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美 보건장관 "자녀 홍역백신 접종여부, 부모가 연구조사 해봐야"

연합뉴스

2025.04.29 23:25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백신 허가 전 안전성 테스트 안 받는다"는 허위주장도 전문가들 "도대체 어떻게 해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지 모르겠다"
美 보건장관 "자녀 홍역백신 접종여부, 부모가 연구조사 해봐야"
"백신 허가 전 안전성 테스트 안 받는다"는 허위주장도
전문가들 "도대체 어떻게 해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지 모르겠다"

(서울=연합뉴스) 임화섭 기자 = '백신 회의론자'로 알려진 로버트 케네디 주니어 미국 보건부 장관이 그릇된 주장을 근거로 백신의 안전성에 의문을 제기하면서 자녀에게 백신을 맞힐지 여부를 부모의 '연구조사'에 맡겨야 한다고 발언해 또 논란이 일고 있다.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케네디 장관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취임 100일을 앞두고 28일(현지시간) 방영된 토크쇼 '닥터필 프라임타임' 인터뷰에서 이렇게 말했다.
그가 이날 백신에 대해 발언한 내용은 논란을 일으켰던 과거 발언들과 똑같았다고 NYT는 지적했다.
케네디 장관은 "만약 홍역 전파자가 되는 일을 피하려면 백신을 맞는 방법이 최선"이라면서도, 백신의 안전성에 의문이 있다는 취지의 주장을 거듭했다.
케네디 장관은 '백신의 안전성에 관해 새로 부모가 된 이들에게 뭐라고 조언하겠느냐'는 취지의 질문을 한 여성으로부터 받고 "우리는 민주주의 국가에 살고 있으며, 스스로 (백신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조사를 해보는 것도 부모 역할을 하기 위해 져야 하는 책임 중 일부"라고 말했다.
그는 또 "백신이 홍역을 막는 것은 맞지만 발작을 유발하거나 신경계 질환이나 자가면역질환을 일으키기도 하지 않느냐고요? 모릅니다. 그 질문에는 아무도 답할 수 없습니다"라고 말했다.
NYT는 이에 대해 백신을 맞은 사람이 감염을 겪는 경우보다 자가면역질환이 일어날 확률이 오히려 낮다는 점이 연구를 통해 밝혀졌다고 지적하면서 "(백신은) 감염병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 능력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가면역 발현 등 부작용으로부터 환자를 보호하는 능력도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결론이라고 설명했다.

케네디 장관은 또 "신약 승인권은 식품의약품청(FDA)이나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아니라 외부 위원회에 있다"라고도 인터뷰에서 말했다.
NYT는 이것 역시 틀린 얘기라고 지적했다.
신약을 승인하거나 불승인할 권한은 오롯이 FDA에 있으며, 외부 위원회는 필요할 경우 자문 역할만 한다.
논란이 있거나 중요한 신약의 승인이나 불승인에 대해 외부 전문가들이 FDA에 의견을 밝히며 조언하는 경우가 있지만, 투명성 확보를 위해 업계와 연관된 일부 위원들은 회의 전에 이해관계 등을 미리 공개하도록 의무화돼 있다.
또 CDC는 신약 승인 절차에서 아무런 역할을 맡지 않는다.
케네디 장관은 또 백신이 사용 승인을 받기 전에 안전성 검증을 받지 않으며 사용 승인을 받은 후에도 검증받지 않는다며 허위 주장을 거듭했다.
그는 "(백신 승인 절차) 처음에도 안전성 연구가 없고, 그 후에도 감시 시스템이 없다"며 "백신은 승인 전 안전성 테스트가 면제되는 유일한 의약품"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NYT는 FDA가 백신을 승인하기 전에 몇 년간에 걸친 연구실 실험, 동물실험, 인간실험, 대규모 임상실험에 이르는 과정을 통해 안전성을 점검한다고 설명했다.
또 승인을 받아 시판된 백신은 온갖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부작용 유무를 포함한 사후 안전성이 검증된다.
이와 별도로 백신 부작용 보고 시스템도 1990년에 개발돼 가동되고 있다.
FDA는 추가로 '바이오의약품 유효성 및 안전성 이니셔티브'라는 안전성 모니터링 프로그램도 운영한다.
NYT는 케네디 장관의 주장이 전문가들이 수십년간 밝혀 온 내용과 어긋난다고 설명하면서, "도대체 어떻게 해서 그런 얘기가 나오는 건지 모르겠다"는 숀 오리어리 미국소아과학술원 감염병위원장, 피터 막스 전 FDA 백신부장 등 전문가들의 반응을 전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임화섭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