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주중앙일보

광고닫기

[나성인의 읽는 클래식 듣는 문학] 시인이 상상한 모차르트의 하루

중앙일보

2025.06.05 08:06 2025.06.05 14:34

  • 글자크기
  • 인쇄
  • 공유
기사 공유
나성인 음악평론가·풍월당 이사
뫼리케의 단편 ‘프라하로 여행하는 모차르트’는 아름다운 이야기다. 모차르트와 콘스탄체 부부는 마차를 타고 ‘돈 조반니’의 초연이 있을 프라하로 향한다. 잠시 말을 쉬게 하려고 쉰츠베르크 백작의 성에 들른 모차르트는 그 집 정원에서 남국의 광귤 열매를 보고 호기심과 추억에 젖어 그만 열매 하나를 따버린다. 하지만, 이를 어쩌나. 그 광귤은 백작의 조카딸 오이게니의 약혼식을 위해 특별히 준비한, 개수까지 뮤즈의 수 아홉 개로 맞춰 놓은 선물이었다. 백작은 낯선 손님이 깜짝 선물을 망쳐 놓았음을 알고 분해하지만, 백작 부인은 오히려 모차르트의 방문 자체가 더 큰 선물임을 알아차린다. 오이게니가 둘도 없는 모차르트의 팬이었기 때문이다.

모차르트는 결례를 행한 값으로 작은 노래를 한 곡 선물한다. 약혼자 막스는 그사이 써 두었던 축시를 재치 있게 고쳐서 약혼녀에게 낭독해준다. 아폴론(태양신이자 치유의 신)이 소생케 한 이 나무의 열매 하나를 마지막 순간 음악의 신(모차르트)이 가로채 아모르(사랑의 신)에게 나눠주었다는 것이다. 시는 이처럼 현실의 결손을 넉넉히 보상해준다. 음악·낭독·춤·술과 건배…. 18세기 말 살롱 모임의 작은 풍경이 재현된다. 모차르트는 이 따뜻한 회합에 적잖이 위로를 얻었는지 저녁때 아직 초연도 하기 전인 따끈따끈한 신작 ‘돈 조반니’를 좌중에 선사한다.

이 유일무이한 순간은(물론 허구다) 신부를 위한 진정한 선물이 되었을 테다. 그녀는 천상의 아름다움과 더불어 신비로운 두려움을 느끼고, 천재에게 사심 없는 경탄을 바친다. 바로 이런 것이 곧 시인의 상상력이다. 시인 뫼리케는 이렇게 우리가 영영 잃어버렸을지도 모를 하루를 망각에서 되찾아온다. 천재성 너머에서 인간성을 들춰낸다. 경이로운 하루, 경탄하는 하루, 화해의 하루와 그 행복이 생생하게 되살아난다. 그 하루가 허구인들 어떠랴.

나성인 음악평론가·풍월당 이사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