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건강칼럼] 뇌졸중의 골든 타임은 3시간

차민영/차민영 내과 원장

나이가 환갑이 지난 환자는 자기 친구나 친지들이 중풍(中風뇌졸중)으로 고생하고 있는 사람을 여럿 알고 있다. 또는 부모나 형제가 중풍으로 고생하거나 돌아가신 분들도 있을 것이다. 중풍에 결려서 고생하고 있는 많은 사람들과 그 가족들이 중풍이 암이나 심장병보다 훨씬 더 무섭다고 표현한다.

요즘들어 주위 사람 중에도 중풍으로 쓰러지는 환자가 많아졌다. 중풍은 영어로는 브레인 스트로크(Brain Stroke) 또는 브레인 어택(Brain Attack)이라고 부르는데 '뇌에 갑자기 큰 손상이 왔다'는 뜻이다. (정확한 명칭은 cerebrovascular accident이다. 줄여서 CVA라고 부른다.)

왜 뇌에 손상이 오는가? 뇌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에 산소와 영양이 공급되지 않으므로 뇌세포가 죽어서 손상이 오는 것이다. 뇌는 많은 양의 혈액을 필요로 하는 장기다. 뇌세포는 산소 공급을 3시간 이상 받지 못하면 영원히 죽어 버리게 된다. 그러므로 만약 중풍이라고 의심되는 징후가 있을 때는 지체없이 내과나 신경과 의사에게 가야 한다. 가능하면 병원 응급실로 직행하는 것이 좋다.

그러면 중풍이라고 생각할 수 있는 징후는 어떤 것이 있는가? 한쪽 팔다리에 힘과 감각이 없어지는 편측 마비 시야 한쪽이 흐려지거나 둘로 보이는 복시 어지럼증 갑자기 찾아오는 심한 두통 불분명한 발음이 대표적 전조증상이다. 그 외에도 사람이 갑자기 멍해지고 반응이 매우 둔해진다는가 하는 증세도 있을 수 있다. 혹은 갑자기 말을 잘 못한다든가 말을 잘 못알아 듣는 경우도 있다.

하여간 이런 경우에 가장 중요한 것은 지체없이 병원을 찾아가 혈전 용해제를 사용하여 막힌 혈관 부위를 뚫어야 한다. 보통 증세 발생후 3시간 안에 뚫어야 하는데 최근에는 4시간~4시간 30분 후라도 뚫는 시술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 최고 4시간 30분이 지나면 대부분 그 막힌 부위의 뇌세포는 죽어 버려서 회복이 거의 불가능하다.

이 뇌졸중 증세후 3시간(최고 4시간 30분)안의 시간을 골든 타임(Golden Time)이라고 부를 수 있다. 이 시기를 절대로 놓치면 안된다. 그러므로 환자가 상기에 말한 증세가 있을 때 손가락을 딴다든가 침을 맞는가 하면서 시간을 허비해서는 절대로 안된다. 그런 방법으로 뇌혈관의 막힌 부위가 뚫어지지는 않기 때문이다. (침을 맞고 싶으면 중풍의 급한 시기를 의학적으로 잘 치료한후 안정된 시기에 맞을 수는 있다.)

자 이번에는 왜 뇌혈관이 막히는가를 알아보자. 정답부터 말하자면 뇌혈관에 동맥경화가 생겼기 때문이다. 그러면 왜 동맥경화가 생기는가? 그 4대 원인은 고혈압 당뇨병 담배 흡연 고 콜레스테롤 혈증이다. 그 외에도 비만 운동부족 고 중성지방혈증 고령(65세 이상) 가족력 등이 원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고혈압의 치료가 중요한데 아무 증세가 없더라고 꼭 고혈압을 정상치로 만들어 놓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늘 강조하지만 고혈압 자체로는 대부분 아무 증세가 없다. 그래서 환자들이 "나는 아무렇지도 않는데 왜 약을 먹겠는가?"하면서 약 먹기를 극도로 싫어하는 환자가 많다. 이것은 대단히 위험하면서 어리석은 생각이다. 반드시 혈압을 정상치로 만들어서 무서운 중풍의 위험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기를 바란다. (위의 경우는 뇌혈관이 막힌 뇌경색으로 인한 중풍의 치료다. 뇌혈관이 터진 뇌출혈으로 인한 중풍에는 혈전용해제 치료는 절대로 하면 안된다. 오히려 생명이 위험해진다. 뇌경색과 뇌출혈은 CT나 MRI로 구별이 가능하다.)

▶문의:(213)480-7770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