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닫기

[신호철의 시가 있는 풍경] 한 그루 단풍나무가 되어

Chicago

2022.11.14 15:18 2022.11.14 16:18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글자 크기 조절
기사 공유
신호철

신호철

한 그루 단풍나무가 되어
 
 
나는 언덕을 오르고 있다
새가 물어주는 열매를 입에 물고 언덕을 오르고 있다
가을에 만났으니 가을만 생각하자던 농담이 아파
가장 가까이 너를 볼 수 있는 언덕을 오르고 있다
 
 
나를 반기는 단풍나무 곁에 앉아
붉게 타오르는 단풍나무가 되고 싶었다
움직이지 않아도, 노래하지 않아도
침묵과 부동이 어색하지 않은
나는 한 그루 단풍나무가 되고 싶었다  
앙상한 가지, 차갑게 부는 겨울을 부둥켜 안고
마지막 떨어져 버릴 이파리를 모아 기도하는
너의 마르고 긴 손을 부비고 싶었다
 
 
맑은 수액, 속으로 속으로 핏줄같이 흐르는 소리
소란한 세상이 싫어, 숨과 숨으로만 살아 나는
보이지 않는 땅 속으로 뿌리 내리는
한 그루 단풍나무가 되고 싶었다
 
 
세상이 말하는 힘은 힘이 아니다
뿌리와 뿌리를 이어가는 불거진 핏줄  
겨울을 견디어 봄을 당겨 오는 뜨거운 힘
나는 뜨거운 단풍나무가 되고 싶었다  
네가 건네준 푸르고 붉은 목도리 두르고
샤갈의 푸른 밤을 날아 한없이 네게 가고 있다
숨과 숨으로만 만날 수 있는 한 밤 중
수 천, 수 만리 깊은 잠 깨워 네게 가고 있다
가파른 언덕 길, 생의 한 모퉁이에서
나는 한 그루 단풍나무가 되어  
잠든 당신 창가로 가고 있다
 
 
 
시카고 늦가을은 을씨년스럽다. 몇 일 간 잿빛 하늘이었다. 아마도 전혜린이 살고 있던 독일 뮌헨 루트비히의 날씨가 이러지 않았을까 생각했다. 겨울을 앞둔 늦가을 어김없이 찾아오는 열병. 간간히 안개로 뒤덮인 새벽 언덕은 살아 있는 모든 것을 잠 재우는 묘한 매력이 있다. 언덕을 오르다 보면 멀리 동이 트고 옷 벗은 나무들은 잔 가지를 흔드는데 안개는 가지가지 사이를 매만지며 나무를 사랑한다. 어쩌면 오늘도 그 사랑으로 나무는 제 몸을 견뎌내는지 모르겠다. 고등학교 때 탐닉했던 전혜린의 ‘그리고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의 책장을 넘기며 나는 언덕을 오르고 있다. 여기저기 새소리가 들려온다. 반가운 까치가 물어다 준 빨간 열매를 잎에 물고 나는 맑은 수액이 흐르는 나무 숲으로 가고 있다. 쌀쌀해진 언덕은 갈대 부딪치는 소리로 가득하다. 훨훨 타오르다 남겨진 주황색 나뭇잎들은 언덕의 그늘진 틈새를 메우며 쌓여있다. 저 멀리 나를 반기는 단풍나무 한 구루 붉게 타오르는데, 숨과 숨이 만나는 곳, 뿌리와 뿌리로 이어지는 이곳은 우리들만의 세상이었다.
 
떨어진 단풍 입을 주워 들었다. 아직도 촉촉하게 살아 있었다. 안개는 서서히 거쳐 가고, 제 몸을 드러낸 나무들은 가지와 가지를 부딪치며 서로를 위로하고 있었다. 움직이지 않아도 노래하지 않아도 나는 나무 깊은 뿌리로부터 강한 힘으로 오르는 수액의 흐름을 느낄 수 있다. 죽은 듯 보이지만 결코 죽지 않아, 모든 것을 아래로 아래로 떨구어내 마침내 벌거숭이가 된 나무들. 여전히 봄으로 얽히고 뻗어가는 가지들. 보이는 것으로만 살아왔던 부끄러운 나를 책하며, 보이지 않는 땅속 깊이 뿌리 내리는 나무가 되고 싶다. 부르고 싶은 이름을 목놓아 부르다 붉게 멍든 한 그루 단풍나무가 되고 싶다. 이 언덕 나무 숲은 나의 쿼렌시아. 이곳에 오면 숨과 숨으로 살아가는 나무를 배운다. 나도 숨으로 그들에게 다가 갈 수 있다면, 깊은 호흡으로 나무들을 안을 수 있다면 나무는 깊고 깊은 흐르는 물소리를 내게 들려 주겠지. 독일 뮌헨 전혜린이 살고 있던 그 언덕에도 붉게 단풍이 들었었겠지? 떨어지는 낙엽들을 바라 보며 깊은 숨을 내쉬었겠지? 호흡이 살아있는 동안 그녀의 마음을 빼앗아버린 고통과 사유, 그 날카로운 칼 끝마다 꽃으로 피어 그녀의 몸 구석 구석을 흐르고 있었겠지. 나무 속 세포마다 소리내 흐르는 강물, 결코 고개 숙이지 않는 끈질긴 생명, 너의 깊은 들숨과 날숨. 샤갈의 푸른 밤을 날아 나는 잠든 그대 창가로 날아 가고 있다. (시인, 화가) 

신호철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