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서울메디칼 ‘인수합병’ 손익계산서 두고 의견 분분

Los Angeles

2023.10.02 20:48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서울메디칼 합병 업계 파장
의료 서비스 “종전과 변함 없어”
“규모 키워 전국단위 그룹 성장”
‘지역 경제에 마이너스’ 의견도
헬스케어 회사 어센드 파트너스(Ascend Partners)가 서울메디칼그룹(SMG) 인수에 나섰다는 소식〈본지 10월 2일자 A-1면〉이 알려지면서 한인 의료업계가 술렁이고 있다.

관련기사

2일 서울메디칼그룹은 이번 인수합병을 계기로 규모의 경제를 이뤄 명실상부한 전국단위 메디컬그룹으로 거듭날 것이라고 강조했다.

 
무엇보다 메디케어 HMO에 등록된 시니어 등 한인 환자 등에 대한 의료 서비스는 차질 없이 제공되며 오히려 합병 후 더 많은 혜택이 환자들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밝혔다.
 
서울메디칼그룹의 핸크 리 사장은 “합병이 최종 완료되면 우리 그룹이 보험회사 등과 계약할 때 더 큰 협상력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며 “어센드 파트너스의 재정 능력과 서울메디칼그룹의 진료 노하우가 시너지 효과를 내며 전국의 한인사회가 누릴 수 있는 혜택이 한층 업그레이드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올해 설립 30주년을 맞은 서울메디칼그룹은 차민영 회장 등 이민 1세대 한인 의사들이 주축이 돼 튼튼한 규모와 실력을 구축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전국 7개 주요 지역에 지사를 확장해 흑자 기조도 달성한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메디칼그룹 소속 주치의 및 전문의들도 환자 서비스는 변함이 없을 것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이와 관련, LA한인타운 한 내과전문의는 “서울메디칼그룹은 브랜드 파워가 강력하다”면서 “환자가 겪는 실질적인 변화도 없다. 일부 우려하는 의사들도 있지만, 인수합병 전후 큰 차이는 없다고 본다. 진료수가도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다만 서울메디칼그룹과 경쟁 관계인 다른 메디컬그룹 등은 시점과 효과 등에 대해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센터메디컬그룹의 한 관계자는 “(한인 등) 지역경제 입장에서 이번 인수합병은 마이너스”라며 “서울메디칼그룹은 1년 매출이 4억~5억 달러에 달한다. 지분을 매각한다면 수익의 상당 부분이 LA에서 빠져나가 뉴욕으로 갈 수밖에 없다. 새로운 경영 아래 소속 의료진 진료수가가 줄어들거나 간호사 등 인력 채용 감소 등이 예상된다”고 우려했다.  
 
익명을 원한 한인 의사 A씨는 “(어센드 파트너스가) 서울메디칼그룹의 정부 감독 사안을 해결할지 모르겠다. 정부와 연관된 의료(산업)는 잘못되면 타격이 크다”고 말했다.  
 
다른 메디컬그룹 관계자도 “서울메디칼그룹은 규모가 커서 인수할 회사가 세금보고 등 확인할 것이 한둘이 아닐 것이다. 최종 계약이 완료될지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시니어보험을 판매하는 에이전트 B씨는 “서울메디칼그룹은 환자들이 먼저 찾을 정도로 한인사회 정상에 섰다. 이런 시기에 인수합병이 왜 필요한지는 모르겠다”며 “그동안 에이전트 미팅 때마다 강조했던 ‘큰 회사의 재정지원을 받아 커진다’는 설명이 어떤 효과를 가져올지 지켜볼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어센드 파트너스는 LA지역 대행사를 선정해 한인 메디컬그룹과 인수합병 등 꾸준한 접촉을 시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미메디컬그룹(KAMG, 대표 한승수) 측은 “우리 그룹은 2일 기준 공식 오퍼를 받은 것이 없고, 인수합병 관련 논의도 진행하지 않고 있다”고 밝혀왔다.

김형재 기자 [email protected]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