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라마로 나온 '에테르나우타'…아르헨서 작가 가족 비극 재조명
오스터헬드, 군사독재 때 딸 4명과 함께 잇따라 실종…피살 추정
오스터헬드, 군사독재 때 딸 4명과 함께 잇따라 실종…피살 추정
(부에노스아이레스=연합뉴스) 김선정 통신원 = 중남미 공상과학 소설 중 위대한 작품 중 하나로 평가받는 '영원한 항해자 에테르나우타'(이하 에테르나우타)의 작가 엑토르 헤르만 오스터헬드의 가족을 둘러싼 비극이 재조명되고 있다고 아르헨티나 매체 암비토가 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스페인어로 쓰인 최초의 그래픽 노블(만화)이기도 한 '에테르나우타'가 지난달 30일 넷플릭스 시리즈 드라마로 재탄생해 전 세계에 개봉되면서다.
'에테르나우타'는 아르헨티나 출신 작가인 오스터헬드가 글을 쓰고 프란시스코 솔라노 로페스가 그림을 그린 그래픽 노블로 지난 1957∼1959년 사이에 주 단위로 연재된 작품이다.
넷플릭스는 이번에 이 작품을 총 6개 에피소드로 된 공상과학 재난 시리즈 드라마로 각색해 내놓았다.
이 드라마는 여름에 중남미에 갑자기 눈이 내리면서 이유를 알 수 독성으로 수백만 명이 사망하며, 이후에 나타나는 정체를 알 수 없는 세력이 조정하는 정체불명의 위협에 맞서 일반인들이 힘을 모아 싸운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이 드라마는 아르헨티나 국민 배우로 유명한 리카르도 다린이 주연을 맡아 개봉 전부터 많은 화제를 불러일으켰으며, 개봉과 동시에 원작자 오스터헬드의 가족사가 다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오스터헬드는 1919년 아르헨티나에서 전형적인 유럽계 중산층 이민자 가정에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독일계, 어머니는 스페인계였다.
대학에서 지질학을 공부한 그는 전공보다는 글을 쓰고 만화를 그리는 것을 더 좋아해 프론테라(Frontera)라는 만화 출판사를 설립했고, 1957년부터 '에테르나우타'를 연재하기 시작했다.
당시 아르헨티나에는 공상과학 장르물은 거의 전무했으며, 모두 미국이나 유럽에서 들어오는 작품들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아르헨티나를 배경으로 하고 일반인들이 주인공인 '에테르나우타'는 작가인 오스터헬드 가족의 일상생활이 작품에 스며들어 있어 독특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오스터헬드는 정치에 관심이 많았으며, 아르헨티나 출신 혁명가 체 게바라와 후안 페론 전 대통령의 부인이자 33세에 사망한 영부인 에바 페론에 대한 만화 스토리를 쓰기도 했다.
그의 4명의 딸도 정치에 관심을 보였으며, 이들은 1970년대에 모두 청년페론당에 가입했다.
오스터헬드 가족의 비극은 1976년 3월 아르헨티나에서 군사 독재 정권이 재집권하면서 시작됐다.
1976년 6월 당시 20세였던 셋째딸인 베아트리스가, 두 달 후에는 임신 중인 둘째 딸 디아나가 군부에 납치됐으며, 디아나의 남편은 납치된 뒤 살해됐다.
1977년 4월 27일엔 오스터헬드가 납치됐고 이후 군사정부가 운영하던 비밀수용소에서 고문으로 인해 건강 상태가 나쁜 그를 봤다는 증언이 나왔으나, 그의 유해는 발견되지 않았다.
또 그해 7월 1일 큰딸 에스텔라가 총격전 후에 납치됐으며, 당시 총상을 입어 병원으로 이송됐다고 알려졌으나 지금까지 생사를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그해 11월에는 임신 8개월이었던 막내딸 마리나가 남편과 같이 납치됐으며, 비밀수용소에서 태어났을 것으로 추정되는 그녀의 아기에 대한 정보도 알 수 없다고 한다.
유일하게 살아남은 오스터헬드의 아내 엘사 로페스는 생전에 "내 남편, 4명의 딸과 태어났는지 아닌지도 모르는 2명의 손자 그리고 3명의 사위, 총 10명의 가족이 군사 독재 정권 때 실종되거나 살해됐다"고 말했다.
오스터헬드의 아내는 평생을 고통 속에서 실종된 가족을 찾다 지난 2015년 사망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선정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