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내면 성찰, 힐링 (Healing) 의 첫걸음

Monica Lee - 중앙일보 칼럼

한국이나 미국 사회에서 요즘 많이 듣는 단어 중 하나는 ‘힐링’이다. 모 방송사의 ‘힐링캠프’가 인기가 있고, 유명 연예인들의 상처와 힐링의 경험을 고백할 때 우리는 한 인간이 겪은 아픔을 공감하며 위로와 카타르시스를 느낀다. ‘힐링’이란 단어는 상처가 전제되어 있다. ‘힐링’이 많이 외쳐지는 사회란 상처가 많은 사회를 말한다. 세상은 점점 편해지고 문명은 놀랍도록 발전하여 손끝 하나로 지구촌 사람들과 교류하며 삶을 나눌수 있지만, 한편에서는 계속 ‘힐링’이 외쳐진다. 예전보다 더 외롭다고, 삶이 공허하다고 절규하며 자신에게 주어진 생명을 스스로 마감하는 사람들이 늘어만 간다. 우리가 편하게 누리고 있는 문명의 이기들, 그리고 사랑하는 아이들에게 주려 애쓰는 많은 것들이 정말 그들의 행복을 위한 것인지 때론 혼란스럽다.

우리에게 공기만큼 익숙해진 전기, 컴퓨터, 스마트폰. 돌아보면 언제부터 이런 물건들이 아무 질문 없이 내 삶의 일부가 되었는지 모르겠다. 일의 효용성이 증가되고 우리의 삶이 편해진 건 사실이지만 그 대가로 우리는 샘물과도 같은 쉼을 빼앗겼고 밤을 도둑맞았다. 전기가 없던 시절이라면 늦은 밤에 컴퓨터 앞에 앉아 일을 하는 수고는 하지 않으리라. 대신 밖에서 하늘의 별을 보며 친구나 가족이 모여 두런두런 이야기를 나누거나, 내일을 위한 깊은 단잠에 빠져있을 것이다. 지구촌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따라잡느라 가족과 함께 식사하기가 일주일에 한두 번도 힘들다. 세상에서 가장 소중한 나의 가슴을 뛰게하는 일이 뭔지도 모르고, 내면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관심을 줘본 적도 없다는 씁쓸한 고백을 내담자들에게 종종 듣는다.

앞차를 열심히 따라갔더니 그 집의 차고라던 이야기가 생각난다. 이제는 바쁘게 앞만 보고 정신없이 가던 길을 잠시 멈춰설 때이다. 하고 있는 일을 다 포기하고 산으로 들어가는 것이 아니라, 하루에 단 10분이라도 침묵 속에서 나의 내면을 돌아보는 일을 시작할 때다. 매일이 힘들다면 적어도 일주일에 한두 번은 자신의 내면에 무슨 일들이 있었는지 들여다보기 위해 1~2시간을 내야할 때이다. 운전하거나 산책하면서 음악이나 뉴스를 끄고 떠오르는 기억과 생각들을 바라보는 것도 한 방법이다. 세상 구석 구석 일어나는 일은 알고 있는데, 가장 소중한 자신의 내면에서 들려오는 소리를 외면하거나 눌러놓고 산다는 것이 얼마나 아이러니칼한 일인가? 내가 누구인지 스스로를 연구하고 공부하기 시작하며 내 마음의 쓴 뿌리와 생채기가 무엇인지, 왜 특정한 이야기에 분노하는지 내 속을 들여다봐야한다. 내면을 돌아보는 성찰의 시간 없이 힐링은 시작될 수 없다.

상담 오는 부부에게 “상담을 통해서 무엇을 기대하고 변화되기를 원하세요?”라고 물으면 많은 부부가 “저 사람이 상담을 통해 좀 변했으면 좋겠어요.”라고 답한다. 그러면 필자는 “우리는 남을 바꿀 능력이 없어요. 다만 내가 바뀔 수 있는 부분이 무엇인지를 들여다보고 그 부분을 바꿀 수 있는 힘만 있지요”라 말한다. “상담을 통해 본인이 바뀔 수 있는 부분은 어떤게 있을까요?”라고 물으면 두가지 반응이 있다. “글쎄요... 내가 잘못한 부분도 분명이 있을테니...”라고 이야기하며 자신을 돌아보는 사람과 “난 잘못한게 없고 저 사람이 진짜 이상해요”라고 말하는 사람이다. 전자의 경우는 상담을 통해 상대의 말과 행동을 본인이 어떻게 인식해 왔으며 그 인식 과정이 달라서 빚어낸 오해와 상처들을 볼 수 있도록 상담사가 도와줄 수 있다. 그러나 후자의 경우는 내담자나 상담자가 해줄 수 있는 일이 거의 없다. 왜냐하면 어느 누구도 남을 바꿀 수 있는 능력이 우리에게는 없기 때문이다. 나를 보기 시작하기 전에는 내면의 힐링은 일어날 수없다. 상처가 치유되어 건강한 마음을 품고 싶은가? 그렇다면 내면을 들여다보는 성찰의 시간을 오늘부터 갖기를 간절히 권하고 싶다.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