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尹파면] 中매체들, 탄핵 인용 신속 보도…포털 검색어 1위(종합)

CCTV "윤 전 대통령 수사 속도 전망"…中전문가 "韓정치 새 균형 필요" 지적

[尹파면] 中매체들, 탄핵 인용 신속 보도…포털 검색어 1위(종합)
CCTV "윤 전 대통령 수사 속도 전망"…中전문가 "韓정치 새 균형 필요" 지적

(서울=연합뉴스) 이봉석 권수현 기자 = 중국 관영 매체들이 4일 헌법재판소의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 인용 결정 소식을 신속 보도하는 등 중국인들의 높은 관심을 반영했다.
관영 신화통신은 헌재의 파면 선고와 거의 동시인 이날 오전 11시 22분(이하 한국시간) 속보를 내보냈다. 주요 외신들 가운데 가장 빨랐다.
신화통신은 이어진 종합 기사에는 "윤 전 대통령이 2017년 박근혜 전 대통령에 이어 파면당한 두 번째 현직 대통령이 됐다"고 짚었다.
통신은 윤 전 대통령의 작년 12월 3일 계엄령 선포부터 이날 파면까지 주요 사건들을 정리한 별도 일지를 내보내기도 했다.
중국중앙TV(CCTV)도 정규 방송 도중 파면 속보를 자막으로 전했다.
CCTV는 이날 헌재에 자사 특파원을 보내 파면 소식과 함께 한국의 정치 및 사법 전망, 현장 분위기도 소개했다.
CCTV는 윤 전 대통령이 대통령직에서 파면돼 불소추특권을 잃으면서 계엄령 선포에 따른 헌법 위반뿐 아니라 권력 남용 등 혐의, 나아가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에 대한 수사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60일 안에 대선이 치러진다면서 여야 잠룡들을 소개했다.
중국 최대 포털 바이두에서는 이날 오전 11시45분 기준으로 '윤석열 파면, 대통령직 상실'이 검색어 1위에 올랐다. 2위는 '한국 60일 이내 대선'이었다.
웨이보(微博·중국판 엑스)에서도 같은 시각 '윤석열 파면, 대통령직 상실'이 1위에 오른 것을 비롯해 인기 검색어 상위 10위 가운데 4개가 윤 전 대통령과 관련한 단어였다.
한국에서 대통령 탄핵재판이 2004년 노무현, 2017년 박근혜 대통령에 이어 벌써 세번째라며 전문가를 인용해 한국 정치의 불안정성을 지적한 중국 매체도 있었다.

잔더빈 상하이 한반도연구협회 부회장 겸 상하이 대외경제무역대학 한반도연구센터 소장은 이날 남방일보에 실린 인터뷰에서 "최근 몇 년간 일련의 탄핵 재판과 형사 재판은 한국 민주주의 체제의 고질적 문제, 즉 권력 견제·균형 메커니즘의 취약성과 여론·법 원칙 간 갈등의 불균형을 드러냈다"면서 "앞으로 한국 정치는 새로운 균형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봉석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