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키모 치료가 암 더 키워…건강한 세포 손상시키고 암세포 저항 키워줘

키모 치료시 대응물질 함께 주입하면 효과 커

일반적으로 암환자들이 받는 화학요법치료인 ‘키모세라피’ 치료가 오히려 건강한 세포에 손상을 주고 암세포를 자라게 하는 단백질을 생성시키게 해 이후 더 치료를 어렵게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됐다.

 시애틀에 위치한 프레드허친슨암연구센터의 피터 넬슨 박사 등 연구진들은 암세포가 연구실에서는 쉽게 사멸하지만 체내에서는 오랫동안 생존하는 이유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과정에서 이같은 사실을 밝혀냈다고 발표했다.

 넬슨 박사 등은 과학저널지 네이쳐 메디슨에 기고, 발표한 논문에서 전립선 암 환자에서 채취한 피부조직에 각종 키모치료를 한 결과 “건강한 세포의 유전자가 손상된 것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지금까지 키모 치료는 종양내의 세포가 빠르게 분열하면서 재생산 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은 또 키모치료로 손상된 건강한 세포는 암세포를 더 빨리 자라게 하는 WNT16B라고 하는 단백질을 더 많이 분비하는 것을 발견했다고 설명했다.

 넬슨 박사는 “WNT16B를 더 많이 분비하게 하는 것은 전혀 뜻밖의 발견이다”고 말하고 “이 물질이 분비됐을 때 주변의 암세포와 작용, 더욱 잘 자라게 하며, 주변을 잠식하는가 하면 이후 치료약물에 저항하게 한다”고 말했다.

 의료진들은 일반적으로 암치료에서 처음에는 암세포가 약물에 잘 반응하다 이후 점차 재성장한 이후에는 잘 반응하지 않게 된다고 밝히고 있다.

 연구진들은 이와함께 이같은 내용의 연구결과를 전립선암 환자가 아닌 유방암과 난소암 환자에서도 확인했다고 말했다.

 넬슨 박사는 이 때문에 앞으로 암치료 과정에서는 이같은 현상을 참조, 새로운 방법이 모색돼야 할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그는 “예를 들어 WNT16B에 대한 대응물질을 키모치료할 때 함께 주입하면 암세포를 제거하는데 더욱 유리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최철호 선임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