는 물품이다. 서로 맞닿게 놓으면 균이 옮겨 붙어 비위생적이다. 따로 따로 넣되 족집게와 가위는 한번 사용할 때마다 비누로 닦아 깨끗하게 세척한 다음에 보관하는 것이 좋다. 사용할 때 피부 속으로 감염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 향수
향수를 보관하는데 적소가 약장이다. 대부분 향수는 알코올에 향을 내는 기름을 녹여 제조하기 때문에 보존기간이 길고 화장실처럼 열과 습기가 있는 곳에서도 오래 효과가 지속한다. 본래의 향에 조금도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김인순 객원기자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