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협상 연기' 美에 수입확대·우회수출 단속 강화 등 제안
"미국, 긍정적 반응…태국산 제품 관세율 10%로 인하 가능성"
"미국, 긍정적 반응…태국산 제품 관세율 10%로 인하 가능성"
(방콕=연합뉴스) 강종훈 특파원 = 미국과의 관세 협상이 연기돼 비상이 걸린 태국이 새로운 협상안을 미국에 제시했다.
15일 로이터통신과 현지 매체 네이션 등에 따르면 피차이 춘하와치라 태국 부총리 겸 재무부장관은 우회 수출 단속 강화, 미국산 제품 수입 확대, 시장 접근성 개선 등을 골자로 하는 제안을 미국에 전달했다고 전날 밝혔다.
그는 식품 가공·디지털 기술 분야 협력 강화, 미국 내 태국 투자 촉진, 미국산 에너지·농산물·항공기 수입 확대, 과일·사료용 옥수수 등 미국산 농산물 수입 규제 완화 등이 제안에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또 제3국에서 태국을 경유해 수출되는 상품의 원산지 규정을 엄격히 관리하겠다고 강조했다.
피차이 부총리는 "우리 무역 제안은 '윈-윈' 해법"이라며 스콧 베선트 미국 재무부 장관이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고 덧붙였다.
그는 "최근 미국 반응을 보면 대다수 태국 제품에 대한 상호관세율을 36%에서 10%로 낮출 가능성이 있다"며 "다만 자동차·부품을 비롯한 일부 산업에는 더 높은 관세가 부과될 수 있다"고 말했다.
미국은 태국의 최대 수출국이다. 태국은 지난해 미국을 상대로 456억 달러(약 64조원)의 무역수지 흑자를 냈다.
미국은 상호관세 부과 유예에 앞서 태국에 관세율 36%를 적용한다고 밝혔다.
태국은 관세율을 낮추기 위해 미국산 수입 확대 방침을 밝히며 서둘러 협상에 나섰으나, 미국이 지난달 개시 예정이던 협상을 돌연 연기했다.
이후 정식 협상 일정조차 잡히지 않은 가운데 태국은 미국을 협상 테이블로 끌어내기 위해 노력해왔다.
태국 정부는 중국산 제품의 우회 수출을 막기 위해 미국이 요구한 것으로 알려진 원산지 증명 관리 강화 대책을 시행했다.
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밀어붙이고 있는 알래스카 액화천연가스(LNG) 개발 사업 참여 의사를 밝히고 본격적인 협의에 나섰다.
일각에서 양국 관세 협상 연기 이유로 지목한 미국 학자 폴 체임버스에 대한 왕실모독죄 혐의 기소도 철회했다.
[email protected]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강종훈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