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대학원 이야기] 총장의 영어표현 어떻게 다를까
이기환 박사·USC 교수
UC는 캠퍼스 총장을 Chancellor라고 부르고 CSU는 캠퍼스 총장을 President라고 부르는데 이유가 있을까. 일반적으로 여러 캠퍼스를 가지고 있는 공립 (주립) 대학의 경우 연구중심 대학의 캠퍼스 총장은 Chancellor라고 하고 그 공립 대학교를 총괄하는 총장은 President라고 부르는 경향이 있다.
이에 반해 교육 중심 대학 캠퍼스 총장은 President라고 부르고 그 대학교 시스템의 총괄 총장은 Chancellor라고 부른다. UC와 CSU가 이에 해당된다. 사립 대학이나 한 캠퍼스만 가지고 있는 대학은 이와 관계 없이 President나 Chancellor라고 부른다. President/Chancellor가 대학의 CEO다.
미국 대학은 또한 Provost라는 직책이 있다. Provost는 소수의 대학을 제외하고 Vice President/Vice Chancellor (이하 Vice President) for Academic Affairs을 겸직하고 있다. 총장은 주로 발전 기금 모금 등 바깥 일은 한다면 Provost는 주로 학사를 도맡아 일하기 때문에 CAO(Chief Academic Officer) 라고도 한다. 주요 대학의 직제를 보면 총장 직속과 Provost 직속이 있다. 총장 직속은 주로 Vice President Associate Vice President Assistant Vice President 등의 직함을 가지고 있고 Provost 직속은 Vice Provost/Associate Provost Assistant Provost 등의 직함을 갖고 있다. 대학 규모와 예산에 따라서 부총장이 10명 이상되는 대학도 있고 한 명밖에 없는 대학도 있다.
또한 동일한 직책을 가지고 있어도 직급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어 입학처장이나 학생처장은 Vice President Vice Provost Dean Director Associate Dean 등 다양한 직명을 가지고 있을 수 있다. 일반적으로 교육중심 대학 (Teaching University)보다는 연구중심 대학 (Research University)이 많은 행정(보직) 교수를 두고 있다.
단대 학장 밑에는 부학장 (Associate/Vice Dean)과 학과장 (Department Chair)이 있다. 예외는 있으나 College라고 부르는 단과대학의 학장은 주로 Dean이라고 부르는 한편 School이라고 부르는 단과대학은 Director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또한 간혹 College 내에 학과 (Department) 외 School 혹은 Division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이럴 경우 School이나 Division의 책임 교수는 일반적으로 Director라는 직함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College와 School은 한 대학의 명칭에 대한 선호도에 따라서 불리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