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지] 우크라이나 전쟁
[일지] 우크라이나 전쟁(베를린=연합뉴스) 김계연 특파원 = 3년 넘게 전쟁 중인 러시아와 우크라이나가 15일(현지시간) 튀르키예 이스탄불에서 종전 방안을 논의한다.
양측의 대면 평화협상은 이스탄불에서 마지막으로 만난 2022년 3월 이후 3년 2개월 만이다.
다음은 우크라이나 전쟁 주요 일지.
◇ 2022년
▲ 2월 24일 =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특별군사작전 선언하고 우크라이나 침공. 우크라 수도 키이우에서 교전.
▲ 2월 28일 = 러·우크라, 벨라루스서 첫 대면 협상.
▲ 3월 1일 = 러, 인구 45만명의 도시 마리우폴 포위. 러, 우크라 제2 도시 하르키우에 대규모 미사일 공격.
▲ 3월 29일 = 러·우크라, 튀르키예 이스탄불서 5차 협상.
▲ 4월 2일 = 우크라, 수도 키이우 탈환 선언. 러 점령 기간에 키이우에서 민간인 최소 1천346명 사망, 부차에서 민간인 학살 참상 드러나.
▲ 4월 6~8일 = 우크라, 북동부 체르니히우·수미 수복.
▲ 6월 23일 = 우크라, 유럽연합(EU) 가입 후보국 지위 획득.
▲ 9월 6~16일 = 우크라, 북동부 하르키우 대부분 탈환.
▲ 11월 11일 = 우크라, 8개월 만에 남부 헤르손 수복.
◇ 2023년
▲1월 14일 = 우크라 동부 드니프로의 아파트 단지에 미사일 떨어져 46명 사망.
▲ 3월 17일 = 국제형사재판소(ICC), 푸틴 체포영장 발부.
▲ 5월 21일 = 러, 우크라 동부 격전지 바흐무트 완전 점령 선언.
▲ 7월 17일 = 우크라, 크림대교 공격.
▲ 7월 19일 = 러, 흑해 곡물 수출 협정 중단 뒤 우크라 흑해 곡물 수출 항구 공격.
▲ 8월 10일 = 우크라, 흑해 인도주의 항로 개설.
▲ 12월 14~15일 = EU, 우크라·몰도바와 가입 협상 개시 결정.
◇ 2024년
▲ 2월 1일 = EU, 우크라 500억유로 지원안 타결.
▲ 2월 8일 =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 대통령, '불화설' 잘루즈니 총사령관 경질하고 시르스키 후임 임명.
▲ 2월 17일 = 우크라, 동부 아우디우카 철수.
▲ 5월 25일 = 러시아군 사상자 50만명 돌파.
▲ 6월 13일 = 우크라, 미국과 10년 안보협정 체결.
▲ 6월 15~16일 = 스위스에서 우크라 평화정상회의. 101개국 대표단 참석.
▲ 7월 27일 = 우크라, EU와 양자 안보 협정 체결.
▲ 8월 12일 = 우크라, 러 본토 쿠르스크 침공.
▲ 10월 16일 = 젤렌스키, 의회서 '승리계획' 발표.
▲ 10월 28일 =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북한군 러 쿠르스크 배치 확인.
▲ 11월 19~20일 = 우크라, 미국산 에이태큼스 이어 영국산 스톰섀도로 러 본토 첫 공격.
▲ 11월 21일 = 러, 신형 미사일 '오레시니크' 보복 발사.
▲ 12월 27일 = 국정원 "우크라군이 생포한 북한군 포로, 부상 악화로 사망"
◇ 2025년
▲ 1월 5일 = 젤렌스키 "러 파병 북한군 사상자 3천800명"
▲ 1월 11일 = 우크라, 북한군 포로 2명 생포 발표
▲ 1월 13일 = 국정원 "북한군, 쿠르스크에서 300명 사망하고 2천700명 부상"
▲ 2월 12일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푸틴·젤렌스키와 통화…우크라 전쟁 종전 협상 즉각 시작 합의.
▲ 2월 18일 = 미·러, 사우디아라비아서 고위급 회담. 각자 고위급 협상팀 구성 합의.
▲ 2월 28일 = 트럼프·젤렌스키, 백악관서 설전. 광물협정 서명 무산.
▲ 3월 4일 = 미, 우크라 군사지원 중단.
▲ 3월 11일 = 미·우크라, 사우디서 고위급 회담. 광물협정 논의, 30일간 휴전 제안.
▲ 3월 12일 = 미, 우크라 군사지원 재개.
▲ 3월 18일 = 트럼프·푸틴 통화, 30일간 에너지·인프라 공격 중단 합의.
▲ 3월 25일 = 러·우크라, 흑해서 무력사용 중단 합의.
▲ 3월 27일 = 우크라, 러 본토 벨고로드 공격.
▲ 4월 9일 = 젤렌스키 "중국인 최소 155명 참전" 주장.
▲ 4월 19일 = 푸틴 '부활절 30시간 휴전' 일방 선언.
▲ 4월 21일 = 푸틴, 우크라와 직접 대화 제안.
▲ 4월 23일 = 미 '우크라 영토 양보' 포함 종전안 제안.
▲ 4월 26일 = 트럼프·젤렌스키, 프란치스코 교황 장례식서 회동.
▲ 4월 28일 = 푸틴 '전승절 72시간 휴전' 일방 선언. 북한, 러 파병 공식 확인.
▲ 4월 30일 = 미·우크라, 광물협정 체결.
▲ 5월 8일 = 트럼프 '조건 없는 30일간 휴전' 촉구.
▲ 5월 10일 = 우크라 '조건 없는 30일간 휴전' 제안.
▲ 5월 11일 = 푸틴, 튀르키예 이스탄불서 '직접 협상 재개' 제안. 젤렌스키 "푸틴 기다리겠다"며 정상회담으로 역제안.
▲ 5월 14일 = 러, 협상단장에 블라디미르 메딘스키 보좌관 지명. 대표단에 푸틴 대통령 이름은 빠져.
▲ 5월 15일 = 러·우크라, 튀르키예 이스탄불서 고위급 회담 예정.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김계연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