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영화 보다 영감받았나…트럼프, 앨커트래즈 교도소 재개 '뒷말'

3일 밤 플로리다서 '앨커트래즈의 탈출' 방영…온라인서 조롱 봇물

영화 보다 영감받았나…트럼프, 앨커트래즈 교도소 재개 '뒷말'
3일 밤 플로리다서 '앨커트래즈의 탈출' 방영…온라인서 조롱 봇물

(서울=연합뉴스) 이신영 기자 = 살아서는 탈옥할 수 없다고 악명 높았던 앨커트래즈 교도소를 60여 년 만에 다시 열기로 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구상이 영화에서 영감을 받은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AFP 통신은 5일(현지시간) 앨커트래즈 교도소 재개소 발표 이후 온라인상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TV를 보다가 이런 결심을 하게 됐다는 조롱이 나오고 있다고 보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트루스소셜에 난데없이 앨커트래즈 재개소를 거론했는데 이전에 이와 관련한 어떠한 조짐도 없었다는 것이다.
미국 네티즌들은 특히 3일 밤 플로리다주 남부지역에서 클린트 이스트우드 주연의 영화 '앨커트래즈의 탈출'(1979)이 방영됐다는 점에 주목했다.
이 영화는 1962년 앨커트래즈 탈옥 사건을 소재로 만들어졌으며, 플로리다주 남부에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로 주말을 보내는 마러라고 저택이 있다.
'HansonRitta'라는 엑스(X·옛 트위터) 계정을 쓰는 네티즌은 "트럼프가 그 영화를 보고 앨커트래즈 재건이라는 소위 '기발한' 아이디어를 생각해냈을 가능성이 있을까?"라고 적었다.
'MatthewSpira'라는 엑스 계정 소유자는 "미국의 정책을 TV쇼에서 따오고 있는 건가, 정말 웃긴다"라고 썼다.

"늙은이 한명이 지루해서 토요일 밤 TV 채널을 이리저리 돌린 덕에 5억달러를 들여 앨커트래즈를 고치게 됐다"는 비아냥도 나왔다.
AFP는 트럼프 대통령도 영화의 영향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듯했다고 짚었다.
재개소 방안이 어떻게 나왔느냐는 언론의 질문에 대해 트럼프 대통령은 "내 생각에 나는 원래 영화제작자가 됐어야 했다"고 답했다.
그는 "우리나라는 법과 질서가 필요하고 앨커트래즈는 그 측면에서 매우 강력한 무엇인가를 대표한다"며 "아무도 탈출하지 못했고 한명은 거의 탈출할뻔했지만 그의 옷가지는 심하게 찢어진 채로 발견됐고 그건 상어가 문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미 연방교도국은 총 36명이 앨커트래즈에서 탈옥을 시도했지만 대부분 다시 잡히거나 사망했고 5명은 실종돼 익사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히고 있다.
탈옥수들이 식인 상어에 잡아먹혔다는 속설도 있지만 연방교도국은 샌프란시스코만에는 식인 상어는 없고 소형종만 서식하고 있다고 밝혔다.
앨커트래즈는 샌프란시스코 항구에서 2.4km가량 떨어진 곳에 있는 바위섬이다.
남북전쟁 당시 군 형무소로 쓰이다 1934년부터 29년간 연방정부 교도소로 사용됐고, 최악의 흉악범죄자를 수감하면서 악명을 떨쳤다.
그러나 물리적으로 고립된 섬에 위치한 탓에 식량 보급 등에 따른 운영비용을 감당하기가 어려웠고 1963년 폐쇄됐다.
이후로는 국립공원관리청이 관리하는 관광지로 매년 100만명 이상의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신영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