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기사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카카오톡
  • 카카오스토리
  • 네이버
  • 공유

'우승' 후 더 바쁜 김민재?... 이적시장 전문가 "EPL 혹은 사우디가 행선지"→헌신의 끝은 이별 기정사실?

[사진] 김민재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사진] 김민재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OSEN=노진주 기자] 김민재(29, 바이에른 뮌헨)의 행선지를 두고 다양한 말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EPL) 혹은 사우디아라비아 리그 팀으로 좁혀지는 분위기다.

유럽 이적시장 전문가 파브리시오 로마노는 22일(한국시간) 김민재의 미래가 궁금하단 한 팬의 질문에 “김민재는 높은 연봉을 받고 있다. 프리미어리그나 돈을 더 쓸 수 있는 사우디가 유력하다”고 답했다. 인터밀란, 나폴리 복귀설이 있었지만 세리에 A보다는 자금력이 앞서는 리그로의 김민재 이적을 점치고 있는 것이다. 다만 고액 연봉이 협상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김민재는 2023-2024시즌 바이에른의 리그 우승에 핵심 역할을 했다. 시즌 전체 43경기 3593분을 소화했다. 분데스리가에서는 2289분을 뛰며 요주아 키미히에 이어 팀 내 두 번째로 많은 리그 출전 시간을 기록했다.

그는 부상을 안고도 팀에 헌신했다. 지난해 10월부터 아킬레스건 통증을 안고 뛰었다. 동료들의 연이은 부상으로 휴식도 없이 경기를 소화했다. 국제축구선수협회(FIFPro)는 혹사 수준이라며 우려를 나타냈다.

김민재는 우승으로 보상받았다. 바이에른은 지난 시즌 레버쿠젠에 내줬던 마이스터샬레를 되찾았다. 2년 만에 리그 정상에 복귀했다.

역사를 썼다. 김민재는 나폴리 시절 세리에 A 우승에 이어 유럽 5대 리그 중 두 리그에서 우승을 경험한 첫 한국 선수가 됐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하지만 김민재는 올 시즌을 끝으로 바이에른과 동행을 마칠 것이란 소식이 들려오고 있다. 시즌 후반 들어 부상 여파와 체력 저하로 경기력이 흔들렸던 것이 원인이라고 현지 매체들은 분석하고 있다. 김민재의 실수가 늘어나자 독일 언론은 그를 향해 비판을 쏟아낸 바 있다.

더 나아가 시즌 말미 ‘스카이 스포츠’ 독일판, ‘빌트’, ‘키커’ 등은 김민재가 방출 명단에 포함됐다고 보도했다.

여기에 최근 바이에른은 그의 포지션과 겹치는 센터백 영입에 속도를 내고 있어 김민재의 '탈바이에른'은 현실이 되는 것 아니냐는 시선이 지배적이다.

이런 가운데 '빌트’는 "막스 에베를 바이에른 디렉터가 요나탄 타(레버쿠젠) 영입 계획을 감독위원회로부터 승인받았다"고 전한 뒤 “이제 바이에른은 김민재에게 제안이 오기를 기대하고 있다”라고 덧붙이며 그의 매각설이 불을 지폈다.

‘트랜스퍼마크트’, ‘RAN’ 등은 바이에른의 다음 시즌 예상 라인업에서 김민재를 제외했다. 수비진은 타와 다요 우파메카노로 구성됐다.

김민재는 시즌 종료 직후까지만 해도 잔류를 시사했다. 그는 “떠날 이유가 없다. 다음 시즌 준비를 하겠다”고 말하며 충성심을 드러냈다. 그러나 시간이 흐르며 그의 태도도 바뀌었다. ‘빌트’의 크리스티안 폴크 기자는 “김민재도 매력적인 제안이 온다면 이적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전했다.

바이에른은 김민재 이적료로 3000만~3500만 유로(약 469억~548억 원)를 기대하고 있다.

[사진]OSEN DB.

[사진]OSEN DB.


문제는 연봉이다. 김민재는 현재 바이에른에서 최대 약 1700만 유로(약 277억 원)를 받는 것으로 알려졌다. 팀 내 공동 7위에 해당하는 수준이며 프리미어리그에서도 상위권 대우다. 로마노는 “높은 연봉은 유럽 팀들에 부담이 될 수 있다. 하지만 사우디는 이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사우디 국부펀드(PIF)의 지원을 받는 알 힐랄, 알 나스르, 알 이티하드, 알 아흘리 등은 오히려 김민재에게 더 높은 연봉을 제시할 가능성이 있다.

로마노는 “그가 유럽 잔류를 위해 연봉을 낮출지, 혹은 사우디의 제안을 받아들일지를 고민해야 한다”고 전했다. /[email protected]

[사진] ⓒGettyimages(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T 월드 뉴스, 바이에른 뮌헨 소셜 미디어.  


노진주([email protected])

Log in to Twitter or Facebook account to connect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help-image Social comment?
lock icon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