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 "그건 또 그렇겠네요"…尹정부 장관과 첫 회의서 무슨 일이 [노트북을 열며]

그런데 3시간 40분의 마라톤 회의 직후 들려온 소식은 정반대였다. “되게 자유로웠다.” “화기애애했다.” 누군가 질책당했다는 얘기는 들리지 않았다. ‘윤석열의 사람’으로 분류되던 한 고위직 공무원은 “대통령이 생각보다 소탈하더라” “실질적인 정책에 관심이 많았다”는 긍정 평가를 내렸다.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5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국무회의실에서 김밥을 먹으며 국무회의를 하고 있다. [사진 대통령실]](https://www.koreadaily.com/data/photo/2025/06/11/eefa6e9c-dba9-48d6-be71-07cf6c077316.jpg)
집값을 둘러싼 대화에선 인상적인 장면도 포착됐다. 이 대통령이 “민주당이 집권하면 집값이 오른다. 이상하지 않으냐”는 취지로 말한 뒤 벌어진 일이다. 한 경제 관료가 “재정 정책을 많이 쓰면 시장에 풀린 돈이 부동산으로 흘러가는 경향이 있다”고 직언했는데, 이 대통령이 “그건 또 그렇겠네요”라며 고개를 끄덕였다는 것이다. 한 참석자는 “상대가 다른 얘기를 하더라도, 뭔가 ‘적당한 선’을 찾는 분 같았다.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고 했다.
마지막 열쇳말은 ‘포용’이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유인촌 장관에게 먼저 반갑게 인사를 건넸고, 그러자 유 장관도 함박웃음을 지었다고 한다. 유 장관은 12·3 비상계엄 1주일 뒤 ‘정부 대변인’ 자격으로 민주당의 줄탄핵을 비판하는 호소문을 발표했다. 한 참석자는 “대통령이라고 유 장관이 반갑기만 했겠느냐. 하지만 그 순간 분위기가 밝아졌다”고 했다.
이 대통령은 취임사에서 “공존과 통합의 가치 위에 소통과 대화를 복원하겠다”고 했다. 시작은 일단 긍정적이다. 관건은 대통령 스스로가 “내가 모든 걸 다 안다”는 확신이 든 뒤에도 경청하고 포용하느냐다. 윤 전 대통령도 첫 수석비서관 회의에선 ‘격의 없는 소통’을 강조했으나, 잠시뿐이었다. 초심(初心)을 오래 지켜야 대통령이 성공한다.
오현석([email protected])
with the Korea JoongAng Daily
To write comments, please log in to one of the accounts.
Standards Board Policy (0/250자)