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가 바나나 위협…"남미·카리브해 재배면적 급감 전망"
"2080년까지 중남미 재배지 3분의 2가 부적합 변모 우려"
"2080년까지 중남미 재배지 3분의 2가 부적합 변모 우려"
(서울=연합뉴스) 현윤경 기자 = 세계에서 가장 인기 많은 과일인 바나나가 기후 위기로 위협받고 있다.
전 세계 수출량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중남미와 카리브해 지역의 바나나 주요 재배 면적 중 거의 3분의 2가 2080년까지 바나나 재배에 부적합해질 것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영국 일간 가디언이 1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영국의 기아 퇴치 자선단체인 '크리스천 에이드'는 기온 상승과 극단적 날씨, 기후 관련 해충이 과테말라, 코스타리카, 콜롬비아 등 바나나의 주요 산지를 강타해 수확량이 줄고, 지역 공동체가 무너지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보고서를 최근 내놨다.
바나나는 세계에서 가장 많이 소비되는 과일로 밀, 쌀, 옥수수에 이어 세계 4번째로 중요한 식용 작물로 꼽힌다. 전 세계적으로 재배되는 바나나의 약 80%는 해당 지역에서 소비되며, 전 세계 인구 4억명이 하루 필요한 열량의 15∼27%를 바나나에 의존한다.
전 세계 슈퍼마켓에 공급되는 바나나 수출 물량의 약 80%는 중남미와 카리브해 국가에서 나오는 것으로 추산된다.
문제는 지구 온난화를 가속하는 온실가스에 거의 아무런 책임이 없는 이 지역이 기후 변화로 인한 재난에 가장 취약한 곳들 가운데 하나라는 점이라고 보고서는 지적했다.
과테말라에서 바나나를 재배하는 53세의 농부는 "기후 변화가 우리가 키우는 작물을 죽이고 있다"며 "팔 수 있는 것이 없다는 것은 수입 자체가 없어짐을 의미한다"고 한탄했다.
바나나의 품종은 수백 가지에 달하지만, 이 가운데 맛도 괜찮고, 한기에 견디는 성질이 뛰어나며 산출량도 많은 캐번디시가 최근 들어 가장 널리 재배되고 있다.
바나나는 기온이 섭씨 15∼35도에 충분한 물이 있어야 잘 자라고, 폭풍에 약해 가뜩이나 기후에 민감한 과일로 꼽히는 마당에 캐번디시 쏠림 현상은 유전적 다양성까지 저해함으로써 바나나를 급속한 기후 변화에 특히 취약하게 만들었다고 한다.
기후 위기는 재배 조건에 직접적인 해를 끼칠 뿐 아니라 이미 심각한 문제로 부상한 곰팡이성 전염병의 확산을 심화시킴으로써 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고 보고서는 짚었다.
'크리스천 에이드'의 오사이 오지고 정책선전 국장은 "바나나는 세계에서 가장 선호되는 과일일 뿐 아니라 수백만 명의 필수 식량이기도 하다"며 "기후 변화가 이 필수 작물에 가하는 위험을 자각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기후 위기를 초래하는 데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은 사람들의 삶과 생계가 이미 위협받고 있다"며 오염물질을 배출하며 기후 위기에 대부분의 책임이 있는 부유한 국가들이 화석 연료에서 탈피하고, 취약한 공동체들이 기후 변화에 적응할 수 있도록 자금 지원 의무를 다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현윤경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