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대충격 씁쓸하다' 손흥민 "독일에서 인종차별 겪었다" '우승' 김민재는 '조용한 패싱'

[사진]OSEN DB.

[사진]OSEN DB.


[OSEN=우충원 기자] 김민재(29, 바이에른 뮌헨)는 이번 시즌 내내 팀을 위해 몸을 던졌다. 부상과 피로, 경쟁 속에서도 꿋꿋이 자리를 지켰다. 그러나 정작 바이에른의 리그 우승 확정 이후 돌아온 반응은 조명도 환영도 아니었다. 그는 스포트라이트 바깥에 서 있었다.

바이에른 뮌헨은 5일(이하 한국시간) 2024-2025시즌 독일 분데스리가 정상에 올랐다. 같은 날 열린 경기에서 2위 바이어 레버쿠젠이 SC 프라이부르크와 2-2로 비기면서 남은 두 경기 결과와 관계없이 뮌헨의 1위는 확정됐다. 승점 76점을 기록한 뮌헨은 승점 68에 머문 레버쿠젠과의 격차를 유지하며 통산 34번째 리그 타이틀을 품에 안았다.

이 우승은 김민재에게도 뜻깊은 기록이다. 그는 나폴리 시절 세리에A 우승을 이끈 데 이어 이제는 분데스리가 우승 경력을 추가하며 유럽 빅리그 2개국 정상을 경험한 첫 한국 수비수가 됐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이번 시즌 김민재는 리그와 컵대회를 포함해 총 43경기에서 3593분을 소화하며 헌신했다. 리그 출전 시간만 따져도 2289분으로  이는 요주아 키미히에 이어 팀 내 두 번째로 많은 기록이다. 수비진 줄부상 속에서도 그는 포기하지 않고 매 경기 그라운드를 지켰다. 지난해 말 "벤치에 앉기보다는 부서지더라도 뛰겠다"는 발언은 그가 보여준 의지를 단적으로 상징한다.

그러나 바이에른 뮌헨이 공개한 공식 우승 영상 속에 그의 모습은 없었다. 구단 유튜브 채널에 올라온 콘텐츠의 섬네일은 11명의 인물을 중심으로 구성됐고 여기에 김민재는 빠졌다. 대신 자주 결장했던 우파메카노, 출전 시간이 부족했던 고레츠카는 포함됐다. 기존 단체 사진을 활용한 것도 아니고, 일부 인물을 선별해 제작한 이미지였다는 점에서 오히려 의도적인 누락이라는 해석까지 나왔다.

이같은 편집에 팬들은 즉각 반응했다. "주전 수비수인 김민재를 뺀 이유가 뭐냐", "이건 실수가 아니라 무시다"라는 비판이 줄을 이었다. 일부 팬은 인종적 배제가 의심된다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분데스리가 사무국도 비슷한 태도를 보였다. 공식 채널에 올라온 우승 축하 애니메이션에도 김민재는 등장하지 않았다. 해당 영상에는 13명의 캐릭터가 포함됐지만, 그중에 김민재는 없었다. 반면 시즌 내내 백업 자원에 머물렀던 에릭 다이어는 출연 명단에 포함됐다.

독일 내 언론 평가도 김민재에게 후했다 말하기 어렵다. ‘빌트’, ‘키커’ 등 독일 주요 매체들은 시즌 내내 김민재에게 낮은 평점을 부여했고, 실수가 있었을 땐 크게 보도하면서 안정적인 수비 장면은 간과하는 경우가 잦았다. 같은 실수를 했던 다른 수비수들과 비교해도, 유독 엄격한 잣대가 따라붙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문제는 바이에른 뮌헨이 이를 방치했다는 점이다. 우승 기념 이미지나 콘텐츠에서 김민재는 후순위로 밀렸고 해당 상황에 대해 구단은 별다른 설명도 내놓지 않았다. 팬들 사이에서는 “구단이 먼저 선수를 인정하지 않으면 외부의 평가도 바뀔 수 없다”는 비판적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논란이 확산되자 바이에른은 급히 김민재가 포함된 새 섬네일 이미지로 기존 영상을 수정했다. 하지만 이미 김민재를 배제한 장면이 퍼진 이후였다. 팬들의 분노는 가라앉지 않았고 "뒷북 대응"이라는 반응이 지배적이었다.

김민재는 불만을 드러내기보다 경기장에서 실력으로 보여주는 스타일이다. 그 결과가 올 시즌 압도적인 출전 시간과 팀의 핵심 수비수라는 자리였다. 하지만 시즌 막판, 그에게 돌아온 보상은 찬사보다 무관심에 가까웠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이러한 상황은 과거 손흥민의 독일 시절 경험을 떠오르게 한다. 손흥민은 2022년 한 행사에서 “독일에서 인종차별을 많이 겪었다. 월드컵 독일전 골이 그래서 더욱 특별했다”고 밝힌 바 있다.

김민재는 유럽 정상급 리그에서 두 시즌 연속 우승컵을 들어 올린 몇 안 되는 한국인 선수다. 그러나 그 영광의 순간, 주역 중 한 명이 조용히 뒤편으로 밀려난 장면은 여전히 씁쓸함을 남긴다. / [email protected]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바이에른 뮌헨


우충원([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