랍스터나 게 등 갑각류의 등껍질에 포함된 ‘키틴’ 성분으로도 성능 좋은 배터리 전해질을 만들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자연에서 분해되는 키틴이 배터리에 들어가는 화학물질을 대체할 수 있으면 전기자동차 등 배터리 기반의 녹색 산업이 한층 더 친환경에 다가설 수 있게 된다.
1일(현지시간)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메릴랜드대 재료 혁신센터 연구진은 키틴(chitin)으로 전해질을 만들어 배터리에 적용한 결과 400시간에 해당하는 1000번의 충전 사이클에도 99.7%의 에너지 효율을 유지했다는 논문을 저널 ‘매터(Matter)’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초산 첨가 등의 화학적 처리를 통해 갑각류 껍질 구성물질인 키틴에서 전해질로 쓰일 수 있는 단단한 겔막을 추출했고, 여기에 아연을 결합함으로써 재생 가능한 배터리를 만들어냈다. 실험용 배터리가 성능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도 빠르게 충전되고 방전됐다고 덧붙였다.
키토산 기반 배터리는 인화성이 없고, 토양에서 단 5개월 만에 분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해 후 남는 아연은 재활용이 가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