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란드 눈독' 트럼프, 첩보수집 강화 지시…"우리편 찾아라"
정보기관들에 현지인 동향파악 등 요구…WSJ "구체적 조치 첫 사례"
정보기관들에 현지인 동향파악 등 요구…WSJ "구체적 조치 첫 사례"
(서울=연합뉴스) 고동욱 기자 =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고 공언해온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정보기관들에 관련 활동 강화를 지시했다고 미국의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이 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미국 정보기관을 총괄하는 털시 개버드 미 국가정보국장(DNI) 휘하 고위 관계자들은 지난주 산하 정보기관장들에게 "정보 수집 강조 메시지"를 발송했다.
메시지에는 덴마크의 자치령인 그린란드의 독립 추진 동향과 미국의 현지 자원 채취에 대한 주민들의 태도 등을 파악하라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또 정찰위성과 도청, 스파이 활동 등의 수단을 갖춘 기관들이 그린란드에 관한 미국의 '목표'를 지지할 그린란드인과 덴마크인을 파악하라는 지시도 포함됐다고 한다.
이 메시지는 중앙정보국(CIA), 국방정보국(DIA), 국가안보국(NSA) 등 주요 정보기관들에 전달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해 온 그린란드 편입과 관련해 행정부가 구체적인 조치를 한 첫 사례라고 WSJ은 전했다.
트럼프는 집권 1기였던 2019년 그린란드 매입을 주장했고, 재선에 성공한 직후부터 다시 그린란드를 미국 영토로 편입하겠다는 욕심을 노골적으로 드러내 왔다.
그는 취임 전인 지난해 12월 덴마크 대사 임명을 발표하며 "국가 안보와 전 세계 자유를 위해 미국은 그린란드의 소유권과 지배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말했고, 취임 뒤에도 여러 차례 공개적으로 편입 추진 의사를 밝혔다. 지난 4일 공개된 NBC 방송 인터뷰에서는 '그린란드 무력 점령'을 배제하느냐는 질문에 "어떤 것도 배제하지 않는다"고 답하기도 했다.
나아가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JD 밴스 부통령 부부는 잇따라 그린란드를 방문해 논란을 증폭시켰다.
트럼프 정부가 이처럼 그린란드에 욕심을 내는 것은 이곳에 중국이 전 세계 공급을 쥐락펴락하는 희토류 자원이 풍부하게 매장돼있는 데다 북극권의 교두보라는 지정학적 중요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반면에 당사자인 덴마크와 그린란드뿐만 아니라 유럽연합(EU)을 비롯한 국제사회는 트럼프 대통령의 언행을 주권 침해라고 보고 강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미국 정보기관들이 관련 활동에 나서는 것은 미국과 유럽 간의 긴장과 갈등을 심화시키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WSJ의 관련 보도에 대해 제임스 휴잇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대변인은 정보 활동에 대해 논평하지 않겠다면서도 "대통령은 그린란드와 북극의 안보를 걱정한다는 뜻을 분명히 해 왔다"고 밝혔다.
개버드 국장은 성명을 내고 "월스트리트저널은 기밀 정보를 유출하고 정쟁화해 대통령을 흔드는 딥스테이트(비밀리에 국가를 좌우하는 공무원 집단)를 돕는 것을 부끄러워해야 한다. 그들은 법을 어기고 국가안보와 민주주의를 무너뜨리고 있다"면서 WSJ의 보도를 맹비난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고동욱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