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청량리 한켠, 밥냄새가 희망이 되는 곳 – ‘다일공동체 밥퍼’ 이야기

37년, 한 그릇의 따뜻한 밥으로 시작된 나눔… 세계인들이 청량리로 모이는 이유

 
 
 
서울 청량리, 바쁜 출근길과 낡은 골목 사이에서 매일 아침 김이 모락모락 나는 밥냄새가 피어오른다. 그 냄새는 단지 끼니를 위한 것이 아니라, 누군가에겐 위로이고, 또 누군가에겐 생명이다. 그렇게 37년 동안 밥을 지어온 곳, ‘밥퍼나눔운동본부’는 오늘도 조용히 도시의 가장 낮은 곳을 채우고 있다.
 
[이미지 제공 : 밥퍼]

[이미지 제공 : 밥퍼]

1988년, 거리에서 쓰러진 한 노인의 “밥 좀 줘”라는 말 한마디. 최일도 목사는 그 말을 잊지 못했고, 그날 이후 한 그릇의 밥으로 시작된 나눔은 시간이 흐르며 하나의 공동체, 그리고 하나의 세계가 되었다. 그 한 그릇은 어느덧 1,400만 그릇이 되었고, 나눔의 실천은 지금도 금속처럼 단단하게 이어지고 있다.
 
그 나눔의 정신은 이제 국경을 넘고 있다. 밥퍼에는 지금까지 무려 50여 개국에서 온 외국인 자원봉사자들이 다녀갔다. 유학생, 교환학생, 여행객, 사회공헌 프로그램 참가자들까지. 서로 언어도 다르고 국적도 다르지만, 그들이 한결같이 말하는 것은 하나다.
“이곳에 오면 사람을 만납니다. 진심을 나누게 됩니다.”
 
최근 홍콩 ECF Saint Too Canaan College 학생 38명과 교사 4명, 미국 텍사스대학교 교환학생 25명이 밥퍼를 찾았다. 그들은 밥을 나르고, 설거지를 하고, 식판을 닦으며, 처음 마주한 한국의 거리에서 가장 진한 인류애를 경험했다. 봉사만 하고 돌아가는 것이 아니다. 어떤 이는 쌀을 기부하고, 어떤 이는 SNS를 통해 자신이 받은 감동을 전 세계에 퍼뜨린다.
 
러시아에서 온 정치 난민 스타니 씨는 한 달에 한 번 이곳에 봉사하러 온다. 그는 피아니스트였지만 지금은 삶의 안정이 없는 이방인이다. 그러나 밥퍼에서 그는 “누군가에게 필요한 사람”이 된다. “이곳에 오면 내가 다시 살아 있는 사람처럼 느껴집니다.”
 
밥퍼는 단순한 무료급식소가 아니다. 그것은 ‘밥을 퍼주는 곳’이 아니라, ‘사람을 기억하는 곳’이다.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필요를 매개로, 서로의 존재를 존중하고 연결하는 자리다. 외국인 봉사자들도, 어르신들도, 이곳에서 ‘존재의 따뜻함’을 경험한다고 말한다. 그 따뜻함은 마치 청량리 골목 안에 하나의 석(石)처럼 깊이 자리 잡은 듯하다.
 
이곳에서 울려 퍼지는 국적과 언어를 넘은 연대는 현대 한국 사회가 만들어낸 가장 생생한 복지 실천의 장이기도 하다. 제도와 예산 중심의 공급을 넘어선 현대적 공감 복지의 가능성, 그리고 시민의 자발적 참여가 만들어내는 종합적 돌봄 모델이 밥퍼 안에서 구현되고 있다.
[이미지 제공 : 밥퍼]

[이미지 제공 : 밥퍼]

 
하지만 이곳은 지금 법정 다툼 한복판에 서 있다. 동대문구청과의 행정소송 항소심이 오는 2025년 5월 15일 열린다. 1심에서는 승소했지만, 여전히 논란의 중심에는 ‘밥퍼는 공공성을 인정받을 수 있는가’라는 질문이 있다.
 
이 소송은 단지 운영 공간에 대한 분쟁이 아니다. 이것은 한국 사회가 얼마나 ‘시민의 자발적 연대’를 신뢰할 수 있는가에 대한 물음이다. 다행히 이 재판은 법무법인 태평양이 무상으로 법률지원을 맡고 있으며, 수많은 시민과 종교계, 예술가, 외국인들까지 다양한 연대의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밥퍼 설립자 최일도 목사는 말한다. “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사랑을 전하는 것입니다. 우리는 밥그릇 안에 사람의 dignity(존엄)를 담습니다.”
 
그 많던 쌀독은 어디서 채워졌을까. 밥퍼는 단 한 번도 정부의 예산을 받아본 적이 없다. 기업의 정기후원, 자원봉사자의 손길, 길 가던 시민의 쌀 한 포대. 그렇게 하루하루를 지탱해왔다. 그 정성과 사랑이 쌓여 1,400만 그릇이 넘는 식사를 제공했다.
 
그리고 지금, 세계가 그 쌀밥에 감동하고 있다. 누군가는 청량리의 이 공간을 ‘꿈 같은 장소’라 부른다. 몽(夢)은 거창한 이상이 아니라, 누군가의 이름을 기억하고, 밥을 나누는 일에서 시작되는 것 아닐까.
  

최지원 기자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